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美 통화감독청 "은행, 암호화폐 사업 진출 신중해야...규제 당국과 사전 논의 권고"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20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KB증권, 세계은행 채권 토큰화 사업 참여]

싱가포르 핀테크 기업 인터오페라(InterOpera)는 9일 KB증권 등 글로벌 금융기관과 함께 최신 블록체인 기술을 자본 시장 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실증하기 위한 세계은행 채권 토큰화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KB증권을 비롯해 세계은행 산하 국제금융공사(IFC)와 △중국은행(BOC) △말레이시아 국제상업은행(CIMB) △싱가포르개발은행(DBS) △홍콩상하이은행(HSBC) 등이 옵저버 및 참가자로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초국가채권(Supranational Bond)을 싱가포르 기반 투자자에게 제공했다. 투자자가 최소 100달러의 자금으로 채권에 투자할 수 있도록 했다. KB증권은 최근 증권형 토큰(STO) 플랫폼 핵심기능 개발 작업과 테스트를 완료했다. 지난달에는 싱가포르 증권형 토큰 발행 플랫폼 ADDX에 투자했다.

[프리랜서 마켓 플랫폼서 '가상자산 상장 컨설팅' 성행]

프리랜서 마켓 플랫폼에서 '가상자산 상장 컨설팅을 해주겠다'는 업체가 성행하고 있다. 미디어는 "‘크몽’, ‘숨고’ 등 프리랜서 마켓 플랫폼에서 가상자산 브로커가 활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들 업체는 ​자신들이 블록체인 전문가라며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을 받고 가상자산 발행부터 상장까지 책임져준다고 홍보하고 있다. 실제로 350만 원에 코인 발행, 백서 제작에서 상장까지 해준다는 한 업체는 '거래소 상장 비용은 거래소마다 다르​며, (거래소에) 직접 내야 한다. 또 코인과 토큰의 개발비용과 생태계 조성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코인과 토큰 중에선 토큰으로 시작하는 게 낫다'며 고객을 모집하고 있었다. 이들 업체를 거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상장을 시도할 경우, 최소 수억 원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SBF 오이로 때리면 코인 주는 플래시 게임 나와]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엔터테인 투 언(Entertain-to-Earn)기업 드라마 랩스(Drama Labs)가 FTX 전 CEO 샘 뱅크먼 프리드(Sam Bankman-Fried)의 캐리커쳐를 때려서 토큰을 얻을 수 있는 플래시 게임을 출시했다. 슬랩 SBF(Slap SBF)라는 이름의 이 게임은 샘 뱅크먼 프리드 캐릭터를 오이로 때리면 드라마(DRAMA) 토큰을 지급한다.

[랜 노이너 "FTX 새 FTT 발행해 수익 100% 나누면 최대 거래소 될 것"]

CNBC 크립토 트레이더 랜 노이너가 "FTX 거래소가 새 FTT 토큰을 발행해 채권자/예치자에게 분배하고 토큰 홀더에게 수익의 100%를 나눠주면, 세계 최대 거래소가 될 것"이라고 트윗했다. 이어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나 바이비트가 나를 기꺼이 지지하고 인도해 준다면 기쁠 것이다. 진심으로 나는 이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DOGE 커뮤 인플루언서 "트위터 코인 개발? DOGE에 아무 의미 없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도지코인(DOGE) 커뮤니티 유명 인플루언서 미샤보어(Mishaboar)가 9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트위터가 실제 코인을 개발하고 있다고 해도 DOGE에겐 아무 의미도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도지코인 커뮤니티에 "트위터가 결제용 코인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문은 한 트위터리안(@nima_owji)이 트위터의 svg 이미지 및 사용하지 않는 탭의 웹 앱 코드에서 'Coins'라는 단어를 발견하고부터 시작됐다. 실제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DOGE에 무언가를 의미하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DOGE는 현재 2.09% 오른 0.0982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5.8%)

롱 53.06% | 숏 46.94%

2.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6.85%)

롱 49.28% | 숏 50.72%

3.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4.19%)

롱 51.96% | 숏 48.04%

[이더리움 코여 기여자 보상 '프로토콜 길드' 누적 $970만 후원 받아]

이더리움 코어 기여자 보상 이니셔티브 프로토콜 길드(Protocol Guild)는 현재까지 총 $970만 후원금을 받아 이중 $500만을 분배했다고 밝혔다. 주요 후원자는 리도다오, 유니스왑, ENS, 논스, 몰록다오로, 이들은 총 $880만(LDO 29%, ENS 19%, ETH/WETH 22%, 기타 토큰 2%)을 후원했다. 프로토콜 길드 멤버는 초기 90명에서 현재 128명으로 증가했다. 1인당 평균 $3.9만을 받았다.

