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라틴아메리카 암호화폐 송금액 $5600억...세계 7번째 큰 시장"]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분석회사 체이널리시스가 보고서를 통해 "라틴아메리카는 세계에서 7번째로 큰 암호화폐 시장으로 성장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지난 2021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이 지역 사용자들에게 송금된 암호화폐는 5,620억 달러 수준인데, 이는 지난해 전체 총액 대비 40% 늘어난 수치다. 또 올해 암호화 지수 상위 30개국 중 5개 국가가 라틴아메리카에 속해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암호화폐 채택은 국가별로 불균형적이지만 속도는 매우 빠른 편이다. 아울러 이 지역의 인플레이션이 치솟으면서 스테이블코인 등 암호화폐 채택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분석 "BNB, SNS 낙관 전망 늘었지만 4분기 반등 기술적 장애물 존재"]
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가 암호화폐 마켓 분석 업체 샌티멘트의 데이터를 인용 "BNB의 소셜미디어 내 긍정·부정적 코멘트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인 '가중 감정'(weighted sentiment)이 최근 0.024를 기록하며 양수로 전환되며 투자자들의 낙관 전망 우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기술적 관점에서 4분기 반등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AMB크립토는 "바이낸스 BNB/USDT 일봉차트 기준 자산의 과매수·과매도를 가늠하는 지표인 머니 플로우 인덱스(Money Flow Index, MFI)가 중립 기준선인 50을 하회하는 27.13을 기록하고 있다. 상대 강도 지수(RSI) 역시 44.55 부근에서 횡보해 아직은 매도세의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방향이동지수(Directional Movement Index, DMI) 역시 매도세가 시장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암시하고 있다. 10월 초 MACD의 데드크로스, 20EMA 단기 지수이동평균이 50일 장기 지수이동평균 하방에 위치한다는 것 역시 긍정적 시장 흐름으로 보긴 어렵다. 온체인 데이터에서도 BNB 일일 활성 주소 수는 지난 5월 중순 대비 95% 감소한 1,013개를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NB는 현재 1.44% 내린 267.7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5.63%)
롱 49.10% | 숏 50.90%
2.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5.53%)
롱 50.37% | 숏 49.63%
3. FTX (BTC-USD, 시장 점유율 13.59%)
롱 48.76% | 숏 51.24%
[저스틴 선, 루나 사태 이후 서클로 23.6억 USDC 이체]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저스틴 선 트론 설립자 보유 추정 주소는 지난 5월 테라·루나 폭락 사태 이후 총 23.6억 USDC를 서클로 이체했다.
[문빔, 네트워크에 앱 연동 지원 플랫폼 하이퍼레인 추가]
폴카닷 파라체인 문빔(GLMR)이 블로그를 통해 개발자들이 블록체인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인 하이퍼레인(Hyperlane)을 네트워크에 추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문빔 빌더는 기존보다 많은 인터체인 통신 기능과 함께 문빔에 연결된 네트워크 수를 확장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개발자들은 이더리움(ETH), 폴리곤(MATIC), 아발란체(AVAX), 옵티미즘(OP), 아비트럼, BNB, 셀로(CELO) 등 7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GLMR은 현재 0.26% 오른 0.470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솔라나 기반 디파이 추적 플랫폼 소나워치, 소나 스튜디오 v0.3 출시]
솔라나(SOL) 기반 디파이 데이터 추적 플랫폼 소나워치(SONAR)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소나 스튜디오(Sonar Studio) v0.3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버전에는 성능 최적화, 소나 아카데미 기능, 소나 블록체인 API 롤아웃 등이 적용됐다. 아울러 아발란체(AVAX), 팬텀(FTM), 크로노스(CRO)도 지원한다.
[디비전 네트워크, 10/28 18시 LAND 퍼블릭 세일 진행]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디비전 네트워크(DVI)가 오는 28일 18시(한국시각) 랜드(LAND)의 네 번째 퍼블릭 세일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퍼블릭 세일은 디비전 마켓플레이스, 바이낸스 NFT, 게임파이(GameFi.org)에서 진행된다. 이번 퍼블릭 세일에서는 홍콩과 암스테르담의 약 4,700개 필지(PARCEL)가 판매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DVI는 현재 2.62% 내린 0.0320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보고서 "동아시아, 올해 가상자산 도입 순위 한 계단 내려간 4위...중국 영향력 여전"]
암호화폐 분석회사 체이널리시스가 보고서를 통해 "동아시아가 가상자산 도입지수 순위에서 전년 대비 한 계단 내려간 4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동아시아는 가상자산 시장 중 네 번째로 큰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가상자산 유입량은 지난해 7월부터 올 6월까지 7775억 달러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량 증가율은 전년 대비 4%로 체이널리시스가 조사한 지역 중 가장 낮다. 이는 중국 내 가상자산 활동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의 가상자산 거래량은 전년 대비 31.1% 줄었으나 여전히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또 거래 활동 역시 점차 회복되는 모습이다. 아울러 일본은 한국보다 가상자산 시장 규모가 작지만, 디파이 거래량은 567억 달러로 한국보다 2배 가량 높다"고 설명했다.
