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이더리움 PoW 체인 해시레이트 전반 하락.. ETF 고점 대비 82%↓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이더리움 PoW 체인 해시레이트 전반 하락.. ETF 고점 대비 82%↓]

블록체인에 따르면 19일 이더리움(ETH) 머지(PoS) 후 파생된 작업증명(PoW) 기반 하드포크 체인 이더리움페어(ETF) 해시레이트는 6.3 TH/s로 최고점 대비 82% 하락했으며, 이더리움PoW(ETHW) 해시레이트는 35.48TH/s로 56.23% 하락했다. 이더리움클래식(ETC) 해시레이트는 고점 대비 32.14% 하락한 211.11TH/s를 기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F는 현재 44.34% 내린 5.24 달러에, ETHW는 44.28% 내린 4.72 달러에, ETC는 13.25% 내린 29.7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카이버 CEO, KNC 급락 관련 "팀, 네트워크 문제 없어"]

탈중앙화 유동성 네트워크 플랫폼 카이버네트워크(KNC)의 CEO 빅터 트랜(Victor Tran)은 트위터를 통해 "가격 하락이 있을 때, 퍼드(FUD)가 더욱 활발해진다. 팀과 카이버 네트워크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오늘 새벽 밝혔다. KNC는 새벽 1시부터 1시간 동안 바이낸스 USDT 마켓에서 약 28% 폭락한 바 있다. 현재는 5.20% 내린 $1.367에 거래 중이다.

[엘리자베스 여왕 서거 후 ‘밈코인’ 40여개 등장...투자 주의보]

조선비즈에 따르면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서거 이후 관련 밈코인 40여개가 등장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전했다. 대표적인 것인 여왕 관련 밈코인은 ‘엘리자베스 이누’ 코인이다. 이 코인은 여왕 서거 소식이 전해진 직후 나왔다. 이 코인은 한때 3만% 정도 폭등했다. '롱 리브 더 퀸(Long live the queen)’ 코인도 등장했지만 잠시 폭등한 뒤 지금은 가치가 ‘제로’에 수렴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런 코인들의 대부분은 합법적인 결제 방식이 아니라 장난스럽게 만들어졌거나 최악의 경우 사기일 수 있는 만큼 투자를 극도로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모건크릭 창업자, 기관 암호화폐 투자 관련 리서치 업체 설립]

온체인 애널리스트 윌리엄 클레멘테(William Clemente)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모건크릭디지털애셋 창업자 앤서니 폼플리아노(Anthony Pompliano), 인플렉션 포인트(Inflection Points)와 함께 기관 전문 리서치 업체 '리플렉시비티 리서치(Reflexivity Research)'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리플렉시비티 리서치는 전통 금융 업체들의 암호화폐 투자에 도움 줄 예정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챈들러 궈 "ETHW·ETC 채굴자, 10%만 생존할 것"]

ETHW 하드포크를 주도한 중국 유명 채굴자 챈들러 궈(Chandler Guo)가 최근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작업증명(PoW) 기반의 ETHW 또는 ETC 채굴자의 10%만이 살아남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릭 에델만 "장기 투자자, 크립토 윈터 무시해도 된다"]

월스트리트 전설적인 투자자이자 미국 금융기업 에델만파이낸셜서비스(Edelman Financial Services) 창업자인 릭 에델만(Ric Edelman)이 CNBC와의 인터뷰에서 "장기 투자를 한다면 지난 9개월간 있었던 크립토 윈터는 일시적인 현상이며 충분히 무시할만 하다"고 밝혔다. 이어 "기관투자자의 암호화폐 시장 진출에는 규제가 필요하다. 현재 우리는 1%의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다. 규제가 명확해질 때까지 이 비율은 변하지 못할 것이다. 미국 SEC, CFTC, 재무부, 국세청, 금융산업규제국(FINRA), 연준에서 규칙을 마련 중이고, 현재 의회에 50개 이상의 (암호화폐) 법안이 발의됐다. 매우 건전한 상태"라고 진단했다.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Bitwise Asset Management)의 CIO인 매트 호건(Matt Hougan)은 "이더리움 머지(PoS전환)는 블록체인의 미래를 열었다. 시장에 유입되는 기관 투자자와 벤처캐피탈의 활동적인 움직임은 미래에 암호화폐가 시장의 선택을 받을 것이라는 지표"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암호화폐는 방향성을 잃었다. 적어도 9월까지는 방향이 나올 것 같지 않다"고 설명했다. 또 "1년 후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는 SEC 등록을 추진할 것 같고, 개별 토큰 프로젝트는 이보다 더 후에 SEC 등록에 나설 것 같다"고 내다봤다.