[컴투스, 자사 발행 코인 유통량 실시간 공시]

컴투스의 블록체인 메인넷 `엑스플라`(XPLA)가 유통 물량을 실시간 수준으로 공개하는 공시 정책을 9일 발표했다. 엑스플라는 매 분기 정기적인 업데이트 외에도 총 발행 물량의 0.1% 이상 변동이 있을 경우 사전 공시를, 0.005%의 물량 변경이 있을 경우에는 14일 이내에 실시간으로 공시할 계획이다. 해당 정보는 엑스플라 공식 채널 뿐만 아니라 쟁글, 코인마켓캡 등 공시사이트에도 제공되며, 엑스플라는 온체인 유통량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API를 코인마켓캡에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엑스플라는 글로벌 회계 법인을 통한 상시 외부 감사로 프로젝트의 건전성도 검증받는다.

[블로핀 CEO "암호화폐 친화 시그니처뱅크 방문...큰 손 고객 많아"]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블로핀(Blofin)의 최고경영자(CEO) 맷 휴(Matt Hu)가 트위터를 통해 "미국 뉴욕 소재 암호화폐 친화 은행 시그니처 뱅크를 방문했으며 이 은행 대차대조표를 통해 큰 손 고객들이 많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규제 당국은 은행의 암호화폐 잔액과 큰 손 고객들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그들은 은행이 더 다양한 고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암호화폐 잔액과 큰 손 고객 모두를 줄이기를 원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웨이브 "USDN, WAVES 토큰과 연동되지 않아...업비트·빗썸과 소통 중"]

전날 디지털 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닥사)에 의해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웨이브(WAVES)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웨이브 블록체인 기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N은 본질적으로 WAVES 토큰과 연동되지 않는다"며 "USDN 디페깅은 WAVES 발행에 어떤 역할도 할 수 없으며, 공급량을 부풀릴 수도 없다. 따라서 USDN 디페깅이 WAVES 가치 급락을 야기할 수 있다는 DAXA 측의 설명은 잘못됐다.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업비트, 빗썸 측과 소통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웨이브 측은 "USDN이 WAVES 가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컨트랙트를 통해 담보로 묶인 WAVES를 교환해 시장에 WAVES를 판매하는 것이다. 하지만 WAVES 총 공급량의 4.2%만이 USDN 스마트 컨트랙트에 예치돼 있으며, 이는 글로벌 거래소 내 WAVES 일일 거래량의 9.8%에 불과하다. 또 USDN 시스템에 설정된 일일 스왑 한도 및 담보 비율 보호로 인해 순간적으로 전체 준비금을 소진하는 것도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WAVES는 현재 10.75% 내린 2.0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준석 "비트코인 자동매매 업체와 아무런 관련 없어...법적 조치 취할 것"]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모 비트코인 자동매매 업체가 자신의 초상권을 도용했다며 법적 조치에 들어갔다. 이 전 대표는 9일 오후 SNS를 통해 "저와 어떤 상의 및 허락도 없이 비트코인 자동매매 상품을 저와 연관이 있는 듯이 광고한 업체에 대해 법적 조치를 진행하려 한다. 저는 해당 업체와 아무 관계도 없으며 해당 업체가 홍보하는 제품 등을 사용한 바도 없다. 저는 제가 직접 짠 코드로 트레이딩 할 뿐이다"며 누구에게 맡긴 적이 없다고 했다"고 밝혔다. 미디어는 "A 업체는 이준석 대표가 자동프로그램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언론 인터뷰와 함께 '이준석 대표의 비트코인 10억 수익 비결은 AI에 기반한 자동프로그램 매매 프로그램이다'는 문구를 자사 홍보 플랫폼에 소개했다. 이에 이 전 대표는 마치 자신이 A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키게 해 엉뚱한 피해자를 낳을 우려가 있다며 전면 대응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이터 "올해 암호화폐 스타트업 VC 조달액, 지난해 기록 넘어설듯"]

