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파생동향] 비트코인($BTC)·이더리움($ETH) 소폭 상승…도지코인·PEPE 3%↑·리플($XRP) 하락세

프로필
토큰포스트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3

도지코인과 PEPE가 3% 이상 상승하며 밈코인 강세 지속. 비트코인·이더리움 강보합세 속 라이트코인 9.71% 급등, 리플은 0.8% 하락.

 TokenPost.ai

TokenPost.ai

현물 시장 최다 거래 종목 분석: 도지코인·PEPE 3% 이상 상승…라이트코인 10% 가까운 급등세

바이비트(Bybit)에 따르면, 24시간 기준으로 현물 거래량이 많은 종목 중 도지코인(DOGE/USDT)은 3.52% 상승해 0.25096달러에 거래되며 밈코인 내 강세 종목으로 부각됐다. 다른 밈코인인 PEPE(PEPE/USDT)도 3.95% 오르며 단기 투기 심리가 유지되고 있는 모양새다. 알트코인 중에서는 라이트코인(LTC/USDT)이 9.71% 상승, 110.99달러까지 급등해 두드러진 주간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이는 반감기 이벤트와 관련한 기대와 단기 매수세 유입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이더리움(ETH/USDT)은 1.56% 오르며 3,599달러 선을 회복했고, 솔라나(SOL/USDT)도 소폭 상승한 177.3달러를 기록하며 견고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리플(XRP/USDT)은 0.80% 하락해 3.416달러에 머물렀고, 신생 밈코인 펭귄유(PENGU/USDT)는 1.29% 하락하며 단기 급등 후 조정을 겪는 모습을 보였다. 가장 크게 하락한 종목은 신규 상장 토큰 TAC(TAC/USDT)로, 11.19% 급락해 가격이 0.01308달러까지 떨어졌다. 주목할 신규 종목 중에서는 FRAG(FRAG/USDT)가 12.65% 급등하며 새롭게 유입되는 투자 수요를 반영했다.

가격 추세 분포 분석: 총 534개 종목 중 398개 하락…시장 전반 조정 흐름 우세

가격 변화 추세를 살펴보면 전체 534개 종목 중 398개가 24시간 동안 하락세를 기록해, 약 74.5%의 종목이 가치 하락을 겪었다. 상승한 종목 수는 126개에 그쳤으며, 변동이 없는 종목은 10개로 집계됐다. 가격 상승이 있었던 종목 대부분은 0%~5% 범위에 집중돼 있었고, 일부 신생 토큰에 한해서는 10% 이상의 강한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락 종목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은 최근의 단기 상승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확대되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손실 구간의 종목들이 -5% 이하의 중하락 영역에 걸쳐 있다는 점은, 투자자들이 전반적으로 조정세를 의식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는 시장이 일시적인 상승 모멘텀을 소진하고, 단기적으로 리스크 조정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트렌딩 섹터 분석: FTX 청산 관련 토큰 10% 이상 강세…거래소 기반 토큰 전반적 회복

금일 섹터별 트렌드를 살펴보면 가장 두드러진 섹터는 'FTX 파산 자산(FTX Bankruptcy Estate)' 관련 토큰으로, 섹터 평균 상승률이 10.62%에 달했다. 대표 종목인 FTT는 21.09% 급등하며 해당 섹터의 강세를 견인했다. 이는 최근 FTX 청산 계획 관련 뉴스와 연동된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된 결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벤처 투자사 포트폴리오 섹터인 '팬테라 포트폴리오(Pantera Portfolio)'도 평균 6.32% 상승해 상위 강세 섹터에 이름을 올렸으며, 이 역시 FTT가 주도하는 흐름이었다. '거래소 기반 토큰(Exchange-based Tokens)' 섹터 역시 평균 4.73% 상승하며 전반적으로 거래소 플랫폼 관련 이슈나 회복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는 모양새다.

기타 테마로는 트위터 관련 토큰이 포함된 'Twitter' 섹터가 3.90% 오르며 주목을 받았고, 대표 종목인 MASK는 6.60% 상승했다. 게임 기반 생태계를 구성하는 'Play To Earn' 섹터와 제로지식증명 기반 토큰들로 구성된 'Zero Knowledge(ZK)' 섹터는 각각 3.79%, 3.55% 상승하며 전반적으로 기술 테마 기반의 관심 종목들이 회복 흐름을 보였다.

이번 섹터별 추세는 FTX 청산 이슈 등 구조적 이벤트 중심의 테마 흐름이 시장의 단기 강세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기술 섹터보다 특정 사건 중심의 모멘텀이 더 강한 장세임을 시사한다. 동시에 거래소 기반 토큰과 개인정보 보호 중심 코인들이 점진적으로 매수세를 유입시키는 점은 시장이 점차 방어적인 섹터로 자금을 이동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읽힌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3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낙뢰도

12:02

등급

StarB

11:19

등급

디스나

11:03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낙뢰도

2025.07.20 12:02:4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7.20 11:19:0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7.20 11:03:3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