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 위믹스 담보 상환 완료... "가치와 절차 준수"]
위믹스는 지난 10월 27일 한국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로부터 계획된 유통량과 실제 유통량이 차이가 있음을 이유로 투자유의 종목으로 지정됐다. 팀은 이를 조기 해제하고자 적극 소명 중에 있는것으로 확인됐다. 코코아 파이낸스에 담보예치된 위믹스에 대해 담보해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 중에 있으며, 투자유의 종목 지정으로 인한 위믹스의 가격변동성 증가에 따른 청산 위험을 최소화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위메이드는 최근 2차에 걸친 KSD 일부상환을 통해 대여잔액과 담보비율을 현저히 낮췄다. 커뮤니티와 거래소의 신뢰를 근원적으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코코아파이낸스 차입금을 전액 상환하기로 결정했다. 또 상환을 위한 재원은 위믹스파이 출범 이후, 위믹스달러 및 각종 디파이 프로토콜이 안정됨에 따라 초기 제공됐던 유동성을 일부 회수하여 충당하기로 결정했다.
당초 위믹스파이는 TVL 극대화가 목표가 아닌, 생태계의 크기와 활력에 적정한 수준의 위믹스달러의 발행이 목표였다. 이에 회사는 큰 문제없이 안착하였다고 판단, 초기 안정성을 위해 공급되었던 유동성 축소는 위믹스달러와 위믹스파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됐다.
위메이드는 다음과 같이 상환작업을 진행했다.
- 위믹스파이에서 일부 유동성 축소를 통해 USDC 재원을 확보> 위믹스/위믹스달러 풀에서 $5M 유동성 축소 (약 1,691,984.81 위믹스, 약 2,500,331.30 위믹스달러 출금)
- USDC/위믹스달러 풀에서 $6M 유동성 축소 (약 3,008,099.33 USDC, 약 3,001,428.66 위믹스달러 출금)
- KLAY/위믹스달러 풀에서 $1M 유동성 축소 (약 2,970,220.25 클레이, 약 500,046.66 위믹스달러 출금). 확보한 6,001,806.62의 위믹스달러는 AMA로 소각 후, 해당 준비금인 6,001,806.62 USDC가 Treasury에서 자동 인출되어, 총 약 9M USDC를 확보
- 재단 운영자금에서 약 357,224 USDC를 마련했습니다. 확보한 약 9M USDC를 멀티체인 브릿지를 통해 이더리움으로 전송, 9.4M USDC를 이후 오르빗 브릿지를 통해 클레이튼으로 전송하여 oUSDC로 변환
- 이후 oUSDC를 KSD로 교환하여 총 약 9.4M KSD를 확보
- 총 9,367,129.636987 KSD를 상환하고 담보설정된 35,800,000.006552 위믹스클래식을 인출
- 청산 대비용 27,616,043.855917 위믹스클래식과 담보상환된 35,800,000.006552 위믹스 클래식을 리저브월렛으로 환수, 총 63,416,043.862470 위믹스클래식이 환수
- 리저브 월렛 주소 : 0x5c4819abfa5967b9a66a13b06538bc22d20def97
상환 작업과 함께 회수된 각종 자산의 처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했다.
- 위믹스파이에서 유동성 축소를 통해 확보한 USDC 재원을 제외한 1,691,984.81 위믹스, 2,970,220.25 클레이는 재단 LP 월렛으로 환수
- LP 월렛 주소 : 0xC19E7aEa9d407bF405bef4A1f5EC9932e60De8EC
- 2,409,081.3714213 위믹스 (준비금 717,096.6 위믹스 포함), 2,970,220.36 클레이
한편, 위메이드는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상환절차 도중 투자유의 종목 지정이 연장되는 통보를 받았다.
