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 기반 국가혁신을 본격화하기 위해 핵심 추진 체계를 마련하고, 관련 지원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 30일 '인공지능 대전환 선도 핵심 프로젝트 TF'를 공식 발족하고, 향후 국가 차원의 인공지능 전략을 실질적 성과로 연결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TF 출범은 과기정통부가 부총리급 부처로 격상된 이후 첫 행보로, 향후 과학기술 및 디지털 정책 전반에 대한 조정 권한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추진되는 핵심 프로젝트는 여섯 가지 분야로 구성됐다. 대표적으로 국민 생활과 직접 연관된 AI 서비스 개발, 과학기술 연구의 디지털 전환, 공공 부문 AI 혁신, 산업 및 스타트업 생태계 지원, 인공지능 인재 양성, 그리고 기반 시설 확충이 포함됐다.
정부는 특히 복지, 의료, 재난 대응, 범죄 예방 등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10대 민생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며, 이와 연계된 국민 참여형 시범 사업도 올해 안에 가동할 예정이다. 나아가 AI뿐 아니라 양자기술과 같은 첨단기술을 활용해 바이오, 소재, 화학 분야의 산업 핵심 과제를 해결하는 혁신 프로젝트도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법과 제도의 정비도 병행된다. 국가 차원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확충을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가칭 'AI 데이터센터 진흥 특별법'을 2026년 제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를 통해 방대한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춘 ICT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공기관이 AI를 도입할 때 적용할 공통 기준과 보안 체계도 마련될 예정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국가 주도의 디지털 전환 정책이 기술 중심에서 국민 중심, 산업 현장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TF 출범이 한국 AI 산업의 구조적 전환뿐 아니라 공공 서비스의 질적 향상, 그리고 데이터 기반 과학기술 정책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