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지난해 암호화폐 총 거래량 $36.6조 기록"
크립토브리핑이 코인게코의 '2023년 연례 암호화폐 산업 보고서'를 인용, 2023년 암호화폐 거래량이 36.6조 달러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암호화폐 거래량은 10.3조 달러로 분기 중 가장 많은 거래량을 보였다. 보고서는 "FTX 사태로 인한 하락세 이후 암호화폐 시장이 회복력을 보여줬다"며 "특히 4분기의 경우, 미국 첫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장이 낙관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SEC 소송 담당 판사, 소송 기각 관련 최종 판결 아직
코인베이스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송에 대한 구두변론이 진행된 가운데, 해당 사건 담당 판사 캐서린 폴크 파일라(Katherine Polk Failla)가 소송 기각 관련 최종 판결을 내리지 않은 상태로 이를 종료했다. 이에 따라 그의 최종 판결은 몇주 안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며,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다.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은 X를 통해 "이와 비슷한 사건을 담당한 변호사로부터 최종 판결이 나오기까지 2-6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코인베이스는 지난해 법원에 SEC가 제기한 소송의 기각을 촉구하는 최종 탄원서를 제출한 바 있다.
암호화폐 인프라 큐레도, 임원 3인 퇴사
더블록이 업계 관계자 발언을 인용, 암호화폐 인프라 업체 큐레도(QRDO)에서 3명의 임원이 잇따라 퇴사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큐레도는 창업멤버 중 한명인 벤저민 휘트비(Benjamin Whitby)에게 해임을 제안했다. 이와 관련해 벤저민 휘트비는 "이러한 요청을 받아 매우 속상하다. 복귀를 요청한다면 언제든 다시 돌아갈 것"이라며 "나는 큐레도의 첫날부터 이곳에 투자했다. 여전히 이곳의 주주"라고 말했다. 이밖에 큐레도 아시아태평양 지역 책임자인 댄 버크(Dan Burke)가 사임했으며, 마케팅 및 운영 담당 부사장 루이스 바엘로(Luis Vaello)가 큐레도 재단으로 합류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큐레도는 공동 설립자이자 CEO 앤서니 포이가 해임됐으며, 운영 유지를 위해 외부로부터 대출을 받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최근 BTC 네트워크 해시레이트 25% 하락... 美 한파 영향
최근 미국 텍사스주가 한파로 인한 수요 급증을 전망, 전력 사용 경계령(14-17일 현지시간)을 내린 가운데 비트코인 네트워크 해시레이트가 12일 이후 약 25% 하락했다고 블록웍스가 보도했다. 마이닝풀스탯(MiningPoolStats) 및 블록체인닷컴(Blockchain.com) 데이터에 따르면 전세계 해시레이트 추정치가 12일 약 600EH/s에서 16일 450EH/s로 하락했다. 미디어는 "텍사스주 전력망을 운영하는 전기신뢰성위원회(ERCOT)의 전력 사용 경계령과 함께 해시레이트가 하락세를 보였다. 일부 미국 채굴 기업은 전력 확보를 위해 일부 채굴기 운행을 중단했다"며 "이전에는 중국 내 비트코인 채굴기업이 전세계 해시레이트를 주도했으나, 중국 정부의 규제 이후 텍사스가 대체 허브로 부상했다"고 설명했다.
미 증시 3대 지수 하락 마감
미 증시 3대 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S&P500: -0.56% 나스닥: -0.59% 다우: -0.25%
dYdX, 일일 거래량 기준 최대 DEX 기록... 유니스왑 추월
코인마켓캡 데이터에 따르면 dYdX가 유니스왑을 제치고 일일 거래량 기준 최대 탈중앙화 거래소(DEX)로 올라섰다. 24시간 기준 dYdX의 코스모스 기반 v4의 거래량은 7.57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에 유니스왑 v3(6.8억 달러)를 넘어섰다. 3위는 아직 운영 중인 dYdX v3(5.67억 달러)가 차지했다.
보안업체 "로켓풀 X 해킹 추정.. 링크 클릭 금지"
블록체인 보안업체 사이버 얼럿(Cyvers Alerts)이 X를 통해 "로켓풀(RPL) X(구 트위터)가 해킹된 것으로 보인다. 계정에 게재된 링크를 클릭하지 말아라"고 경고했다.
