정부가 2030년까지 공공행정 분야의 인공지능(AI)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공직 내부에서 실질적인 AI 전환을 이끌 전문 인력을 2만 명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 혁신은 물론, 정책기획·실행에서 AI 활용을 일상화한다는 구상이다.
행정안전부는 9월 24일, 이른바 ‘AI 챔피언’이라 불리는 공공부문 AI 전문가를 양성하는 정책적 로드맵을 발표했다. AI 챔피언은 복잡한 업무 현장에서 AI 기술을 실질적으로 접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를 의미한다. 기존의 단순 교육 수준의 접근에서 벗어나, 실제 정책이나 행정서비스에 인공지능 도구를 접목할 수 있는 내부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행안부는 단계별 교육과정과 인증 제도를 포함한 종합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교육은 ‘그린’, ‘블루’, ‘블랙’으로 구분된다. ‘그린’ 단계에서는 기본적인 AI 이해를 바탕으로 정책 기획을, ‘블루’는 AI 기반의 행정서비스를 실제 구현하고 운영하는 기술을 다룬다. 최고 단계인 ‘블랙’은 고급 기술을 바탕으로 조직 내 AI 역량을 총괄하고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리더 양성을 목표로 한다. 각 단계별 수행평가를 통해 인증을 받게 된다.
올해는 시범적으로 300명을 시작으로, 2026년 1천 명, 2027년 2천 명, 2028년 5천 명, 2029년 5천700 명, 2030년 6천 명을 단계적으로 양성해 누적 2만 명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현재 전체 행정공무원 및 공공기관 근무자 약 92만 명(경찰·소방·교육청 제외)의 2% 정도에 해당하는 수치다. 최근 일부 과정 모집에서는 지원자가 정원보다 3배 이상 몰릴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였지만, 기본 과정인 그린과 블루 과정이 2주 내외의 짧은 기간이어서 실제 교육 효과에 대한 물음표도 따른다.
행안부는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세무·노동·조달 등 각 분야에 특화된 AI 전문 교육과정도 추가로 개발하고 민간 기술 기업과 협력하는 실습 중심 교육도 정례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공공 부문 전 직원을 대상으로 AI 리터러시(기본 활용 능력)도 강화한다. 이와 관련해 개발된 AI 교육 커리큘럼은 이미 모든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에 개방됐고, 향후 행정기관 운영 성과 평가에도 교육 이수 내용을 반영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러한 투자가 공직사회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기반 행정 서비스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민간과 공공 간 기술 격차를 줄이는 기반이 될 가능성도 있어, AI 활용의 일상화라는 장기 목표를 점진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