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솔라나(SOL) 성능 한계 드러나나…파이어댄서, 실험체인 '포고' 통해 속도 극대화 시험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6

솔라나(SOL)의 고성능 검증자 클라이언트 파이어댄서가 메인넷에서 성능 제한에 직면하자, 독립 실험체인 포고에서 성능 극대화 실험이 진행 중이다. 개발자 더글라스 콜킷트는 탈중앙성 대신 속도를 중시한 접근을 통해 블록체인 설계의 방향 전환을 시사했다.

 솔라나(SOL) 성능 한계 드러나나…파이어댄서, 실험체인 '포고' 통해 속도 극대화 시험 / TokenPost.ai

솔라나(SOL) 성능 한계 드러나나…파이어댄서, 실험체인 '포고' 통해 속도 극대화 시험 / TokenPost.ai

솔라나(Solana)의 차세대 검증자(밸리데이터) 클라이언트인 파이어댄서(Firedancer)가 실제 설계된 메인체인에서는 성능의 한계에 부딪혀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성능 개선을 최우선으로 한 새로운 실험체인이 등장하면서, 블록체인 인프라 구조의 핵심 가치인 탈중앙성과 속도 간 균형에 다시금 이목이 쏠린다.

해당 실험에 참여 중인 인물은 하이프리퀀시 트레이더 출신의 개발자 더글라스 콜킷트(Douglas Colkitt)다. 그는 솔라나와 호환되는 포고(Fogo)라는 새로운 체인 위에서 ‘프랑켄댄서(Frankendancer)’라는 하이브리드 검증자 구조를 실험 중이다. 프랑켄댄서는 파이어댄서를 기반으로 하되, 솔라나 체인 고유의 제약을 벗어나 성능 극대화를 실현하기 위한 실험 모델이다.

콜킷트는 포고의 공동 설립자로서, 이 신규 체인이 솔라나를 대체하기보다는, 파이어댄서의 기술적 잠재력을 시연하기 위한 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솔라나의 분산 검증자 구조 같은 핵심 가정 몇 가지를 대체함으로써, 탈중앙성보다는 속도에 중점을 둘 경우 얼마나 더 나아갈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고 밝혔다.

파이어댄서를 솔라나 메인넷 밖으로 옮겨 실행하려는 이러한 움직임은, 블록체인 인프라의 뿌리 깊은 딜레마를 드러낸다. 바로 거래 속도와 네트워크 분산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 문제다. 이 두 요소는 오랜 시간 상호 긴장을 유지해 왔지만, 최근에는 더 많은 개발자들이 속도를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선택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시도는 특히 솔라나와 같은 고성능 체인에서도 기술적 한계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동시에, 솔라나 생태계 밖에서도 해당 성능을 시험하려는 새로운 흐름을 예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통해 블록체인의 핵심 설계 철학이 변화의 기로에 섰음을 가늠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6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바다거북이

2025.07.26 17:49:3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