웜홀 TVL, 2년 만에 $10억 회복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웜홀(Wormhole)의 락업예치금(TVL)이 약 2년 만에 10억 달러를 회복했다. 현재 웜홀의 TVL은 10억 2074만 달러다. 앞서 지난해 11월 웜홀은 펀딩 라운드에서 2.5억 달러를 조달하고, 25억 달러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점프크립토에서 분사했다.
번스타인 "BTC 채굴주 단기 하락세, '매수 기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 번스타인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최근 비트코인 채굴주의 성적이 저조했지만, 채굴주 주식의 단기적 약세는 장기적으로 봤을 땐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BTC 채굴주는 BTC 현물 ETF 승인의 역풍을 맞았다. 향후 2개월을 채굴주의 저가 매수 기회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신용등급이 높은 라이엇플랫폼(RIOT)과 클린스파크(CLSK)를 눈 여겨 봐야 한다. 다만 투자자들은 4월로 예정된 반감기를 앞두고 긴 호흡을 가져야 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 "지난해 암호화폐 개발자 수 24% 감소"
디크립트가 암호화폐 VC 일렉트릭 캐피털(Electric Capital) 보고서를 인용, 지난해 암호화폐 개발자 수가 24% 감소했다고 전했다. 지난달 기준 활성 오픈소스 암호화폐 개발자 수는 2.2만 명 이상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감소세와 관련해 "2022년 5월 UST 및 LUNA 붕괴 이후 시작된 암호화폐 윈터와 같은해 11월 FTX 붕괴로 암호화폐 명성과 산업 성장이 타격을 입은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크립토 세무기업 젠렛저, AI 스타트업 에이프릴과 파트너십
더블록에 따르면 크립토 세무기업 젠렛저(Zenledger)가 AI 기반 세금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에이프릴(April)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파트너십을 통해 젠렛저는 서류 제출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계획이다.
코인베이스-SEC 소송 담당 판사 "1933년 증권법, 시대에 뒤떨어져"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송 관련 구두변론에서 해당 사건 담당 판사 캐서린 폴크 파일라(Katherine Polk Failla)가 "1933년의 증권법은 시대에 뒤떨어져 있으며, 암호화폐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허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분석 "BTC 현물 ETF 승인 후, 5년간 휴면 상태 $21억 BTC 이동"
더블록이 아캄 인텔리전스(ARKM) 데이터를 인용,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후 5년 가까이 이동한적이 없던 21억 달러 상당의 49,858 BTC가 휴면 상태에서 깨어났다"고 전했다. 해당 물량은 모두 49개 주소에서 5개 주소로 이전됐다.
메타마스크, 트랜잭션 라우팅 기능 테스트 중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메타마스크가 현재 트랜잭션 라우팅 기능을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마스크 측은 "해당 기능은 사용자가 제3자의 도움을 받아 최적의 거래 경로를 찾을 수 있게 한다. 컨센시스가 지난해 인수한 스페셜 메커니즘 그룹이 개발했으며, 사용자 경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서 저스틴 선 추정 주소로 $352만 상당 코인 입금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X를 통해 "30분 전 바이낸스에서 저스틴 선 트론(TRX) 창업자 라벨링 주소로 30분 61,000 LINK, 270억 FLOKI, 790억 SHIB, 169만 MANA, 10만 BAND 등이 입금됐다. 총 352만 상당이다"라고 밝혔다.
코인베이스-SEC 소송 담당 판사 "SEC, 하위테스트 법적 기반 반대 의견 제시 안해"
코인베이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과 관련, 구두변론을 시작한 가운데 해당 사건 담당 판사 캐서린 폴크 파일라(Katherine Polk Failla)의 발언을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이 X 계정을 통해 일부 공개했다. 테렛에 따르면 파일라 판사는 SEC 측 변호사에 "SEC는 브리핑에서 하위테스트(증권성 판단 기준)의 법적 근거에 대한 반대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다. 아울러 일부 아미쿠스 브리프는 SEC 보다 더 훌륭하게 디파이나 스테이킹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그레이스케일,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7.98억 규모 BTC 입금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EmberCN)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약 30분 전 그레이스케일 트러스트 주소에서 18,638 BTC가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이체됐다. 이는 7.98억 달러 규모"라고 전했다. 해당 주소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이후 총 31,638 BTC(13.66억 달러)를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이체했다.
