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분석 업체 "올해 월렛 다운로드 81%, 7월에 발생"]
앱 데이터 분석 업체 앱토피아(Apptopia)에 따르면 2020년 암호화폐 월렛 다운로드의 약 81%가 7월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베이스, 블록체인, 크립토닷컴, BRD 등 메이저 월렛 모두 월간 기준 다운로드 수 신기록을 경신했다. 이에 대해 앱토피아의 스태프 멤버인 메들린 레나한은 블로그를 통해 "코로나 격리 초기 일부 월렛 앱들의 다운로드가 증가했다. 당시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해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의 데이터는 이같은 성장이 진짜이며 지속적임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DeFi 인덱스 무기한 선물 상품 출시]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28일 15시 산하 선물 거래 플랫폼 바이낸스 퓨처스에서 DeFi 컴포지트 인덱스 상품 DEFI/USDT의 무기한 계약을 시작한다고 공지했다. 해당 상품은 최대 50배의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DeFi 컴포지트 인덱스 상품 무기한 계약은 바이낸스에 상장된 디파이 프로토콜 토큰 바스켓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지수 가격은 바이낸스 내 해당 토큰들의 시세에 가중 평균을 적용해 계산된다. 인덱스 바스켓에 포함되는 토큰들은 각각 Band Protocol (BAND), Compound (COMP), Kava.io (KAVA), Kyber Network (KNC), Aave (LEND), Chainlink (LINK), Maker (MKR), Synthetic Network Token (SNX), Swipe (SXP), 0x (ZRX) 등이다.
[피델리티, 비트코인 인덱스 펀드 출시 가능성]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피델리티 소매영업 부문인 피델리티브로커리지서비스가 비트코인 인덱스 펀드 '와이즈 오리진'(Wise Origin)을 출시할 예정이다. 해당 펀드 발행인은 피델리티 투자 전략 총괄인 피터 주버(Peter Jubber)로, 최소 투자액은 10만 달러다. 해당 펀드의 구체적인 발행 규모와 기간, 모금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포브스 "중국, BSN 통해 미국 기업 신흥시장 고립 유도"]
포브스가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BSN에 대해 "전세계 생산자들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묶어, 잠재적으로 미국 기업들이 중국과 신흥 시장 소비자에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포브스는 "현재 지정학적 긴장 상태를 감안할 때 BSN에 미국 기업과 관련 기관들이 참여하지 못할 것"이라며 "반면 중국은 이를 통해 글로벌 탈중앙화 서비스들이 중국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며, 그 반대 경로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또한 포브스는 BSN에 대해 "세계에서 가장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엔터프라이즈급 블록체인 생태계다. 전세계의 퍼블릭 체인과의 연결을 실현한다. BSN을 통해 각각 다른 산업 생태계에서 획기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라인 "자체 발행 토큰 LN 거래량 1억엔 돌파"]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라인이 26일 공식 채널을 통해 자체 발행 암호화폐 링크(LN)의 거래량이 상장 6일 만에 1억 엔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라인은 월초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LN을 일본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맥스에 상장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더허브 창업자 EIP-1599, 6~12개월 내 적용 전망]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앤서니 사싸노 이더허브 창업자가 "이더리움 개선 제안 EIP-1559가 6~12개월 내에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EIP-1599는 현행 네트워크 수수료 체계를 재편해, 거래 수수료 변동성과 실제 비용 간 비대칭을 해결하는 것으로 골자로 한다. 현재 이더리움 커뮤니티가 가장 기대하고 있는 개선안 중 하나로, 이더리움 출시 이후 가장 대규모의 복잡한 개선안으로 꼽힌다. 사싸노는 이에 대해 "EIP-1559 적용이 예정된 시간 안에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며 "목표 타임라인을 맞추기 위해 커뮤니티가 단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rovided by 코인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