향후 위메이드는 투자유의 종목 지정을 야기하게 된 유통량에 대한 시각차를 커뮤니티, 거래소와 일치화시키고, 에코시스템의 확장과 동시에 투자자 보호가 중요한 프로젝트 가치임을 재확인하여, 적극적이고 즉각적인 공시시스템과 안전하고 투명한 자산관리 시스템을 보강하여, 커뮤니티와 거래소의 신뢰를 회복, 나아가 더욱 강화하고, 에코시스템의 확장, 커뮤니티의 성장, 그리고 투자자의 성공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위메이드 관계자는 "위믹스는 지난 10월 20일 메인넷 위믹스3.0 출범과 함께, 총 8개의 플랫폼(위믹스3.0, 익스플로러, 위믹스 월렛, 40WONDERS, 위믹스플레이, 나일, 위믹스파이, 파피루스)이 순차적으로 선보이며 적극적인 생태계 확장에 힘쓰고 있다"라며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투자에 대해 위믹스팀은 위에 약속드린 가치와 절차를 준수하며 커뮤니티의 동의와 지지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다시 한번 약속 드린다"고 전했다.
[FTX US 법률고문 "플랫폼 보존, 쉽지 않은 상황"]
블룸버그에 따르면 FTX US 법률고문 라인 밀러(Ryne Miller)가 사내 메신저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FTX US)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긍정적인 결과를 낙관해선 안된다"며 "현재 최선을 다해 외부 고문과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임직원들은 개인 상황에 맞게 스스로 선택할 준비를 해야 한다. FTX US의 경우 적어도 다음 급여까진 지불할 여력이 있다"고 덧붙였다. 해당 메시지는 슬랙을 통해 직원들에게 공유된 후 얼마안가 창업 멤버 중 한 명에 의해 삭제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코인니스는 그가 직원들에게 "FTX, FTX US, 알라메다리서치 및 계열사 등 업무와 관련된 메일, 메시지, 메모, 문서 등을 모두 보관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한 바 있다.
[캐나다 3위 연기금 "FTX에 9500만 달러 투자, 순자산 0.05% 불과"]
로이터에 따르면 캐나다 연기금 가운데 세 번째로 규모가 큰 온타리오 티처 연금 플랜(OTTP·Ontario Teachers' Pension Plan)이 FTX에 투자한 금액은 9500만 달러이며, 이로 인한 재정적 손실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OTTP는 "지난 2021년 10월 FTX와 FTX US에 총 7500만 달러를 투자했고, 올해 1월 FTX US에 2000만 달러를 추가로 투자했다. 이는 OTTP 순자산의 0.05%에도 미치지 못한다. 투자로 인한 재정적 손실은 불가피하지만,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전했다.
[테더 CTO "FTX·알라메다에 투자 및 대출 계획 없다"]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의 최고기술책임자(CTO) 파울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가 11일 새벽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테더는 FTX나 알라메다에 투자를 하거나 돈을 빌려줄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앞서 로이터는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가 94억 달러 구제금융 패키지 마련에 착수했다며, 저스틴 선, OKX, 테더 등과 접촉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보고서 "테마섹·패러다임·세쿼이아 캐피털, FTX 사태 최대 피해 기관"]
포브스가 자체 보고서를 통해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Temasek), 패러다임, 세쿼이아 캐피털(Sequoia Capital)이 이번 FTX 붕괴 사태로 인해 가장 큰 손실을 입은 3개의 기관 투자자"라고 진단했다. 또 포브스는 보고서를 통해 "특히 세쿼이아 캐피털의 현재 FTX 지분율은 1.1%로 추산되며, 투자금은 2억 1,500만달러(약 2,000억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FTX 피인수' 블록파이, 출금 일시 중단... FTX 이슈 영향]
미국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블록파이(BlockFi)가 고객 출금 중단을 포함 일부 플랫폼 서비스를 제한하고 있다고 공지했다. 블록파이는 "이번 사태와 관련 FTX, FTX US, 알라메다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8일(현지시간) 블록파이는 FTX 유동성 위기에 따른 영향과 관련 "우리는 독립적인 사업체"라며 "서비스 정상 운영 중"이라고 말한 바 있다. 앞서 블록파이는 FTX US와 최대 2.4억 달러 규모의 인수 거래를 합의한 바 있다.