플랜비 "텔레그램 채널 운영 안해.. 사칭 스캠 주의"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스톡 투 플로우(S2F) 모델'을 고안한 네덜란드 출신 유명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가 X를 통해 "나는 텔레그램을 하지 않습니다. 1,075명이 플랜비 사칭 채널에 사기를 당하고 있는 것 같다"고 경고했다.
바이낸스, $6.3억 상당 BNB 소각...제26차 정기 소각
바이낸스가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제 26차 BNB 정기 소각을 통해 총 2,141,487 BNB를 소각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약 6.3억 달러 규모다.
반에크, BTC 선물 ETF 청산 결정…”성과 등 종합적 고려”
비즈니스와이어에 따르면 미국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가 BTC 선물 ETF(티커: XBTF)를 폐쇄 및 청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반에크 ETF 신탁 이사회는 16일(현지시간) 이같은 내용의 안건을 승인했다. 반에크는 “우리는 성과, 유동성, 투자자 관심 등을 바탕으로 ETF 상품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이같은 내용을 모두 종합해 해당 펀드를 청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ETF 보유자는 이달 30일 시장 마감 때까지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
웹3 VC 인셉션, $3천만 규모 펀드 조성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웹3 전문 벤처캐피털 회사 인셉션 캐피털(전 OP 크립토)이 3000만 달러 규모의 1호 펀드 조성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투자금은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웹3 투자운용사 등에 투입될 예정이다. 현재 5개 웹3 운용사에 투자금 30%를 투입한 상황이라고 인셉션 캐피털은 부연했다.
블룸버그 “암호화폐 시장 엉망…SEC, ETF 승인 명분으로 비규제 거래소 압박했어야”
블룸버그 편집위원회(논설실)가 논설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은 엉망이다. 게리 겐슬러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은 BTC 현물 ETF 승인 전에 이 기회를 이용해 현물 거래소에 투자자 보호 조치를 강제하기 위해 힘을 써야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SEC는 그간 바이낸스, 크라켄, 코인베이스 등 3대 거래소를 증권법 위반 혐의로 제소했다. 특히 비규제 암호화폐 거래소 거래량의 평균 70%가 불법세탁 의심 거래로 분류되고 있다. SEC가 BTC 현물 ETF에 포괄적 승인을 내리기 전에 규제 적격 플랫폼에서 가격을 가져오는 조건으로 ETF를 승인했다면 상황은 달랐을 것이다. ETF 승인을 원하는 큰 손(스폰서)들이 현물 거래소에 규제 준수 압력을 가했을 것이다. 물론 게리 겐슬러는 이러한 조건부 승인이 법원 문턱을 넘기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을 수 있다. 또 그는 BTC 현물 ETF 승인이 블랙록, 피델리티, 아크 인베스트먼트 등 주요 금융기관을 돕는 길이라 생각했을 수도 있다. 그도 아니면 기존 규제가 암호화폐 시장을 감독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낙관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제미니, 프랑스서 가상자산 사업자 라이선스 확보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가 프랑스 금융시장감독청(AMF)으로부터 가상자산 사업자(VASP) 라이선스를 확보했다고 CNBC가 전했다. 제미니는 수 주 내 개인 및 기관 대상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외신 "ETH 덴쿤 하드포크, 문제 발생해 예상 시간보다 늦게 완료"
우블록체인이 X를 통해 "이더리움 골리(Goerli) 테스트넷에서 덴쿤 하드포크가 시작됐으나 예상 시간 내 완료되지 못했다.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파리토시 자얀티(Parithosh Jayanthi)에 따르면 하드포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 이를 수정한 뒤 하드포크를 완료했다. 이 과정에 4시간이 소요됐다"고 전했다. 덴쿤 하드포크는 ETH 확장성 업그레이드를 위한 EIP-4844(프로토-댕크샤딩, proto-danksharding), 가스 수수료 최적화와 네트워크 보안 개선 등 다수 업데이트를 포함하는 대규모 업그레이드다.
