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테더, 규제 준수 및 투명성 부족... 업계에 부정적 영향 미칠 것 우려"
더블록에 따르면 JP모건이 보고서를 발표, "지난 1년 간 테더의 도미넌스(시총 점유율)가 증가했다. 이러한 추세가 스테이블코인 및 암호화폐 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JP모건 소속 애널리스트 니콜라오스 파니기르초글로(Nikolaos Panigirtzoglou)는 "테더는 규제 준수 및 투명성이 부족하다"며 "테더 라이벌인 서클의 경우, 최근 미국 IPO를 신청하는 등 다가올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적극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테더 CEO 파올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는 "JP모건은 위선적"이라고 반박했다.
외신 "OPNX, 운영 중단 및 폐쇄 예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탈(3AC)의 공동 설립자들이 창업한 암호화폐 거래소 OPNX가 운영 중단 및 폐쇄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웹사이트에 공지된 내용에 따르면 OPNX는 이달 안에 운영을 중단할 예정으로, UTC 기준 2월 7일 8시까지 포지션을 청산하고 14일까지 자금 인출할 것을 권고했다.
'자금세탁 혐의' BTC-e 배후, 자금세탁 혐의로 미 법원 출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DOJ)가 자금세탁 혐의로 폐쇄된 러시아 암호화폐 거래소 BTC-e의 운영자 중 한명인 알리아크산드르 클리멘카(Aliaksandr Klimenka)가 자금세탁 혐의로 샌프란시스코 법원에 출두했다고 전했다. 알리아크산드르 클리멘카는 여러 건의 자금세탁 및 기타 중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 기소장에는 해당 인물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랜섬웨어, 신원도용, 마약 유통망 등 범죄활동을 통해 4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세탁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모든 혐의에 유죄가 선고될 경우 최대 25년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알리아크산드르 클리멘카는 지난해 12월 라트비아에서 체포됐으며 미국 정부의 인도 요청에 따라 캘리포니아에 구금 중이다. 앞서 BTC-e를 통해 4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세탁한 혐의로 인해 2017년 7월 그리스에서 구속의 운영자 알렉산더 비닉(Alexander Vinnik) 역시 그리스에서 체포된 후 미국으로 인도됐다.
美 ETF 전문가 "대다수의 BTC 현물 ETF 발행사, 두 번째 수탁기관 지정할 것"
미국 ETF 전문 업체 ETF스토어 최고경영자(CEO)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가 X를 통해 "다음 분기에 대다수의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가 다수의 수탁기관(Custodians)을 지정하는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오히려 그러지 않는다면 놀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 현물 ETF를 위한 두 번째 수탁기관 역할을 위해 비트고, 제미니, 크라켄 등과 대화를 진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리스크를 낮추고 커스터디 수수료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발키리가 두 번째 수탁기관으로 비트고를 지정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발키리, 고객자산 보호 위해 두 번째 수탁기관으로 비트고 지정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발키리 인베스트먼트가 고객자산 보호를 위해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비트고(BitGo)를 두 번째 수탁기관(Custodians)으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발키리 이더리움 현물 ETF의 첫 수탁기관은 코인베이스로, 코인베이스는 10개 발행사 중 9곳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판도애셋, BTC 현물 ETF 19b-4 연기"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를 통해 "스위스 자산운용사 판도애셋(Pando Asset)의 비트코인 현물 ETF 19b-4(심사를 정식 요청하는 서류) 신청서에 대한 결정 기한이 연기됐다"고 전했다.
비트멕스 공동설립자 "SOL, 원래 자리로 돌아갈 때가 된 것 같다"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멕스 공동 설립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가 X에 솔라나(SOL) 가격 변동 차트 이미지를 올리며 "이제 다시 원래대로 돌아갈 때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그는 "이번 비트코인 조정은 30,000~35,000 달러 구간에서 바닥을 찾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같은 예상을 근거로 3월 29일 만기되는 행사가 35,000 달러의 풋옵션을 구매했다. 동시에 나는 약손절로 솔라나(SOL)와 봉크(BONK) 포지션을 닫았다. BTC가 35,000 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저점 매수를 시작할 것이며, 솔라나와 WIF를 담을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SOL은 현재 3.70% 내린 97.2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제네시스, 미 SEC 소송 관련 $2100만 달러 벌금 지불 합의
블룸버그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 및 트레이딩 업체인 제네시스가 언(Earn) 서비스에 대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송 종결 관련 2100만 달러의 민사 벌금을 납부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SEC는 제미니와 제네시스를 제미니 언 서비스와 관련해 미등록 증권 판매 혐의로 기소한 바 있다.