로이터 통신이 피치북(PitchBook)의 데이터를 인용해 올해 암호화폐 스타트업 VC 조달액이 지난해 수준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암호화폐 VC 자금 조달액 규모는 199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증가했다. 지난해 총 조달액은 212억 달러 수준이었다. 다만, 올 3분기 VC 자금 조달액은 40억 달러로 직전 분기 대비 38.3% 줄었다. 이는 분기 기준 2021년 2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룩온체인 "패러다임, 전날 코인베이스로 640만 달러 상당 ETH 이체"]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이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전문 벤처 투자사 패러다임(Paradigm)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이더리움 주소 '0x11577a8A5bAF1e25B9a2d89f39670F447d75c3cD' 에서 한국시간 기준 8일 14시 16분 경 5,000 ETH를 코인베이스 주소로 입금했다. 이는 약 640만 달러 규모"라고 분석했다. 이어 룩온체인은 "패러다임은 매우 스마트하다. 그들은 ETH 가격이 급락하기 전 매도를 위해 코인베이스로 ETH를 옮겼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4.19% 오른 1,282.5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SBF, 美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 출석 여부 회신 안 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전 최고경영자(CEO)가 오는 13일 진행될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FTX 관련 청문회에 대한 출석 여부를 회신하지 않았다. 당초 은행위원회가 정한 회신 마감 기한은 9일 오전 7시(한국시간)였다. 앞서 코인니스는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가 FTX 관련 청문회에 SBF 전 FTX CEO을 강제 소환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한 바 있다.

[코인게코, ACS 토큰 에어드랍 신청 페이지 신설]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코인게코(CoinGecko)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솔라나(SOL) 및 스타크넷 기반 웹3 프로토콜 액세스 프로토콜(ACS)의 ACS 토큰 에어드랍을 신청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신설했다"고 밝혔다. 사용자는 해당 페이지에서 ACS 보상 수령을 신청할 수 있으며, '캔디' 교환 및 고유 코드 수령이 가능하다. 해당 페이지는 내년 1월 15일(현지시간) 혹은 보상풀 소진 시까지 운영된다.

[美 스탠포드 학보 "SBF 부친, 내년 강의 일정 취소...FTX 스캔들 여파"]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학보 더스탠포드데일리가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전 최고경영자(CEO)의 부친이자 스탠포드 로스쿨 교수로 재직 중인 조셉 뱅크먼(Joseph Bankman)이 내년으로 예정됐던 강의 일정을 취소했다. 이는 FTX 파산 전 SBF가 1,640만 달러 별장 구매에 가족 명의를 사용했다는 스캔들의 영향"이라고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또 더스탠포드데일리는 "SBF의 모친인 파파바 프리드(Barbara Fried)는 스탠포드 대학교의 정식 교수가 아닌 명예 교수이기 때문에 정규 강의에 대한 의무는 없다. 다만 그는 교직 은퇴 의사를 밝혔으며 '오랜기간 고민하고 내린 결정이며, 다른 일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고 덧붙였다.

[美 통화감독청 "은행, 암호화폐 사업 진출 신중해야...규제 당국과 사전 논의 권고"]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미국 통화감독청(OCC)이 성명서를 통해 은행들에게 시장 혼란 등을 거론하며 암호화폐 산업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OCC는 "암호화폐 산업은 아직 미성숙하기 때문에 기업들끼리 리스크가 전이되는 사례가 있다. 암호화폐 시장 참가자들은 일련의 사건들에 대해 아무런 대비도 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수백만명의 소비자들이 손실을 입었다. 때문에 은행들은 디지털 자산 사업에 접근하려거나 기존 사업을 확장하기 전에 리스크 관리 대책을 마련하고, 매우 신중한 접근법을 취해야 한다. OCC는 은행이 디지털 사업에 진출할 때 규제 당국과 먼저 논의를 거친 뒤 결정하는 것을 권고한다"고 설명했다.