[바이낸스, 1700만 FTT 보유... 총 공급량 5% 규모]
이더스캔 데이터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FTX 인수 포기를 발표한 이후에도 여전히 1700만 FTT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FTT 총 공급량의 5% 상당이라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FTT는 현재 27.28% 오른 3.5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폴리곤 "디즈니 직원 식별 디지털 수집품 개념 증명 개발 중"]
폴리곤(MATIC)이 11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월트디즈니의 디즈니 2022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뒤 월트디즈니와의 협업을 진행 중"이라며 "첫 협업 사례로, 특별한 경우에 디즈니 직원을 식별할 수 있는 독점 디지털 수집품에 대한 개념 증명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7월 폴리곤이 디즈니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참여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MATIC은 현재 32.67% 오른 1.1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 "美 SEC, FTX 창업자 증권법 위반 여부 조사 중"]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의 증권법 위반 혐의에 대해 조사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한 관계자는 "현재 SEC는 FTX와 FTX US, 알라메다 리서치를 조사하고 있으며, 조사가 강화 및 확대되면서 FTX의 유동성 위기에 SBF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서도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미국 법무부가 SEC에 이어 FTX 사태에 대한 조사에 나섰으며, 바이낸스에 FTX 내부 정보를 요청했다고 전한 바 있다.
[제네시스 트레이딩 "파생상품 관련 1.75억 달러 FTX에 묶여 있어"]
로이터에 따르면 암호화폐 트레이딩 및 대출 업체 제네시스 트레이딩(Genesis Trading)은 현재 회사 파생상품 관련 1억7500만 달러 규모 자금이 FTX 거래 계좌에 묶여 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제네시스는 "해당 자산이 회사 운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앞서 제네시스는 "알라메다 등 대출 담보물 매도로 700만 달러 손실을 입었다"며 "중앙화 거래소에서 발행된 토큰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FTX와 대출 관계가 없다"고 전한 바 있다.
[美 캘리포니아 금융 당국 "FTX 사태 조사하겠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주 금융 규제 기관 '금융 보호 및 혁신부(Department of Financial Protection and Innovation, DFPI)'가 공식 성명을 통해 FTX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DFPI는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붕괴와 관련 자체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짧게 언급했다. 해당 기관은 캘리포니아 주 대출 및 은행법과 소비자 금융 보호법 및 증권법 등의 준수 여부를 감독하는 기관이다. 이에 따라 캘리포니아 주는 미국 주정부 중 최초로 FTX 사태에 대한 자체 조사를 진행하며, 현재 SEC를 포함한 연방 규제기관도 이번 FTX 붕괴 사태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외신 "FTX 창업자, 앞서 세쿼이아 등 VC에 5억 달러 이상 투자"]
디인포메이션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는 패러다임, 세쿼이아 캐피털(Sequoia Capital)을 포함한 벤처캐피털(VC)에 현재까지 약 5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FTX는 VC로부터 지속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기도 했지만, 반대로 VC에 이같은 대규모 재투자를 진행하기도 했다"고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또 미디어는 "이러한 상호 투자 움직임은 실리콘밸리 VC들이 FTX와 얼마나 깊게 연관됐는지를 보여준다. FTX 관계사 알라메다 리서치는 패러다임에 최소 2,000만 달러를 투자, FTX 벤처스는 세쿼이아 캐피털, 알티미터캐피털, 멀티코인 캐피털 등에 수억 달러를 투자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고 덧붙였다.
[카카오페이 "한은 CBDC 사업서 오프라인 결제기능 개발"]
카카오페이가 한국은행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사업에 참여해 중점 과제를 완수했다고 11일 밝혔다. 한은은 지난해 8∼12월 1단계, 올해 1∼6월 2단계에 걸쳐 CBDC의 오프라인 구현, 이자 지급과 환수, 동결 및 추심, 국가 간 송금 등 다양한 정책지원 및 지급서비스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카카오페이는 이 중 2단계 사업에서 '오프라인 CBDC'와 '디지털자산 구매' 분야 구축을 주도하고, 블록체인 기반 CBDC 적용에 대해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오프라인 CBDC는 인터넷이나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디지털화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 카카오페이는 근거리무선통신(NFC)이나 블루투스 등 전산기기에 탑재된 자체 통신 기능을 통해 CBDC 거래가 가능한 서비스를 개발했다.