블룸버그 "바이낸스, 영국 사업 재개에 어려움 겪는 중"
지난해 10월 규제 문제로 영국 시장에서 운영을 중단한 바이낸스가 현지 사업 재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현지 마케팅 파트너사를 모색하고 있지만 이미 최소 3개 업체가 파트너 제안을 거부했다. 지난해 영국 금융감독청(FCA)이 바이낸스의 마케팅 파트너사 리빌딩소사이어티닷컴의 프로모션 대행을 중단하라고 명령한 여파다. 당시 FCA는 리빌딩소사이어티가 미승인 업체라면서 제재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다만 바이낸스 대변인은 "곧 (영국 사업 재개 관련) 긍정적인 소식이 나올 것이라 확신한다"고 전했다.
Hut 8, 아이오닉 디지털과 4년 기한 파트너십 체결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 회사인 Hut 8가 신생 비트코인 채굴회사 아이오닉 디지털(Ionic Digital)과 4년 간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Hut 8는 향후 아이오닉 디지털의 비트코인 채굴 작업을 위해 엔드투엔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Hut 8는 아이오닉 지분을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374,261주(약 640만 달러) 규모다. 아이오닉 디지털은 셀시우스의 자체 채굴업체로, 앞서 아이오닉 디지털은 셀시우스의 채굴 자산을 인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바이낸스 CEO "리플 공동설립자 계정 해커 탈취한 $420만 XPR 동결"
리차드 텅 바이낸스 CEO가 X를 통해 "리플 공동설립자 계정 해킹에 대해 알게된 후 바이낸스는 해커가 탈취한 420만 달러 상당의 XRP를 동결했다. 앞으로 리플 측의 조사와 자금 회수를 위한 노력에 협력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앞서 크리스 라슨(Chris Larsen) 리플 공동 설립자는 개인 XRP 계정이 해킹됐다고 밝혔다. 이로 인한 피해 규모는 1.12억 달러 상당 XRP인 것으로 알려졌다.
슬로우미스트 "1월 암호화폐 보안 사고 피해액 $1.6억"
블록체인 보안업체 슬로우미스트가 공식 X를 통해 1월 암호화폐 보안 사고 피해액은 1.6억 달러 이상으로 추산된다고 전했다.
더블록 "1월 BTC 채굴자 연간 수익, 전년 동기 대비 13.6% 감소"
더블록 리서치 디렉터로 알려진 X 계정 'lars0x'가 더블록 데이터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1월 시장 상황을 전했다. 아래는 코인니스가 정리한 내용.
가버 거백스 "BTC ETF 자금 유입량, 일일 BTC 채굴량의 5배"
테더, 반에크의 어드바이저 가버 거백스(Gabor Gurbacs)가 X를 통해 "비트코인 ETF가 채굴자가 매일 생산하는 물량의 5배에 해당하는 BTC를 흡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루에 2억 달러 규모가 비트코인 ETF로 순유입되고 있다. 이는 현재 BTC 가격 기준, 하루 4,700 BTC가 시장에서 콜드 스토리지로 옮겨지고 있다는 의미다. 일일 900 BTC정도가 채굴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채굴량의 5배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웜홀, 모듈형 블록체인 네트워크 다이멘션과 통합
블록체인간 통신 지원 프로토콜 웜홀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코스모스(ATOM) SDK 및 셀레스티아(TIA) DA(Data Availability) 기반 모듈형 롤앱 지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다이멘션(DYM)과 통합한다"고 밝혔다. 웜홀 사용자는 자산을 롤앱으로 이전하고, 다이멘션의 유동성을 활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 자산운용사 슈퍼스테이트, 美 재무부 채권 토큰화 펀드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자산운용사 슈퍼스테이트(Superstate)가 이더리움(ETH) 블록체인에서 미국 재무부 채권 토큰화 펀드(USTB)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USTB는 단기 국채 토큰화 펀드이며, 일부 자격을 갖춘 투자자가 서클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를 통해 거래할 수 있다.
