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韓 물가 둔화 속도 더딜 수도…물가·경기 상충관계 고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올해 유가 수준이 작년보다 낮아지더라도 한국의 경우 그간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이 올해중 전기·가스 요금 등에 뒤늦게 반영되면서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소비자 물가)의 둔화 속도가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딜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작년 유로지역의 전기·가스 요금 등 에너지 요금 상승률은 40%를 상회한 반면 한국에선 13%에 그쳤다. 다만 한국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 작년에는 5% 이상의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물가에 중점을 뒀다면, 올해는 물가에 중점을 두면서도 경기 및 금융안정과의 트레이드 오프(Trdae-off, 상충관계)도 면밀하게 고려해야 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일본 사업 철수]
인베이스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일본 사업을 철수한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일본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거래소 출금 기한은 2월 16일까지이며, 17일 이후 거래소에 예치된 암호화폐는 모두 엔화로 변환돼 법무성에 위탁된다. 법정화폐 입금은 1월 20일까지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거래량 급감으로 일본 철수를 검토한다고 전한 바 있다.
[위메이드, 영국 메타버스 엔진 기업 메타그래비티와 MOU 체결]
위메이드가 영국 메타버스 엔진 기업 메타그래비티와 전략적 제휴(MOU)를 맺었다고 18일 밝혔다. 위메이드는 이번 제휴를 통해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 생태계인 WEMIX 3.0 협업과 시너지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바이낸스, INJ·FLOW 입출금 일시 중단...하드포크 지원]
바이낸스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 지원으로 인젝티브(INJ)와 플로우(FLOW)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INJ는 한국 시간으로 18일 22시, FLOW는 19일 0시에 각각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미결제 약정 규모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5.65%)
50.54% | 숏 49.46%
2.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7.27%)
롱 50.00% | 숏 50.00%
3.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3.66%)
롱 50.56% | 숏 49.44%
[檢, '김치 프리미엄' 노린 4조원대 불법 송금 일당 20명 기소]
검찰과 세관이 암호화폐가 국내 거래소에서 해외보다 비싸게 팔리는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김프)’을 노리고 시중 은행을 통해 4조 3000억원대 불법 외환 송금에 가담한 20명을 재판에 넘겼다. 서울중앙지검 국제범죄수사부(부장 나욱진)와 서울본부세관 조사2국(국장 이민근)는 외국환거래법 위반 등 혐의로 불법 해외 송금 총책과 은행 브로커 등 11명을 구속기소하고 9명을 불구속기소 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들은 김프를 노리고 256명의 계좌에서 돈을 모아 홍콩 등 해외로 총 4조3000억원을 불법 송금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금융당국의 제지를 피하기 위해 허위 무역 대금을 송금하는 것처럼 꾸미거나 무역회사로 위장한 페이퍼컴퍼니를 만들기도 했다. 범행 당시 김치 프리미엄이 약 3∼5% 정도였던 만큼 이들이 거둔 시세 차익은 약 1200억∼21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美 SEC, 작년 암호화폐 프로젝트 소송 및 행정 처분 30건]
코너스톤 리서치가 발표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총 30차례에 걸쳐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한 소송 진행 및 행정 처분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에 비해 50% 증가한 수치다. SEC는 이중 70%를 사기 범죄로, 73%는 미등록 증권 판매로 봤다. 절반은 사기 및 미등록 증권 판매 둘 다 해당한다고 봤다.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전 코인베이스 직원의 내부자 거래 혐의와 FTX사건 등이 포함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시모나 몰라는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 주도 하에 암호화폐 분야는 SEC 업무 중 높은 우선순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클레이튼, 지난해 4Q KGF 통해 약 1259만 KLAY 지출]
클레이튼(KLAY)이 지난해 4분기 클레이튼 성장 펀드(KGF)를 통해 약 1259만 KLAY를 지출했다고 밝혔다. KGF는 클레이튼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구축된 재원으로, 생태계 기여 파트너들의 성장을 위해 보조금(Grant)을 제공하거나 투자를 집행한다. KGF의 보조금 지원은 4분기 15건이 집행됐으며, 총 349.8만 KLAY가 사용됐다. 또한 1인치에 500만 KLAY를 투자했다. 또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을 통해 총 4건의 KIR 보조금 집행이 진행됐다. 사용된 KLAY는 총 431.8만개다.
