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 1억6400만원대로 하락…이더리움은 강세 지속

프로필
토큰포스트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4

주요 암호화폐가 전반적인 하락 흐름 속에서 비트코인은 1억6400만원대, 이더리움은 중장기 상승세를 주도하는 모습이다.

 비트코인 1억6400만원대로 하락…이더리움은 강세 지속 / 셔터스톡

비트코인 1억6400만원대로 하락…이더리움은 강세 지속 / 셔터스톡

7월 29일 오전 기준, 주요 암호화폐 시세는 전일 대비 하락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은 117,877.61달러(약 1억 6,412만 원)로 전일 대비 0.98% 하락했다. 일주일간 변동률은 소폭 상승한 0.06%를 기록했으나, 최근 한 달간 9.78%, 60일 기준 11.55%, 90일 누적 상승률이 24.67%에 달하며 상승세는 중장기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모습이다. 비트코인은 최근 한 달 간 박스권 돌파 흐름 이후 점진적인 상승을 나타내며 암호화폐 시세 전반에 일정한 안정감을 제공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최근 급등세 이후 일시적인 조정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이더리움의 현재 가격은 3,763.37달러(약 523만 9,997원)로, 24시간 기준 2.22% 하락했다. 7일간 변동률은 -0.83%로 비교적 제한된 조정폭을 보였지만, 30일간 상승률은 무려 54.84%에 달한다. 특히 90일 기준 상승률은 109.29%로 시장 내 가장 뚜렷한 강세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최근 이더리움의 변동성 확대는 과거 이더리움 전송 수수료 감소, 온체인 활동 증가와 관련된 기술적 호재와 연관되어 있으며, 해당 상승이 현재 시장 분위기 전체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 중이다.

반면 리플은 최근 며칠 간 강한 조정을 받으며 일부 차별화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현재 가격은 3.12달러(약 4,345원)로 24시간 기준 3.57%, 7일 기준으로는 12.22% 하락했다. 그러나 30일간 상승률은 42.87%에 달해, 중장기 관점에서는 여전히 상승 추세로 분류된다. 최근 리플의 조정은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며, 이같은 리스크 요인이 리플을 중심으로 암호화폐 가격 움직임에 단기 불안정성을 추가하고 있는 양상이다.

전반적으로 비트코인은 완만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이더리움이 중장기 상승장을 주도하고 있다. 리플은 일부 변동성이 확대된 상황 속에서도 상승 기반은 유지하고 있어 단계적 접근이 필요한 구간으로 판단된다. 이 같은 흐름은 현재 암호화폐 가격의 기술적 반등 시도 과정에서 일부 재정비 구간에 머물 가능성이 높으며, 투자자들은 주요 암호화폐의 시세 변화와 시장 분위기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포지션 데이터 측면에서도 상승 흐름이 일정 부분 반영되며 시장 심리에 긍정적인 시그널이 나타나고 있다. 바이비트 제공 포지션 수익 분포에 따르면, 410건의 포지션이 수익 구간에 위치한 반면, 손실 구간에 있는 포지션은 111건에 불과했다. 변화 없음(noChange)은 8건으로 집계돼 해석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 같은 수익 포지션의 비중 우위는 단기 기술적 반등의 결과로 나타나는 투자 심리 개선의 한 단면을 보여주며, 현재까지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 내 낙관적 기류가 일정 수준 형성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상승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이더리움의 가격 강세가 포지션 수익률에서 뚜렷이 반영된 점이 주목된다. 지난 30일 동안 이더리움은 50% 이상 상승했고, 이에 따른 롱 포지션 수익 실현이 증가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체 수익 구간 포지션 증가에도 기여했고, 파생상품 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확산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리플의 경우 최근 일주일 간 큰 하락세를 나타냈기 때문에 일부 숏 포지션 중심의 단기 수익 확대는 있었으나, 전체 분위기를 주도할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읽힌다.

비트코인은 완만한 상승세 덕분에 극단적으로 편향된 포지션 없이 균형감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이더리움 중심의 포지션 수익 쏠림 현상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특정 자산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명확히 반영하는 수치로도 해석된다. 수익 구간 포지션 비중이 손실 구간을 크게 웃돌고 있는 현재 상황은 파생상품 시장 내 심리적 기반이 여전히 강세에 기울어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향후 시장 가격 움직임과 투자 전략에 있어서 이에 기반한 확장적 접근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더리움은 강력한 기관 수요와 ETF 기대감에 힘입어 단기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최근 한 주간 15억 9,00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이 유입되며 이더리움 역사상 두 번째로 큰 주간 순유입 기록을 세웠고, 이는 월간 기준 약 62%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특히 블랙록의 이더리움 ETF(ETHA)가 100억 달러 이상의 운용자산을 기록하며, 기관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내 이더리움 비중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온체인 지표상 고래 지갑 주소(1만 ETH 이상 보유)는 지난 한 달간 50개가 증가하며 누적 매집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ETH 선물 가격이 주요 지지선인 3,795달러 이상에서 거래되며 4,000달러 돌파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ETF 흐름이 다소 둔화된 모습과 더불어 시장 전반은 고레버리지 및 차익 실현에 따른 정체 구간에 들어섰다는 점은 경계 요소로 지목된다.

전반적으로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한 기관 자금 유입과 ETF 낙관론이 시장 심리를 지지하고 있으나, 시장 전체는 혼조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 및 일부 알트코인으로 자금이 순환되는 가운데, 여전히 많은 알트코인은 규제 불확실성과 성장성에 대한 의문으로 인해 투심이 제한적인 상태다. 특히 미국에서 최근 통과된 ‘지니어스법(Genius Act)’와 ‘클래러티법(Clarity Act)’ 등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규제 명확성을 제공하며 향후 알트코인 시장에 긍정적일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의 ‘리스크 오프’ 정서가 반영되며 상승 탄력이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 가격 저항 구간 돌파 여부가 중요 국면으로 떠오르는 만큼, 현 시점에서는 무리한 추격 매수보다는 기술적 지지선을 고려한 분할 진입과 변동성 대응을 위한 손절 기준 설정 등 리스크 관리가 수반된 전략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4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바다거북이

15:48

등급

엠마코스모스

15:12

등급

StarB

13:56

등급

디스나

11:19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7.29 15:12:5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7.29 13:56:0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7.29 11:19:0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