그레이스케일, 10분전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1.23억 BTC 이체
블록체인 분석업체 아캄(ARKM)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이 약 10분전 2913.82 BTC(1.23억 달러) 를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이체했다. 또 1777.67 BTC는 그레이스케일 새 커스터디 추정 주소로 이체했다.
1월 폴리곤 NFT 판매량 $1.12억... 2022년 5월 이후 최대
크립토슬램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폴리곤(MATIC) 기반 NFT 판매량이 1억 1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2년 5월 이후 월간 기준 최대 규모다.
폴리곤랩스, 직원 19% 감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폴리곤랩스가 전체 직원 중 19%(60여명)를 정리해고 한다고 밝혔다. 폴리곤랩스는 "재정적인 이유가 아닌 효율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폴리곤랩스는 2023년 2월에도 직원 20% 감원을 결정한 바 있다.
보고서 "중국 투자자 33%, 다수 스테이블코인 보유"
베트남 벤처캐피털 회사 카이로스 벤처스(Kyros Ventures)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투자자의 33.3%가 다수의 스테이블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베트남(58.6%)에 이어 2위다. 10개국 응답자 5268명 중 70% 이상이 암호화폐가 자산 포트폴리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답했다.
페이팔, 셀시우스 채권자 대상 암호화폐 분배 지원
페이팔이 공식 채널을 통해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셀시우스(CEL)의 자산 분배를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적격자는 절차에 따라 페이팔 혹은 산하 간편결제 플랫폼 벤모(Venmo)에서 BTC, ETH를 받을 수 있다. 앞서 셀시우스는 채권자에게 30억 달러 이상 암호화폐, 법정화폐, 아이오닉디지털 주식 분배를 시작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아이오닉 디지털, 셀시우스 채굴 자산 인수 예정
신생 비트코인 채굴회사 아이오닉 디지털(Ionic Digital)이 파산한 대출업체 셀시우스(CEL)의 채굴 자산을 인수할 계획이라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약 87MW 자체 채굴 케파, 타사에서 호스팅되는 132MW 채굴량, 시더베일 채굴장 등이 인수 대상이다. 아이오닉은 초당 6엑사해시(EH/s)의 채굴 파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내 채굴기가 완전히 가동되면 이 수치가 12.7EH/s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아이오닉은 몇 달 안에 상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1월 26일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에 폼-10을 제출한 상태다. 셀시우스 채권자들은 아이오닉의 지분을 보통주 형태로 갖게될 예정이다.
분석 "작년 DEX 상장 토큰 54% 펌프앤덤프 패턴 보여"
디크립트가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 보고서를 인용해 "탈중앙화 거래소(DEX)에 상장된 토큰의 54%가 펌프앤덤프(헐값으로 산 뒤 인위적으로 가격을 부풀린 다음 내다파는 행위) 패턴을 보였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2023년 DEX에 상장된 16만개 이상 토큰을 온체인 분석한 결과, 펌프앤덤프 패턴을 보인 토큰 발행자들은 총 2.41억 달러 이익을 얻었으며, 평균 이익은 2,500 달러였다. 대부분의 덤핑은 토큰 발행 수 주 이내 발생했다. 다만 펌프앤덤프 패턴이 나타난 토큰들의 DEX 내 거래량 비중은 1.3%에 불과했다. 온체인상 몇 개의 트랜잭션만 보이는 토큰들은 사기 가능성이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블랙록 IBIT, 1/31 기준 66,200 BTC 보유...$28.72억
블랙록이 비트코인 현물 ETF(IBIT)의 포지션 데이터를 공식 업데이트했다. 1월 31일 기준 IBIT는 총 66,200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가치는 약 28.72억 달러다.
BTC 7년 평균 수익률 44%, 다른 주요 자산 압도
언폴디드는 "지난 7년 동안 비트코인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44%지만, 다른 주요 자산의 수익률은 평균 5.7%에 그친다"고 전했다.
