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들이 스마트 계약을 활용해 토큰화된 금융 환경에서 통화정책을 시행하는 실험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과 기존 전통금융(TradFi)의 접점을 넓히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15일 발표된 국제결제은행(BIS) 산하 혁신허브 스위스센터와 뉴욕 연방준비은행 이노베이션센터의 공동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 계약은 중앙은행이 토큰화된 시스템 내에서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통화정책을 구사할 수 있는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양 기관이 ‘파인(Pine) 프로젝트’라는 명칭으로 진행한 이번 실험은 ‘범용적이고 맞춤형 구성 가능한 통화정책 툴킷’을 시험하는 데 중점을 뒀다.
BIS는 보고서에서 “스마트 계약 툴킷은 탁월한 속도와 확장성을 입증했다”며 “가상의 시나리오에서 중앙은행은 정책 도구를 즉시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러한 기술적 유연성은 경제 상황 변화에 보다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존 정책 실행 절차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특히 향후 화폐나 증권의 토큰화가 본격적으로 확산될 경우, 스마트 계약이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실행에서 핵심 구조로 부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이 단순 결제나 자산 발행을 넘어서, 국가 금융 시스템의 핵심 프로세스에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다.
전통적인 정책 수단에 기술적 도구를 더하려는 중앙은행들의 시도는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 동시에 전개되고 있다. BIS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향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발전 뿐 아니라, 전체 금융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