[BAYC 개발사, 수어패스 신청 접수 하루 연기]
명 NFT 시리즈 BAYC 개발사 유가랩스가 수어패스(Sewer Pass) 신청 접수를 1월 17일(현지시간)에서 1월 18일로 하루 연기한다고 트위터를 통해 공지했다. 클레임은 2월 8일까지 가능하다. 앞서 유가랩스는 스킬 기반 게임 '두키대시'(Dookey Dash) 출시를 앞두고 BAYC 및 MAYC NFT 보유자 대상 1월 17일부터 수어패스 신청을 받겠다고 밝힌 바 있다. 수어패스 소지자(2차 시장 구매 포함)에 한해 두키대시를 플레이할 수 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ETH·AWETH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ETH $125,314
2. AWETH $15,847
3. MATIC $13,845
4. AAVE $8,190
5. CRV $5,152
6. SHIB $3,807
7. COMP $3,592
[바이낸스, 1/18 17시 이노베이션 존에 RPL 상장]
바이낸스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18일 17시 이노베이션 존 BTC, BUSD, USDT 마켓에 로켓풀(RPL)을 상장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알케미 보고서 "작년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 배포 횟수 293% 급증"]
디크립트가 웹3 블록체인 개발자 플랫폼 알케미(Alchemy)의 보고서를 인용, 2021년에 비해 작년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 배포 횟수가 293% 급증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활동의 최고점은 2022년 4분기에 나타났다. 4분기 스마트컨트랙트 배포 횟수는 전 분기 대비 453% 증가한 460만 건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더리움의 골리 테스트넷의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횟수는 2022년 연간 721% 증가해 270만 개에 도달했으며, 이는 더 많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는 신호를 나타낸다"고 덧붙였다. 한편, 알케미는 12월 985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중 94%는 "크립토 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답한것으로 나타났다.
[네더마인드, ETH 출금 지원 위한 데브넷 웹사이트 오픈]
이더리움(ETH) 클라이언트 네더마인드(Nethermind)가 전날 밤 공식 트위터를 통해 ETH 출금을 지원하기 위한 개발자 네트워크(데브넷) 웹사이트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서베이 "FTX 붕괴 후 투자자 절반 이상 핫월렛에 자산 보관"]
TK벤처스와 코인와이어가 발표한 2022년 크립토 리포트 설문조사에 따르면 FTX 붕괴 후 암호화폐 투자자 절반 이상이 자산을 핫월렛에 보관한다고 밝혔다. 1만267명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중복응답)에서 응답자의 53.6%가 암호화폐 자산을 메타마스크, 트러스트월렛, 팬텀 등 핫월렛에 보관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40.3%가 중앙화 거래소에 자산을 보관한다고 했다. 이외 27.0%는 렛저 등 콜드월렛에, 16.8%는 디파이 프로토콜에 자산을 보관한다고 답했다.
[티체인, 이더리움 무료 크로스체인 지원]
멀티체인(MULTI)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ETH) 체인에서 다른 모든 블록체인으로의 크로스체인 거래를 무료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별도의 브릿징 수수료는 없지만, 최소 $0.19 상당의 가스비는 지불해야 한다. 또 다른 블록체인에서 이더리움 체인으로 전송할 때는 $4.9 달러 상당의 가스비가 필요하다. 코인마켓캡 기준 MULTI는 현재 1.16% 내린 8.0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웹3 탄소배출권 거래소 탈로, 5300만 달러 규모 탄소배출권 거래 계약 체결]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탄소 배출권 거래소 탈로(Thallo)가 탄소 배출 상쇄 프로젝트 IMPT와 5000만 유로(약 5300만 달러) 규모의 온체인 탄소배출권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거래로 10년 동안 약 1200만 톤의 탄소 상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탈로 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IMPT는 최근 탈로가 폴카닷 네트워크에서 출시한 BaaS(Blockchain-as-a-Service)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탈로 인프라에 직접 연동할 수 있게 됐다.
[라미나1, 테스트넷 출시...2~3주간격 업데이트 예정]
메타버스 중심의 레이어1 블록체인 '라미나1(Lamina1)'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테스트넷은 아발란체(AVAX)코드 베이스를 기반으로 작동되며, 현재는 플랫폼의 기본 기능만을 테스트 가능하지만 향후 2~3주 주기로 새로운 기능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라미나1 측은 주간 챌린지를 통해 커뮤니티의 테스트를 장려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미나1은 '메타버스'라는 개념이 처음 소개된 소설 스노우 크래시(Snow Crash)의 저자 닐 스티븐스(Neal Stephenson)가 개발에 참여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폴카닷 크로스체인 메시징 시스템 XCM V3, 업데이트 완료]
게빈 우드 폴카닷 창업자가 오늘 새벽 트위터를 통해 "15개월 간의 개발 끝에 폴카닷(DOT) 크로스체인 메시징 시스템 XCM V3 업데이트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XCM V3에는 브릿징, 크로스체인 잠금, 교환, 컨텍스트 추적 등 기능이 포함됐다.
[업스윙파이낸스, 플래시론 공격...22 ETH 도난]
블록체인 보안업체 서틱이 업스윙파이낸스(UpswingFinance) 프로젝트가 플래시론 공격을 당했다고 밝혔다. 공격자는 이를 통해 3만5500달러 상당의 22ETH를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프로젝트는 2020년 10월 이후 비활성화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