1월 로닌 체인 NFT 거래량, 15개월래 최대
크립토슬램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월 로닌(RON) 체인 NFT 거래량이 400만 달러를 돌파, 최근 15개월 내 최대 거래량을 기록했다. 1월 로닌 체인 NFT 거래 건수는 20만 건을 넘어섰으며, 순매수자는 26,573명·순매도자는 22,126명을 기록했다.
전 리플 직원 "크리스 라슨, 다중서명 지갑·커스터디 서비스 안 써...놀라운 일"
전 리플(XRP) 소프트웨어 엔니지어 닉 부갈리스(Nik Bougalis)가 X를 통해 "리플 공동설립자 크리스 라슨(Chris Larsen)이 다중서명(멀티시그) 지갑이나 커스터디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다는 것이 놀랍다. 프라이빗 키 관리 및 보안 문제는 큰 과제"라고 전했다. 전날 크리스 라슨은 2억 1300만 XRP(약 $1억 1250만)를 도난당했다.
외신 "BTC, $60,000 이상으로 상승 가능"
코인텔레그래프가 복수 애널리스트를 인용해 "비트코인 주요 온체인 지표인 MVRV(실현 가치 대비 시장 가치) 추세가 2016, 2020년 사이클을 반복한다면 BTC는 6만 달러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겸 트레이더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는 "BTC는 과거 강세장 사이클에서 평균 MVRV를 터치한 뒤 강하게 반등했다. 최근 BTC가 40,500 달러까지 하락 후 반등했을 때도 이런 국면이 나타났으며, MVRV가 1.0에 도달하는 60,000 달러까지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주기영 "BTC 현물 ETF 승인, 테더 이슈 해결 의미"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은 테더 이슈가 해결됐음을 의미한다. SEC(증권거래위원회)는 과거 (테더의) 시장 조작 활동을 이유로 현물 ETF를 반려한 바 있다"고 포스트했다.
외신 "XRP, 올 들어 첫 데드 크로스...과매도 시사"
유투데이는 올 들어 처음으로 XRP 차트에서 데드 크로스가 형성됐다고 보도했다. XRP 50일 단순이동평균(SMA)이 200일 SMA를 하향 돌파하며 2023년 9월 이후 처음으로 데드 크로스가 나타났다. 그러나 데드 크로스는 일반적으로 후행 지표로 간주되며, 이미 토큰이 과매도됐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과거 XRP 데드 크로스는 바닥 단계에서 나타났다.
분석 "BTC, $38,000서 지지선 형성"
비인크립토가 온체인 데이터 분석 사이트 크립토퀀트(CryptoQuant) 주간 보고서를 인용해 "3가지 지표를 통해 미뤄본 결과 비트코인은 38,000 달러에서 지지선을 형성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단기 보유자(STH) 실현 가격이 40,400 달러인 점 △BTC가 38,000 달러에 도달했을 당시 많은 STH가 손절매했다는 점 △1,000 BTC 이상을 보유한 고래 주소들이 지속 매집하고 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로이터 "현물 BTC ETF 옵션 승인에 수개월 걸릴 수도"
미국에서 현물 비트코인 ETF 옵션 출시가 승인되려면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고 로이터가 업계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와 관련한 마땅한 규제 프로세스가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옵션은 파생상품을 감독하는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복잡해진다. 마켓벡터 인덱시즈의 디지털 자산 상품 전략가 Martin Leinweber는 비트코인 ETF 옵션 승인을 받는 데 2~10개월 정도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분석 "기관 BTC 매집 추세 지수, 3년 만 가장 큰 폭 상승세"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겸 트레이더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가 글래스노드 데이터를 인용해 "비트코인 매집 추세 지수(Accumulation Trend Score)가 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매집 추세 지수는 온체인상 기관 투자자들의 매집 규모를 반영하는 지표로, 1에 가까울 수록 더 큰 기관이 축적하고 있음을, 0에 가까울 수록 축적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알리 마르티네즈는 "매집 추세 지수는 지난 4개월 동안 1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했으며, 이는 더 큰 규모의 기관들이 BTC를 매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추세는 시장에 대한 강한 신뢰를 나타낸다"고 X를 통해 전했다.