[외신 "FTX 창업자, 지난 봄 직원들에 회사 지분 일부 매각"]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가 지난 봄 자사 직원들에게 회사 지분 매각을 단행한 바 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한 관계자는 "당시 샘 뱅크먼 프리드는 50% 저렴한 가격에 자신의 지분을 일부 매각했고, 6월에는 성과 미흡을 이유로 20명의 직원이 해고된 바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현재 FTX US 직원들은 SBF와 별개로 자신들의 회사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네오핀, 릴리어스 '유틸리티 NFT' 단독 에어드랍 진행]
블록체인 전문 기업 네오핀(NPT)이 공식 채널을 통해 자체 모바일 앱 내 NFT 지갑 기능 오픈에 따라 파트너사인 '릴리어스 글로벌'과 함께 오는 12월 출시 예정인 T2E(Training to Earn) 서비스 릴리어스에서 활용 가능한 '유틸리티 NFT'의 단독 에어드랍을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네오핀은 릴리어스에서 운동을 하고 보상을 받을 때 운동 기능을 부스트 해주는 등의 기능을 갖춘 덤벨 5개, NFT 구매 시 퍼블릭 세일가보다 저렴하고 확정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선구매 OG 롤 20개 등을 에어드랍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NPT는 현재 10.43% 오른 0.890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印 거래소 지오투스, 인도 거래소 최초 준비금 증명 제공]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인도 거래소 지오투스(Giottus)가 준비금 증명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미디어에 따르면 머클트리 준비금 증명 도입과 관련해 인도 암호화폐 업계 대표 단체인 '바랏 웹3 어소시에이션(BWA)'과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 코인스위치 쿠버, 와지르엑스가 논평을 거부했으며, 젭페이, BitBNS, BuyUCoin는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25... 투심 개선]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대비 3포인트 오른 25를 기록했다. 투심이 개선되며 극단적 공포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바하마 규제 당국, FTX 및 관련자 자산 동결]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바하마 규제 당국이 보도자료를 통해 FTX 디지털 마켓 및 관련 당사자의 자산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바하마 증권위원회는 FTX 등록을 중단하고, 자산의 임시 청산인으로 Lennox Paton 파트너 변호사 브라이언 심스(Brian Sims)를 임명했다. 증권위원회는 "고객의 자산이 잘못 취급되고, 고객 동의 없이 알라메다 리서치로 이전 된 정확이 확인됐다. 정상적인 거버넌스에 위배되며, 잠재적으로 불법일 수 있다"고 밝혔다.
[FTX, 바하마 고객 출금 처리...바하마 규제 기관 영향]
바하마 규제 기관이 FTX 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FTX가 바하마 고객의 인출을 처리했으며, 인출된 자금은 보유 자산 중 소액을 차지한다고 FTX 공식 트위터가 밝혔다. 또한 나머지 고객 인출을 위한 추가 경로를 연구하고 있으며, 전세계 사용자를 대상으로 FTX가 할 수 있는 일과 해야할 일을 적극 조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체인링크랩스, 암호화폐 거래소 준비금 증명 서비스 제공]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체인링크(LINK) 오라클 개발팀 체인링크랩스(Chainlink Labs)가 암호화폐 거래소 준비금 증명(Proof of Reserve)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암호화폐 거래소 보유량을 감사할 수 있는 기술이다. 바이낸스 CEO는 모든 거래소들의 PoR 동참을 촉구한 이후 일부 거래소가 PoR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몇 주 또는 그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체인링크는 자사 서비스가 즉시 사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거래소 API와 볼트 주소에 모두 연결된 체인링크 노드를 사용하며, 노드는 PoR 스마트 컨트랙트에 연결된다. 체인링크랩스는 해당 서비스가 거래소 신뢰 문제에 대한 간단한 솔루션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트위터 이용자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체인링크 PoR 솔루션을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