[분석 "美 금리 75bp 올리면 BTC 단기 바닥 형성 가능성"]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빗불 캐피털(BitBull Capital) CEO Joe DiPasquale은 "이번 주 FOMC 회의에서 비둘기파적인 신호가 있으면 시장이 강하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금리를 75bps 올려 암호화폐 가격이 추가 하락할 시에는 단기 바닥이 형성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BTC 20,000달러 이하는 여전히 매력적인 매수 구간이며, 15,000~17,000달러 구간에서 계속해서 축적이 이뤄질 것이다. BTC가 큰 폭의 돌파 움직임을 보이면 최대 24,000 달러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ETHW 코어팀 "네트워크 접속 장애, 옴니브릿지 취약점 공격 탓"]

최근 이더리움PoW(ETHW) 하드포크 체인 메인넷 출시 직후 네트워크 접속 장애가 발생, 일각에서 ETHW에 대한 리플레이(replay) 공격 가능성을 제기한 가운데 ETHW 코어팀이 "이는 옴니브릿지 컨트랙트 취약점 공격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전날 미디움을 통해 밝혔다. 코어팀은 "이번 공격은 옴니브릿지가 크로스체인 체인ID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ETHW 블록체인 자체와는 무관하다"며 "우리는 옴니브릿지 측에 해당 위험을 고지했다"고 설명했다. 보안업체 블록섹에 따르면 브릿지 공격자는 먼저 옴니브릿지를 통해 200 WETH를 전송한 다음 PoW 체인에서 동일한 메시지를 리플레이해 추가로 200 WETH를 받았다. 한편, 옴니브릿지는 이와 관련 더블록의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은 상태다.

[DEX 애그리게이터 체인지 파이낸스, ETHW 지원]

DEX 애그리게이터 체인지 파이낸스(Chainge Finance)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PoW(ETHW)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WETHW, ETH, WBTC, USDT, USDC, BUSD, DAI, BNB와 ETHW의 크로스체인 이체가 가능해졌다.

[FTX 유럽, 키프로스서 투자회사 라이선스 획득]

FTX 유럽이 키프로스에서 투자회사 라이선스를 획득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이에 따라 FTX 유럽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등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유럽의 금융규제법인 제2차 금융상품투자지침(Mifid II)에 따라 고객자금 분리, 자본 적정성 등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앞서 3월 FTX는 FTX 유럽을 설립, 스위스와 키프로스에 각각 본사와 지역 사무소를 개설했다.

[자본연, 9/22 디지털자산법안 정책 세미나 개최]

자본시장연구원이 오는 22일 14시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에서 '디지털자산법안의 주요 쟁점 및 입법 방향'을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미나에서는 디지털자산시장 참여자간 정보격차를 줄일 수 있는 공시제도, 시장의 투명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불공정거래 규제체계, 사업자에 대한 진입규제와 행위규제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주제 발표는 김갑래 자본연 선임연구위원이 맡으며, 패널로는 △김재진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사무국 총괄 △박선영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박주영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과장 △이정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한상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주현철 법무법인 이제 미국변호사 등이 참여한다.

[해킹 피해 브릿지 노매드, 화이트해커 주소 전체 공개]

지난 8월 해킹에 노출돼 1.86억 달러 상당의 피해를 입은 크로스체인 브릿지 노매드(Nomad)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블록체인 분석 업체 TRM랩스(TRM Labs)가 식별한 화이트햇(화이트해커)의 주소를 깃허브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확보하고 있는 화이트햇 목록과 해킹 관련 전체 주소를 교차 비교해 주소를 추려냈다. 공격자로 분류된 주소에 대해 세부적인 정보를 우리에게 알려준다면 해킹 자금 반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노매드가 지난 17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번주 초 브릿지 재가동 업데이트 관련 내용을 공개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한 바 있다.