[위메이드, 멀티체인과 파트너십...수수료 없이 브릿지 서비스 제공]
뉴스1에 따르면 위메이드가 크로스체인 라우터 프로토콜 멀티체인(MULTI)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위메이드는 멀티체인과의 제휴를 통해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위믹스 3.0 메인넷 출시를 기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오는 22일부터 내달 22일까지 한 달간 수수료 없이 멀티체인을 통한 브릿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기간 동안 사용자들은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과 위믹스 3.0 간 가상자산을 송금할 때 수수료를 면제받을 수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WEMIX는 현재 4.60% 내린 1.8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셀러, 앱토스 메인넷 크로스체인 이체 지원...c브릿지 연동]
블록체인 상호운용 프로토콜 셀러네트워크(CELR)가 자체 개발 크로스체인 브릿지 c브릿지를 통한 앱토스(APT) 메인넷 크로스체인 이체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셀러는 이더리움 및 BNB체인↔앱토스 간 USDC, USDT, WETH, WBTC, DAI, BUSD, BNB 토큰의 크로스체인 이체를 지원한다. 코인마켓캡 기준 CELR은 현재 2.68% 내린 0.01365 달러, APT는 1.07% 내린 7.5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인도 유명 엔젤투자사, 1,740억 규모 VC 펀드 출범...웹3 등 투자]
머니컨트롤닷컴에 따르면, 인도 엔젤투자 플랫폼 인도 엔젤 네트워크(IAN)가 20일(현지시간) 100억 루피(약 1,740억원) 규모의 벤처캐피털 펀드 'IAN 알파 펀드'를 출범했다고 발표했다. IAN 알파 펀드는 클린테크, 헬스케어, 애그리테크, 에드테크, 핀테크, 4차 산업, 스페이스테크, 웹3, 로봇 공학 등 신흥기술 스타트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IAN은 해당 펀드를 통해 각 프로젝트 당 약 100만~500만 달러를 투자한다.
[앱토스 월렛 페트라, 계정 생성 관련 버그 수정 완료]
앱토스(APT) 월렛 페트라(Petra)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앱토스 랩스가 20일 페트라 월렛 내 계정 생성과 관련된 버그를 발견했다. 계정 생성 페이지에 표시되는 도움말이 정확하지 않았다. 해당 버그는 이미 수정을 완료했으며, 곧 구글 앱스토어를 통해 페트라 V1.0.6 업데이트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샌티멘트 "이번주 LTC 대규모 이체 급증, 상승 전조 현상"]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분석 업체 샌티멘트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번주 라이트코인(LTC) 활성 주소 수와 대규모 트랜잭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어서 샌티멘트는 "특히 라이트코인 네트워크 내 100만 달러 이상의 대규모 트랜잭션 급증 현상은 BTC와 비교해 본격적인 상승 전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LTC는 현재 0.14% 오른 51.0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아이콘 재단, 이뮨파이와 파트너십...버그바운티 프로그램 진행]
아이콘(ICX) 재단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암호화폐 중심 버그바운티 플랫폼 이뮨파이(Immunefi)와 파트너십을 체결, 21일부터 아이콘 버그바운티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아이콘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 고루프(Goloop, 아이콘 메인넷 노드 소프트웨어), 아이콘 트래커 등의 취약점 제보자는 취약점의 심각성에 따라 최대 10만 달러의 보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ICX는 현재 1.63% 내린 0.211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일본은행, 이틀 연속 긴급 채권매입...기존 조작규모 확대]
뉴스1에 따르면, 일본의 중앙은행 일본은행이 이틀 연속 긴급 채권매입에 나섰다. 21일 로이터는 일본은행이 긴급 채권매입을 실시했고, 기존에 예정됐던 공개조작의 채권매입 규모도 확대했다고 보도했다. 예정에 없던 긴급 매입은 연이틀 이뤄져 국채수익률 곡선통제 정책에 따라 정해진 수익률 상한을 지켰다. 일본은행은 전날 10~20년물 국채 1천억엔(약 9,500억원), 5~10년물 국채 1천억엔(약 9,500억원) 매입 방침을 밝혔다. 이는 엔/달러 환율이 심리적 저항선인 150엔에 근접하자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정책 상한선인 0.25%를 넘어선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zkSync 개발사 "11월 초 자체 토큰 토크노믹스 발표"]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zkSync 개발사 매터랩스(Matter Labs)의 최고제품책임자(CPO) 스티브 뉴컴(Steve Newcomb)이 21일 트위터 스페이스(트위터 실시간 음성 채팅)를 통해 "11월 초 zkSync 자체 토큰의 토크노믹스 관련 공지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zkSync는 10월 28일 메인넷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애니모카브랜드 창업자 "메타 100억 달러 투자, 충분치 않아"]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의 공동 창업자 얏 시우(Yat Siu)가 "메타버스에 대한 메타(Meta)의 100억 달러 투자는 충분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또한 "더샌드박스(SAND) 등과 비교할 때 메타의 경쟁력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메타가 사람들을 플랫폼에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돈을 투자해야 한다. 진정한 메타버스를 만들기 위한 핵심은 재산권"이라고 강조했다.
