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1700억 원어치 파이코인(Pi) 싹쓸이”… 드러나지 않은 ‘고래 지갑’ 정체는?

프로필
한재호 기자
댓글 4
좋아요 비화설화 2

파이코인(Pi Network) 생태계 내 6위 규모의 고래 지갑 'GAS…ODM'이 최근 수개월 간 대규모 매집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해당 지갑의 보유량은 3억 개를 넘어서며, 시세 기준 1,700억 원에 달하는 수준이다. 커뮤니티에서는 재단의 비공식 지갑 또는 상장을 염두에 둔 거래소의 물량 확보라는 추측이 확산되고 있다.

 PiScan

PiScan

파이코인 추적 사이트 Piscan.io에 따르면, 'GAS…ODM' 지갑은 최근 4개월간 약 3억 3,100만 개의 파이코인을 매집했다. 이는 현재 기준 파이코인 전체 유통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시장가로는 약 1억 4,850만 달러, 한화 약 1,730억 원 규모다.

해당 지갑은 OKX, Gate.io, MEXC 등 주요 중앙화 거래소에서 대규모 파이코인을 출금한 뒤 자체 지갑으로 이동시키는 형태의 매집 패턴을 보여왔다. 특히 가격이 하락하는 시점에 더욱 활발히 매입하는 '디핑(dip-buying)' 전략이 포착됐다.

정체에 대해 파이코인 재단 측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황이며, 어떤 거래소도 해당 지갑과의 연관성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 내에서는 해당 지갑이 △재단의 비공식 바이백 지갑 △익명의 대형 투자자 △대형 거래소의 상장 대비 물량 확보용 지갑일 수 있다는 세 가지 가능성이 제기된다.

각 시나리오에 따라 매집 목적도 달라진다. 익명 고래일 경우 거버넌스 영향력 확보, 전략적 스테이킹 등을 염두에 둔 사전 포지셔닝일 가능성이 있으며, 재단이라면 가격 안정과 유동성 조절 목적의 비공식 바이백일 수 있다. 거래소일 경우 상장 이후 시장 유동성 확보를 위한 준비 작업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파이코인은 현재 시가총액 약 3조 6,400억 원으로, 글로벌 코인 시총 순위 38위에 올라 있다. 그러나 실사용 유인 부족과 가격 변동성 문제로 인해 시세는 최근 수개월 간 하락세를 보였다.

이런 가운데 GAS…ODM 지갑의 대규모 매집이 향후 파이코인 가격 흐름과 상장 여부 등과 맞물려 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디지털오션(DOCN), AI 성장 엔진 달고 주가 29% 급등

디지털오션(DOCN), AI 성장 엔진 달고 주가 29% 급등

코인베이스, 하루 만에 신규 코인 4종 상장…TOWNS·PROVE 등 디파이 생태계 확대

코인베이스, 하루 만에 신규 코인 4종 상장…TOWNS·PROVE 등 디파이 생태계 확대

댓글

댓글

4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바다거북이

17:11

등급

위당당

13:47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GJ1000왕

2025.08.06 17:48:5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GJ1000왕

2025.08.06 17:48:4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GJ1000왕

2025.08.06 17:48:4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5.08.06 17:11:5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