반에크 고문 “BTC 현물 ETF, 금융 사상 거대 기관 간 최대 협업 사례”
반에크 어드바이저 가버 거백스가 X를 통해 “BTC 현물 ETF는 금융 역사상 기관 간 가장 큰 협업을 통해 금융상품에 생명에 불어넣은 사례”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발행사, AP, 마켓메이커, 규제기관, 거래소, 패밀리 오피스, 법원, 미디어 등이 모두 힘을 모았다. 수년에 걸친 노력의 결과로, 점진적으로 진행됐다가 별안간 우리 눈 앞에 나타났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 같다. 이는 전통 자본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BTC에 대한 접근성을 10배 이상 높였다고 평가할만 하다. 우리는 지름길을 택하지 않았고, 모두들 근시안적 욕심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시장을 구축하는 방향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로빈후드 SHIB 보유량, 24시간 동안 2300억개 증가
유투데이가 아캄 인텔리전스 데이터를 인용, 미국 주식, 암호화폐 거래앱 로빈후드의 SHIB 보유량이 24시간 동안 2300억개 늘었다고 전했다. 현재 로빈후드는 36조6840억개(3.5억달러)를 보유 중이다.
QCP캐피털 "ETH, 당분간 BTC 상승률 상회...현물 ETF 기대감"
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거래 업체 QCP캐피털이 "ETH/BTC 비율은 0.06까지 상승했는데 이는 ETH 현물 ETF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중기적으로 볼 때 ETH는 계속 BTC 상승률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ETH 선물도 최근 수익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다음 주요 이벤트는 4월 BTC 반감기와 5월 ETH 현물 ETF 승인 여부다. 그 전까지는 거시 경제 영향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알트레이어, ALT 토크노믹스 발표…생태계에 15% 할당
알트레이어(ALT)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토크노믹스를 공개하고 “총 발행량 100억개 가운데 투자자에게 18.5%를, 생태계 및 커뮤니티에 15%를 분배한다”고 밝혔다. 이외에 바이낸스 런치풀에 5%, 팀 물량 15%, 어드바이저 5%, 프로토콜 개발 20%, 트레저리에 21.5%를 분배할 계획이다. 에어드랍 대상자는 알트레이어 OG 배지 NFT 보유자, Oh Ottie! NFT 보유자, 알티튜드(Altitude) 캠페인 참여 가능자, 아이겐레이어 리스테이커, 셀레스티아 스테이커 등이다. 에어드랍 스냅샷은 17일 12시(현지시간)를 기준으로 완료됐다. 앞서 바이낸스는 ALT 런치풀을 진행하고 1월 25일 19시(한국시간) ALT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JP모건 CEO "비트코인에 관여 말라"
JP모건 CEO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이 CNBC 인터뷰에서 "가치가 있고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암호화폐가 있고 그렇지 않은 암호화폐가 있다. 후자를 나는 펫록(애완돌)이라 부른다. 비트코인이 바로 그것이다. 비트코인은 몇 가지 활용 사례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사람들끼리 거래하는 것이다. 비트코인에 관여하지 말라는 게 내 개인적 조언"이라고 말했다. 과거에도 그는 암호화폐를 애완돌로 묘사한 적 있다.
바이낸스 랩스 “지난해 25개 프로젝트 투자 집행…영지식 증명 분야 등 중점”
바이낸스 랩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23년 리뷰 보고서를 내고 “지난해 총 25개 프로젝트에 투자를 집행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투자 중점 분야는 영지식 증명 기술, 웹3 게이밍, 디파이 인프라 등이었다. 또 같은 기간 바이낸스 랩스 인큐베이션 프로그램 지원 프로젝트는 총 2000곳 이상이었다. 이 중 9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고 36개 프로젝트를 인큐베이팅 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난 2018~2023년 바이낸스 랩스 투자 포트폴리오는 총 25개국, 250개 프로젝트로 투자 수익률은 14배로 나타났다.
외신 “블랙록 비트코인 현물 ETF, 16,361 BTC 보유 추정”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워처구루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블랙록이 자사 비트코인 현물 ETF로 7.07억 달러 상당의 16,361 BTC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앞서 워처구루는 지난 14일 BTC 현물 ETF를 통한 블랙록의 보유량이 11,439 BTC(4.97억 달러)로 추정된다고 전한 바 있다.
테더, 러시아서 4개 상표 출원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USDT)가 러시아에서 4개 상표를 출원했다고 포크로그(forklog)가 전했다. 4개 상표는 Tether USDT, AUSDT, Alloy by Tether, Tether Alloy다.