[비트팜스, 아르헨티나 비트코인 채굴장 가동]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증권거래소 상장 비트코인(BTC) 채굴업체 비트팜스(BitFarms)가 아르헨티나에서 비트코인 메가팜의 운영을 시작했다. 9월 16일 채굴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10MW의 채굴 전력을 조달하고 있고 내년 100% 가동될 전망이다. 2023년 목표치인 50MW의 채굴 전력을 확보할 경우 초당 2.5엑사해시(EH/s)를 제공할 예정이며, 비트팜스 측은 비트메인 Antminer S19 Pro Hydro를 설치한다고 전했다. 초당 엑사해시(EH/s)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채굴자가 기여하는 해시파워의 양을 나타낸다.

[유명 해커조직 팀TNT, 비트코인 네트워크 해킹 시도]

작년 11월 활동 중단을 선언한 유명 해커 조직 팀TNT(TeamTNT)이 9월 초부터 활동을 재개, 비트코인 네트워크 해킹을 시도한 정황이 포착됐다고 블리핑컴퓨터가 보안업체 아쿠아 시큐리티 분석을 인용해 전했다. 분석에 따르면 팀TNT이 시도 중인 공격 유형에는 비트코인에 도입된 타원곡선 디지털서명 알고리즘의 매개변수인 SECP256K1 해킹이 포함됐다. 이와 관련 아쿠아 시큐리티는 "양자컴퓨터가 개발, 도입되기 전까지 비트코인 암호화 알고리즘을 깰 순 없겠지만 팀TNT는 하이재킹한 외부 리소스를 이용해 이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마라톤 디지털 CEO "재생에너지 사용 채굴자들에 인센티브 줘야"]

백악관이 최근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를 공개한 가운데 프레드 티엘(Fred Thiel) 마라톤 디지털 CEO가 "규제 기관은 비트코인 채굴자들에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을 장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블록에 따르면 그는 "재생에너지 사용 채굴자들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화석 연료 에너지 사용에 대해서는 제재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작업증명(PoW) 암호화폐 채굴을 효율적으로 만들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SEC·리플, 美 법원에 약식판결 서류 공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XRP) 개발사 리플랩스(Ripple Labs)가 리플-SEC 소송 담당 지방판사 아날리사 토레스(Analisa Torres)에 약식판결 서류를 공개했다. 해당 서류에서 SEC는 "리플은 XRP를 판매했고, 투자자들은 XRP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이를 구매했으며, 리플 측은 유동성 보호를 위해 취한 조치들을 (판매를 위해) 홍보했다"고 주장했다. 리플은 "XRP는 증권 여부를 판단하는 연방대법원 판례 하위 테스트(Howey Test)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리플과 SEC가 13일 뉴욕 연방지방법원에 약식 판결을 요청했으며, 19일 협의에 요구된 수정사항을 반영한 공개 서류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전한 바 있다.

[블룸버그 분석가 "BTC, 2025년 안에 10만 달러 도달할 것"]

핀볼드에 따르면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소속 시니어 상품 전략가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이 최근 킷코 뉴스(Kitco News)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10만 달러에 도달하는 것은 시간 문제다. 지금의 매크로 환경이 정리되면 비트코인은 오는 2025년 내에 10만 달러에 거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금은 암호화폐의 겨울이 아니라 글로벌 거시경제의 겨울이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암호화폐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암호화폐가 여러 자산군에서 상위권을 차지할 가능성이 크다. 암호화폐는 경주에서 가장 빠른 말이고 기술적 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HNT 오지급 버그, 바이낸스.US에서 발견"]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회계상 버그로 인해 헬륨 토큰 HNT 거래 이용자에 1,900만 달러 상당을 초과 지불한 가운데, 해당 버그는 Binance.US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바이낸스는 "Binance.com에서는 관련 버그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사용자 자산은 안전하다"고 부연했다.

[美 베스트 바이, 900개 매장서 BTC 하드웨어 월렛 판매 시작]

외신에 따르면 세계 최대 가전 유통 업체인 베스트바이(Best Buy)가 미국 900개 매장에서 비트코인 하드웨어 월렛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리치맘

2022.09.19 13:47:5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