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SEC, IEO 투자 경고문 발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14일(현지시간)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IEO(Initial Exchange Offering) 투자시 신중해야 한다"는 경고문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SEC는 "IEO는 ICO와 유사하다. 지난 몇년간 미등록 증권 발행과 관련해 많은 조사를 진행했다"며 "IEO 제공자는 IEO가 ICO와는 다르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그들은 여전히 연방 증권법을 위반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SEC는 "IEO는 거래플랫폼이 프로젝트를 대신해 직접 토큰을 판매하고, 즉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ICO의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거래소들은 SEC에 등록되지 않은채 스스로를 '거래소'라고 칭하며 IEO에 대해 성실히 검증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SEC는 "등록된 플랫폼이라고 해서 실제 등록되어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며 "SEC가 승인한 IEO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美 CFTC 위원장 "규제 적격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 신뢰도 향상"]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최근 히스 타버트(Heath Tarbert)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이 "CFTC는 투자자들이 보다 나은 가격예시(price discovery), 헤징 및 리스크 관리 등 환경을 누릴 수 있는 규제 적격 암호화폐 선물 시장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규제 적격 암호화폐 파생상품은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제고시켜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암호화폐가 CFTC의 규제 관할에 포함된다면 투자자들은 보다 암호화폐 상품을 신뢰할 수 있게 되고, 규제 적격 금융상품에 대한 접근권 보장으로 자산군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 향상이 가능하다. 이는 디지털 자산을 궁극적으로 합법화하고 시장에 유동성을 추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다만, 암호화폐 파생상품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거래소들이 규제 범위 밖에 놓여있어 향후 규제 적격 거래소들과의 경쟁 과열이 우려된다"고 부연했다.
[美 법원, 크레이그 라이트 '튤립트러스트' BTC 제출기한 2월 3일로 연기]
미국 남부 플로리다주 지방 법원 판사 베스 블룸(Beth Bloom)이 10일(현지 시간) 공개 문건을 통해 "크레이그 라이트와 데이브 클라이만의 110만 BTC 소유권 분쟁과 관련해, 크레이그 라이트가 제출한 '튤립트러스트' 문서에 명시된 BTC의 제출기한을 오는 2월 3일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현지 법원은 "크레이그 라이트가 법원에 제출한 문건 중 사실확인이 어려운 허위 문서가 포함된 것은 사실로 인정된다. 또 그가 2013년 12월 31일 전 채굴을 통해 얻은 BTC 물량 전부를 법원에 제출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된다. 아직 크레이그 라이트 측이 앞선 공청회에서 주장한 소유 비트코인의 수량과 출처는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며, 크레이그 라이트와 데이브 클라이만의 협력 관계는 법원의 관할을 벗어난다. 동시에 크레이그 라이트가 최근 법원에 제출한 세번째 튤립트러스트 관련 문건은 향후 부분 판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크레이그 라이트와 데이브 클라이만이 공동 채굴한 110만 BTC의 소유권을 결정 짓는데 결정적인 증거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튤립트러스트는 '신탁기금' 관련 문서로, 크레이그 라이트 본인이 110만 BTC를 채굴해 보유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레이스케일 BTC 투자신탁, 자사주 사모 재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TheBlock)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투자펀드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의 비트코인 투자신탁(GBTC)이 공인(accredited) 투자자들을 위한 자사주 사모를 재개했다. 발표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GBTC의 매일 순자산가치에 따라 청약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BTC는 상환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기 때문에, 사모 참여 투자자들은 1년간 GBTC 주식을 보유해야 한다. 앞서 지난해 11월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투자신탁(GBTC)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 신고를 제출한 바 있다. 해당 신청이 통과가 되면 투자자들은 6개월 뒤 보유 주식을 청산할 수 있게 된다. SEC 정의상 공인 투자자는 순자산 100만 달러 이상, 연 수입 20만 달러이상의 투자자를 나타낸다.
[모건 크릭 창업자 "미국의 달러 무기화, BTC 보급 가속화할 것"]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미국 자산운용사 모건 크릭 디지털 에셋(Morgan Creek Digital Assets)의 공동 창업자 앤서니 폼플리아노(Anthony Pompliano)가 "미국 정부는 지금까지 다른 나라들이 의존하고 있는 글로벌 기축통화를 컨트롤함으로써 해당 국가들에 제재를 가할 수 있었다"며 "미국이 달러를 무기화함에 따라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했다. 러시아나 중국 등 국가들이 달러의 대안을 찾고, 베네수엘라와 같은 국가가 새로운 화폐를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미국이 계속해서 달러를 무기화하게 된다면, 더 많은 국가와 사람들이 그를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트코인에 대해 인지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첫 본사 투자로 한국 상륙...한국 고객지원센터 설립]
코인데스크코리아에 따르면, 거래량 기준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14일 한국 기반 핀테크 스타트업 비엑스비(BXB Inc.)와 투자 및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바이낸스의 투자 전문 자회사인 바이낸스랩이 아닌 바이낸스 본사의 국내 기업 투자는 이번이 처음이다. 바이낸스는 이와 함께 국내에 바이낸스유한회사(Binance LTD) 법인을 설립한 사실도 시인했다. 바이낸스는 비엑스비가 바이낸스유한회사의 안정적인 국내 정착을 지원한다는 걸 전제로 비엑스비 투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바이낸스의 투자금 5억원은 전액 바이낸스유한회사의 자본금으로 쓰이게 된다. 이와 관련 바이낸스유한회사 관계자는 "국내에 바이낸스닷컴 이용자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이들을 위한 서비스를 강화하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Provided by 코인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