아크인베스트, $1590만 BTC 현물 ETF 매수
아크인베스트먼트가 화요일(현지시간) 1590만달러 상당 BTC 현물 ETF(아크-21쉐어스 ETF)를 매수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또한 1580만달러 상당 프로쉐어스 BTC 선물 ETF(BITO)를 매도했다. 앞서 미국 ETF 전문 업체 ETF스토어 최고경영자(CEO)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는 아크인베스트먼트가 BTC 현물 ETF를 매수하기 시작했다고 전한 바 있다.
바이낸스, ALT 런치풀 진행…1/25 ALT 상장
바이낸스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알트레이어(ALT) 런치풀을 진행한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이낸스에서 BNB, FDUSD를 스테이킹해 ALT를 파밍할 수 있으며, 파밍은 한국시간 기준 19일 9시부터 시작된다. 런치풀에 할당된 물량은 5억 ALT(총 공급량 5%)다. 이어 바이낸스는 한국시간 기준 1월 25일 19시 ALT를 상장할 예정이다.
서클 "지난해 USDC 유통량, 전년비 44% 감소"
USDC 발행사 서클이 최근 보고서에서 "지난해 USDC 유통량은 250억달러로 전년 대비 44% 감소했다. 반면 10 USDC 이상 보유 월렛 수는 270만개로 59% 증가했다"고 전했다.
컨센시스, NFT 스튜디오 베타 출시
ETH 인프라 개발사 컨센시스(ConsenSys)가 X를 통해 NFT 크리에이터를 위한 노코드(no-code) NFT 스튜디오 포스포(Phosphor)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버전은 선착순 등록자만 사용할 수 있다.
분석 “ETH 리스테이킹 토큰 시총 한달 새 400% 증가”
DL뉴스가 해시드 데이터를 인용해 이더리움(ETH) 유동성 리스테이킹 토큰 시가총액이 지난해 12월 중순 이후 현재까지 400% 증가한 4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전했다. 현재까지 유동성 리스테이킹 토큰은 eETH, rsETH, ezETH 등 3개로, 현재 테스트넷에서 시험 중인 것까지 포함하면 총 11종이다. 리스테이킹 토큰은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ST)을 다시 스테이킹 해 받는 토큰이다. 미디어는 “투자자 입장에서 ETH 스테이킹에 따른 기회비용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LST를 활용하고, 이를 다시 재투자 하기 위해 리스테이킹 토큰을 이용한다. 이 토큰들을 디파이에서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다른 서비스들과 달리 리스크 대비 수익이 다소 높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리스테이킹 토큰 시총이 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제로렌드, MANTA 스테이커에 ZERO 에어드랍
레이어2 대출 프로토콜 제로렌드가 X를 통해 "MANTA 스테이커 대상 ZERO 공급량의 1%를 에어드랍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선 스테이커들은 제로렌드에서 대출 또는 차입해야 한다"고 공지했다.
지난해 VC 암호화폐 투자액, 전년비 72% 감소
DL뉴스가 자본시장 리서치업체 피치북 데이터를 인용, 지난해 VC(벤처캐피털) 암호화폐 업계 투자액이 62억달러로 전년 대비 72% 감소했다고 전했다. 이중 킹스웨이캐피털이 총 2.7억달러를 투자, VC 중 암호화폐 업계에 가장 많은 자금을 투입했다. 가장 많은 투자금을 조달한 프로젝트는 웜홀(2.25억달러)이었으며 그 다음 라인넥스트(1.4억달러), 블록스트림(1.25억달러), 레이어제로(1.2억달러), 월드코인(1.15억달러) 순이었다.
OKX 웹3 월렛, MANTA 생태계 섹션 추가
OKX 웹3 월렛이 X를 통해 만타(MANTA) 생태계 탐색 섹션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만타 기반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원스톱으로 찾아볼 수 있다고 OKX 웹3 월렛은 설명했다. MANTA는 오는 18일 바이낸스, 바이비트, 코인원 등에 상장될 예정이다.