[美 재무부 제재 이행 이더리움 비중 하락세...65%]

더허브 설립자 앤서니 사싸노(Anthony Sassano)가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생성되는 신규 블록 중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제재를 이행하는 블록의 비중이 65%까지 내려왔다"고 밝혔다. 주요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는 이 수치가 한때 80%에 육박하면서 검열 우려가 확대됐다. 이 수치는 지난 10월 기준 51% 수준이었으나 최근 80%까지 치솟았다가 다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앤서니 사싸노는 "이는 블록체인 리서치 기관 플래시봇(Flashbots)이 릴레이(Relay)·빌더 인프라를 오픈 소스로 출시하면서 더 많은 무검열 릴레이들이 생겨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호주 거래소 디지털 서지, 사실상 파산...3만명 고객 계좌 동결]

ABC닷넷에 따르면 호주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털 서지(Digital Surge)가 자발적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사실상 파산이다. 디지털 서지는 지난 달 3만명 고객의 거래 계좌를 동결했다. FTX에 고객 자금이 묶여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얼마나 묶여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게임스탑 "1년간 암호화폐 익스포저 최소화"]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3분기 $9470만 순손실을 기록한 게임스탑은 더 이상 암호화폐 부문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게임스탑은 최근 디지털 자산 부서 직원들을 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임스탑 CEO 매트 펄롱( Matt Furlong)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1년 동안 암호화폐에 대한 익스포저를 사전에 최소화했으며 현재 아무런 토큰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게임 분야에서 디지털 자산이 장기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계속 믿고 있지만, 주주 자본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단 NFT 분야에서는 계속 노력할 것임을 시사했다.

[카카오, 가상자산 거래소 로그인 오류는 보상안에서 제외 논의]

‘서비스 먹통 사태’ 보상안을 검토 중인 카카오가 업비트 등 가상자산 거래소의 로그인 오류에 대해서는 보상안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디어는 "1015 피해지원 협의체는 최근 회의에서 약 10만건의 피해접수 내용을 검토·분석한 뒤 업비트 로그인 오류에 대한 보상은 제외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현재 카카오도 관련 내용을 검토 중인 상황이다. 특히 카카오가 지난 4월 가상자산 거래소에 대한 카카오 로그인 서비스를 제한한다는 방침을 밝힌 것도 보상 제외를 고민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보상협의체 차원에서 다양한 보상 지원 정책과 방향이 논의되고 있다. 다만, 구체적인 보상안은 논의 중으로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다”고 말했다.

[바이낸스 커스터디, SOL 및 솔라나 기반 토큰 콜드 스토리지 지원]

바이낸스 산하 암호화폐 커스터디 플랫폼 바이낸스 커스터디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솔라나(SOL) 및 솔라나 SPL 표준 토큰의 콜드 스토리지 솔루션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솔라나 기반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자산을 보호하고, 확장할 수 있다는 게 바이낸스 커스터디 측의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SOL은 현재 2.03% 오른 13.6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마이트리캐피털, FCA 규제 준수 암호화폐·웹3 헤지펀드 출범]

엔에프티게이터(nftgators)에 따르면, 영국 소재 투자사 마이트리캐피털(Maitri Capital)이 최근 영국 금융감독청(FCA)의 규제를 준수하는 웹3 헤지펀드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해당 헤지펀드는 주식과 토큰, NFT와 디파이 및 메타버스 투자에 중점을 둔 두 개의 펀드로 구성된다. 첫 번째 펀드는 일반 토큰, 지분, 스테이킹 프로그램, 유동성 토큰 등에 투자하며, 두 번째 펀드는 NFT, 디파이,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초기 투자에 중점을 두는 전통 벤처캐피털과 토큰 및 지분 투자를 병행하는 새로운 투자 모델을 채택했다는 게 마이트리 측의 설명이다. 한편 해당 헤지펀드의 구체적인 운용자산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2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쌘디

2022.12.11 10:40:3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ultra

2022.12.11 04:12:2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우스코인

2022.12.10 19:23:33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2.12.10 12:47:18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늘봄

2022.12.10 08:22:1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2.12.10 06:24:05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밀득이

2022.12.10 03:58:19

잘 보고 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2.12.10 02:08:49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감성돔

2022.12.10 02:06:41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imhappy

2022.12.10 00:32:0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