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코인빗, 사기 혐의 전격 압수수색"]
서울신문에 따르면 경찰이 26일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빗을 사기 혐의 등으로 전격 압수수색했다. 경찰은 코인빗 실소유주인 최모(48) 회장과 운영진이 다수의 ‘유령 계정’를 통한 ‘자전거래’(거래소 내부 계정끼리 코인을 사고파는 행위)로 거래량을 부풀리고 시세를 조작한 혐의로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신문 탐사기획부는 지난 5월 내부자로부터 코인빗의 비리 의혹을 제보받고 전체 거래량의 99%가 조작된 정황을 파악했다. 경찰은 시세조작을 통해 실현한 코인빗의 부당수익 규모가 최소 1000억원대가 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울신문이 입수한 최 회장과 코인빗 운영진의 허무인(虛無人) 거래 장부(2019년 8월~지난 5월 거래분) 분석 결과 비트코인 등 메이저 코인이 거래됐던 ‘거래소1’의 해당 기간 매수·매도 총액의 99%가 입출금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거래로 드러났다. 제보자 C는 “다른 대형 거래소들도 일정 규모의 자전거래를 하지만 장부상에만 있는 돈으로 거래를 조작하는 건 사기 행위”라고 지적했다. 미디어는 코인빗의 회계처리도 불투명한 상태라고 전했다.
[코인빗 관계자 "압수수색 맞지만 관련 혐의는 사실 아냐"]
조인디에 따르면 경찰이 26일 코인빗을 유령 계정 자전거래 및 시세조작 혐의 등으로 압수수색한 가운데 코인빗 관계자는 “압수수색과 관련한 혐의는 사실이 아니며, 허위 사실 유포자에 대한 법적 절차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압수수색 사실은 인정했다. 코인빗 관계자는 “업비트와 같은 거래소도 압수수색을 겪은 바 있다. 이후 무죄 판결을 받았다”며 “결국 혐의에 대한 무혐의를 입증하면 되는 문제다. 현재 언론에서 돌고 있는 코인빗 관련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거래소 매수·매도 총액의 99%가 입출금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거래라는 등의 의혹은 터무니 없는 소리”라며 “현재 허위 사실이 퍼져나가면서 코인 가격이 폭락하는 등,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사실 파악도 하지 않고 제보자의 말만 보도한 언론사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에도 코인빗 내부 의혹에 대해 기소 사례가 있었지만, 그것도 결국 무혐의 처리됐다”며 무혐의를 입증하겠다는 뜻을 덧붙였다. 입출금 제한으로 인한 ‘가두리’ 관련 의혹에 대해서는 초창기에 개발자 수가 적어 입출금을 수동으로 처리했기 때문이라며 인프라 대비 과도한 거래량 발생으로 입출금을 막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분석 "USDT 일평균 전송 가치, BTC·페이팔 웃돌아"]
코인텔레그래프가 코인메트릭스 보고서를 인용, USDT 일평균 전송 가치가 비트코인, 페이팔을 넘어섰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8월 20일 기준 테더의 7일 평균 전송 가치(adjusted transfer value)는 35.5억 달러를 웃돌았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 전송 가치 29.4억 달러보다 20% 가량 많은 수치다. USDT 사용 급증 배경으로 유니스왑 등 디파이 성장이 지목된다. 이코노미스트 존 폴 코닝은 페이팔 2분기 보고서를 인용하며 페이팔 일평균 송금액도 테더보다 적다고 말했다. 다만 미디어는 모든 트랜잭션을 적극 감시하는 페이팔과 트랜잭션이 대부분 익명성을 띠는 테더는 직접 비교 대상이 아닐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USDT 공급량은 현재 130억 달러를 넘어선 상태다. 올 들어 공급량이 225% 증가했다. 테더 CTO 파올로 아르도이노는 올해 USDT 공급량이 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백트 일 거래량 사상 최대... 1.42억 달러]
트위터 백트 볼륨봇이 26일 백트 거래량이 12,408 BTC(약 1.42억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OKEx 애널리스트 "BTC 11,000 달러 지지 여부 중요, 바닥 매수 심리 강화 분계선"]
OKEx 소속 애널리스트 Neo가 "엘리엇 파동이론에 입각했을 때 BTC가 12,500 달러를 찍고 하락한 때부터 60분봉 차트 기준 하락 3파 중 마지막 파동을 벗어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 3파가 끝났다고 단언하긴 어렵다. 강한 지지 레벨인 11,000 달러는 강세장 최후의 방어선이다. 향후 거래량을 동반한 하락세가 이어져 이 레벨이 깨진다면 하락 3파의 마지막 파동이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파동이 길게 이어질 수 있다. 반면 일일 차트 기준 11,400 달러에 안착하거나 11,000 달러 2차 테스트에서 지지를 받을 경우 바닥 매수 심리가 강화되며 대량의 숏 포지션이 롱으로 전환돼 12,000 달러를 테스트할 가능성이 있다. 오늘 주시할 지점은 11,000 달러 지지 및 11,400 달러 저항선 유효 여부다"라고 진단했다.
[신한은행,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서비스 도입]
디지털데일리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신한 쏠(SOL)에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마이아이디 기반의 분산신원확인(DID, Decentralized ID)기술을 도입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를 통해 비대면 2차 신원확인 절차(신분증 촬영 또는 통신사를 통한 본인인증)를 대체해 고객의 업무절차를 간소화했으며 쏠(SOL)을 통해 신원확인 절차를 거친 고객은 증권, 카드, 생명 등 금융기관 거래뿐만 아니라 생활편의 플랫폼에서도 신원확인 과정을 생략 또는 간소화 할 수 있다. 신한은행이 검증한 신원정보를 저장하고, 타 금융 기관에 제출시 신분증을 촬영해 제출하는 등의 별도 검증 없이 지문인증만으로 반복 제출이 가능하며 신원 정보의 위변조 여부는 블록체인으로 검증한다. 쯩(MyID)을 운영 중인 아이콘루프 김종협 대표는 “신한은행과의 이번 실명인증 발급은 금융권에 사용되는 DID 서비스의 국내 최초 상용화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라인, 개발자용 블록체인 플랫폼 출시]
코인데스크 코리아에 따르면 네이버 라인의 블록체인 부문 자회사 LVC코퍼레이션과 라인테크플러스(LTP)가 개발자들을 위한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라인 블록체인 디벨로퍼’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LVC와 LTP에 따르면 개발자들은 라인 블록체인 디벨로퍼를 통해 라인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쉽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기존 서비스에 고유한 토큰 이코노미를 더하는 데에도 활용 가능하다. 기업들은 자체 토큰 발행, 게임 내 디지털 자산 토큰화, 트랜젝션 이력의 투명성 보증, 데이터 수익화 등에도 라인 블록체인 디벨로퍼를 활용할 수 있다. LVC와 LTP는 이날 디지털 자산 관리를 위한 비트맥스(BITMAX) 월릿도 함께 공개했다. 비트맥스 월릿은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에서 획득한 디지털 자산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지갑으로, 라인 계정과 연동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Provided by 코인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