엘살바도르인 10명 중 1명 “BTC로 물건 결제 경험 있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엘살바도르인 10명 중 1명(12%)은 상품이나 서비스 결제에 BTC를 한 번 이상 사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BTC로 물건을 구매해 본 경험이 1~3회 이내인 경우가 49.7%, 10회 이상은 20%로 조사됐다. BTC 결제 사용처는 식료품점(22.9%)이 가장 많았고 슈퍼마켓(20.9%), 동물병원(15%)이 뒤를 이었다. 이번 설문조사는 엘살바도르의 호세 시메온 카냐스 중앙아메리카 대학교(José Simeón Cañas Central American University)가 현지 시민 1,28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디파이언스캐피털, $237만 상당 LDO→ETH 전환
룩온체인이 X를 통해 "디파이언스캐피털이 오늘 71만 LDO를 927 ETH(237만달러)로 전환했다. 디파이언스캐피털의 2개 월렛에는 총 639만 LDO(2100만달러)가 남아 있다"고 전했다.
FTX 해커 주소, $1200만 상당 BTC 이동...세탁 가능성”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 인텔리전스(ARKM)가 X를 통해 “FTX 해커 주소가 오늘 오전 또다시 1200만 달러 상당 BTC를 외부 이체했다. 과거 행동 패턴상 해당 자금은 암호화폐 믹서로 입금될 가능성이 크다. 해커는 1월 6일 기준 총 6억달러 이상 BTC를 외부 이체했으며 현재 그의 계정에는 1.5 BTC만 남아있다"고 전했다.
분석 "채굴자들, 거래소로 1만 BTC 이상 전송...단기 가격변동 가능성"
크립토퀀트 기고자인 우민규(Woominkyu)가 "최근 채굴자 월렛에서 거래소로 1만 BTC 이상 전송됐다. 이는 채굴자들이 장기 운영 자금 확보를 위해 BTC를 매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BTC 단기 가격변동이 초래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분석 "지난해 인니 암호화폐거래소 거래량 60% 급감...세금 부담 탓"
지난해 인도네시아 암호화폐거래소 거래량이 전년 대비 60% 감소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이는 지나치게 높은 세금과 거래 수수료 때문이라고 매체는 진단했다. 인도네시아 이용자는 암호화폐 거래당 0.1% 소득세와 0.11% 부가가치세를, 거래 수수료로 0.04%를 부담한다.
미 회계감사원, SEC에 디지털자산 관련 3가지 개선사항 권고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회계감사원(GAO)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디지털 자산 시장 감독과 관련해 3가지 개선사항을 권고했다. 먼저 GAO는 SEC에 2022~2026년도 디지털 자산 담당 조직(인력) 관리 계획을 수립하라고 권고했다. 또 GAO는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정책, 절차를 체계적으로 문서화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디지털 자산 등 혁신 기술에 대해 측정 가능한 성과 목표를 개발할 것도 권고했다. 해당 권고안은 지난해 12월 SEC에 전달됐으나, 이달 16일(현지시간)에 공개됐다.
핀시아 “클레이튼 통합, 커뮤니티 의견 최우선…투표 부결시 통합 무산”
핀시아(FNSA)가 공식 채널을 통해 “클레이튼(KLAY)과의 통합과 관련해 최대한 다양한 커뮤니티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며, 향후 거버넌스 투표 결과 부결된다면 통합하지 않다는 것이 핀시아의 방침”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통합 제안이 부결되더라도 핀시아의 블록체인 사업 의지는 흔들림 없이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투표 마감 전까지 커뮤니티 의견을 수렴해 합리성, 성장성 관점에서 최선의 안을 낼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와 관련해 현재 다양한 루머가 떠돌고 있는데, 크레센도와의 뒷돈 의혹, 담합, 사업 포기설 등은 모두 사실무근”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클레이튼 재단이 공식 커뮤니티에 클레이튼과 핀시아의 통합을 골자로한 '프로젝트 드래곤'(PROJECT DRAGON)을 제안한 바 있다. 해당 제안은 한국시간 기준 16일 14시 클레이튼 및 핀시아 거버넌스 제안으로 동시 상정됐으며 오는 1월 26일 14시부터 투표를 시작, 2월 2일 14시 투표가 마감된다. 제안이 승인되면 2분기 내 통합 재단 설립, 신규 통합 토큰 스왑 개시, 통합 메인넷을 위한 사업 이니셔티브가 추진될 전망이다.