SBI·SIX 합작 거래소 아시아넥스트, 암호화폐 파생상품 지수 2종 출시
파이낸스피드에 따르면 스위스 증권거래소 운영사 식스(SIX)가 기관 전용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아시아넥스트(AsiaNext)와 함께 암호화폐 파생상품 투자용 지수 2종(SIX Reference Rate Crypto, SIX Real-Time Crypto Indices)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아시아넥스트는 일본 금융 대기업 SBI그룹과 식스의 합작사로 지난달 9일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를 시작한 바 있다.
해시키 익스체인지 "홍콩 달러-미국 달러 양방향 환전 지원"
홍콩 규제 적격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 익스체인지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홍콩 달러와 미국 달러 간 양방향 환전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분석 "1월 디지털 투자상품 운용자산 $507억...전달과 비슷"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업체 CC데이터(CCData)가 1월 31일자 보고서에서 "지난 1월 전체 디지털 투자 상품 운용 자산은 전달 대비 1.53% 증가한 507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 자산이 유출되며 BTC가 하락하는 가운데 기록한 수치"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디지털 자산 부문 일평균 거래량은 전달 대비 224% 급증한 21.9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BTC 현물 ETF 승인 영향으로 보인다. BTC 현물 ETF 승인은 기대되는 이벤트였지만 투자 상품 자산 유입량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최근 GBTC 유출 규모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레이스케일은 최근 유출에도 총 운용자산 규모 278억 달러로 업계를 지속 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독일 3대 은행 DZ뱅크, 연말 암호화폐 거래 시범 서비스 운영
코인데스크가 블룸버그 보도를 인용해 "독일 3대 은행 DZ뱅크가 올해 말 암호화폐 거래 시범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DZ뱅크 이사회 멤버 수아드 벤크레다(Souad Benkredda)는 "DZ뱅크는 다양한 암호화폐를 상장하길 바라고 있으며, 이는 자문(advice) 없이 투자할 수 있는 고객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DZ뱅크는 6,270억 달러(약 836조원)를 운용 중이며, 지난해 11월 암호화폐 커스터디 플랫폼을 출시하기도 했다.
분석 "GBTC 제외 BTC 현물 ETF 순유입액, 이틀 연속 GBTC 순유출액 넘어서"
블록체인 분석업체 스코프스캔(Scopescan)이 X를 통해 "그레이스케일은 오늘 4,739 BTC(2억 달러 상당)를 이체했다. 이틀 연속으로 GBTC를 제외한 BTC 현물 ETF들의 자산 순유입액이 GBTC의 순유출액을 넘어섰으며 규모는 6,053 BTC(2.55억 달러 상당)이었다. 이는 GBTC 매도 압력이 시장에서 소화되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그레이스케일은 492,461 BTC(206억 달러 상당)를 보유 중이며 BTC 현물 ETF 거래 시작 후 BTC 보유량이 25.92% 감소했다. 총 131,819 BTC(55.3억 달러 상당)이 유출됐다"고 덧붙였다.
하마스 피해 이스라엘인들, 바이낸스 고소..."테러단체 자금조달 도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에 피해를 입은 이스라엘인들이 바이낸스가 테러단체와 관련된 트랜잭션을 처리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바이낸스가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여러 국가의 눈을 피해 하마스와 테러단체들의 자금 조달을 도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하마스 테러 이후 이스라엘 당국은 100개 이상 바이낸스 계정을 동결하기도 했다. 반면 체이널리시스는 지난해 10월 보고서에서 "전체 암호화폐 산업에서 테러단체 자금 비중은 매우 적다"고 전한 바 있다.
러 중앙은행 총재 "국가간 결제서 암호화폐 사용 가능성 논의 중"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 총재 엘비라 나비울리나 Elvira Nabiullina)가 최근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우호적인 국가와의 국가간 결제에서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통화(CBDC)나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것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암호화폐 국내 결제에는 반대하고 있지만 대외 무역에서 사용되는 안은 두마(하원)에서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미국의 제재와 또 다른 제재 우려가 있고, 러시아와 그 동맹국들이 대체 결제 방식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인스크립션 마켓 런칭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바이낸스 인스크립션 마켓'을 런칭한다고 밝혔다. 바이낸스 앱 내에서 BRC-20 토큰, EVM 토큰 등 다양한 인스크립션 토큰을 거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바이낸스 웹3 월렛과 연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