[두나무·하이브 합작사 레벨스 ‘모먼티카’ 출시…하이브 아티스트 디지털 카드 판매]
디지털투데이에 따르면, 두나무와 하이브가 만든 조인트벤처 레벨스가 블록체인 기술과 아티스트 IP를 결합한 서비스 플랫폼 '모먼티카'를 공식 오픈했다고 21일 밝혔다. 또 레벨스는 세븐틴, 프로미스나인,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엔하이픈, 르세라핌 등 하이브 레이블즈 아티스트의 프로젝트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공개하고 디지털 카드 '테이크'(TAKE) 판매를 시작한다. 테이크는 팩(Pack) 단위로 판매되며, 1개의 팩에는 아티스트별 테이크가 랜덤으로 3장이 포함된다. 모먼티카의 첫 팩 드랍은 25일 진행된다. 아티스트마다 총 4회에 걸쳐 드랍하며, 3회차까지 중복 없이 다른 컨셉의 테이크가 공개된다. 첫 팩 드랍 아티스트는 22일 공개되며, 향후 공식 SNS 채널을 통해 참여 아티스트를 공개한다.
[온더, 부산서 통합 가상자산거래소 참여..."내년 3월 토카막 메인넷 출시"]
더벨에 따르면, 토카막 네트워크(TON) 개발사 온더가 최근 부산시가 준비 중인 통합 가상자산거래소에 합류하기 위해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온더 측은 "대중이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에 접근하는 1차 단계가 거래소"라며 "거래소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기에 관련 사업에 도전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 온더는 내년 3월 토카막 네트워크의 메인넷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TON은 현재 5.47% 오른 1.5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도 ETH 스테이킹 보상 연이율 3.5%→5.5%...네트워크 활동 증가 영향]
더블록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멀티체인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리도(LDO) 내 ETH 스테이킹 연간 수익률(7일 이동평균 기준)이 이달 들어 5.5%로 상승했다. 미디어는 "이는 지난 9월 3.5%에서 2%p 증가한 수치다. icETH 및 ETHMAXI 등 stETH 담보 대출을 활용하는 레버리지 ETH 스테이킹 연이율(APR)은 최대 11%까지 치솟기도 했다. 디파이 사용자들은 이 같은 레버리지 시스템을 활용해 스테이킹 연이율을 극한까지 끌어 올리고 있다. 최근 ETH 스테이킹 수익률 상승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내에서 뚜렷하게 증가한 온체인 활동에 기인한다. 이는 네트워크 검증자들에게 더 높은 수수료를 요구하게 되고, 네트워크 수수료 수익이 증가해 스테이커들에게 돌아가는 보상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LINK 상어·고래 주소, 3월부터 3.12억 달러 상당 LINK 매집"]
유투데이가 블록체인 분석 업체 센티멘트의 데이터를 인용 "체인링크(LINK) 상어 및 고래 주소(1만~100만 LINK 보유 주소)들이 이번 약세장 기간 적극적인 매집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3월 3일 이후 4,731만 LINK를 추가 매수했으며, 이는 약 3.127억 달러 상당"이라고 분석했다. 샌티멘트에 따르면, LINK 상어·고래 주소들은 현재 유통량의 약 17.61%를 보유하고 있으며, 약세장 기간 총 보유량의 4.73% 상당을 추가 매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래 주소들의 지속적인 매집에도 불구하고, LINK 가격은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약세 흐름에 동조하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LINK는 현재 1.35% 내린 6.6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