피델리티 임원 "BTC 가격, 적정가치 중간 수준 도달"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 피델리티의 글로벌 매크로 부문 총괄인 주리엔 티머(Jurrien Timmer)가 X를 통해 "비트코인 네트워크 성장률, 금리 수준 등으로 볼 때 현재 BTC 가격은 내가 생각하는 적정가치의 중간 수준에 도달했다. 지금이 '뉴스에 팔라' 시점인지 대해선, 당장은 상승 전환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답할 수 있다. BTC 가격은 단기적인 조정을 겪고 있다고 보는데 만약 1만3000개 선물 계약이 청산되면 수 주 간은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수이 "한국, 블록체인 시장 글로벌 마켓에서 핵심적 역할"
디지털투데이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수이(SUI) 임원들이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인적자원, 글로벌 인지도, 기술 등이 갖춰져 있는 한국이 블록체인 시장 글로벌 마켓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그렉 시우루니스 수이 디렉터는 또 "전통적인 웹2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 기업 및 프로젝트가 웹3 산업으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수이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며 "한국 게임 기업과 협업을 더욱 확대해 수이 생태계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스테이킹을 통해 코인을 편취해 시장에 매각했다는 일각의 의혹에 "생태계 기여자에 제공하는 '그랜트(보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코인을 지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독일 의원, 다음 달 의원들 대상 비트코인 교육 행사 개최
스완미디어(Swan Media)에 따르면 독일 의원 조아나 코타르(Joana Cotar)가 최근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에 반대하는 연설을 한 데 이어 '비트코인 인 더 분데스탁(독일 연방의회)'이라는 이름의 이벤트를 발표했다. 다음 달에 열리는 이 행사는 다른 의원들을 대상으로 비트코인에 대해 교육하는 행사다.
美 4개주, 'CBDC=돈' 반대 법안 추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돈'으로 지칭하는 것에 반대하는 법안이 유타, 사우스캐롤라이나, 사우스다코타, 테네시주에 제출됐다. 이중 유타주 법안에서는 "CBDC는 법정화폐가 아니며 주의 법정화폐 또한 아니다"라고 명시했다. 플로리다주에서는 CBDC 사용을 제한하는 법안에 주지사가 서명을 완료한 상태다.
스위스·리히텐슈타인 기반 암호화폐 프로젝트 시총, 전년比 107%↑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시가총액이 전년 대비 107% 증가한 3829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중 규모가 가장 큰 이더리움(ETH) 재단은 시가총액 273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솔라나 433억 달러, 카르다노 208억달러가 뒤를 이었다. 한편, 글로벌 웹3 벤처 캐피털 펀딩액은 98억 달러, 거래수는 1031건을 기록했는데, 이는 2022년 대비 각각 55%, 69% 감소한 수치다.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 지역의 암호화폐 기업은 2023년 49건의 거래를 통해 총 2억 8350만 달러를 조달했다. 전체 웹3 벤처 캐피털 자금의 5%가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 지역 기업에 투자됐다. 코스모스(ATOM), 인터넷컴퓨터(ICP), 니어(NEAR), 폴카닷(DOT), 솔라나(SOL) 등 주요 기업을 포함해 1290개의 웹3 기업이 두 나라에 기반을 두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이 재단 "올해 블록체인-AI 결합 주목"
디센터에 따르면 17일 서울 강남구 조선 팰리스에서 열린 수이 재단 기자 간담회에서 그렉 시우루니스 수이 재단 매니징 디렉터는 올해 수이 재단이 주목하는 화두로 블록체인과 AI의 결합을 꼽았다. 시우루니스 디렉터는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고, 사람이나 단체가 아닌 코드를 신뢰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수이 재단은 영향력을 더욱 확장하기 위해 두바이, 스위스와 터키 등에도 지사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SUISUI
유명 트레이더 "BTC $44,000 회복 못할 경우 $36,000까지 하락 전망"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약 12.3만 명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 암호화폐 트레이더 톤 베이스(Tone Vays)가 "비트코인 가격이 44,000달러선을 회복하지 못한다면 36,000달러선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모든 지표가 더 큰 조정을 가리키고 있다. 나는 비트코인이 주요 이동평균선을 넘기 전까지는 매수를 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39,000달러선에서 좋은 매수 기회가 생길 수도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일봉 차트에서 MRI(Momentum Reversal Indicator) 지지선, 128일 이동평균선, 채널 상단이 겹치는 36,000달러 부근까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그는 "20,000달러대로는 하락하지 않을 것이며, 블랙스완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만 30,000달러 수준을 다시 테스트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