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 인프라 업체 지토랩스(Jito Labs),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와 비트와이즈(Bitwise), 그리고 기타 두 곳의 이해관계자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솔라나 상장지수상품(ETP)에 유동성 스테이킹 기능 도입을 요청했다.
유동성 스테이킹은 토큰을 검증자에게 맡기면서도 동시에 파생 토큰을 받아 보유 자산이 사실상 잠기지 않고도 유동성을 가지게 되는 구조다. 이런 유동화된 스테이킹 토큰(LST)은 일반 토큰처럼 거래할 수 있고, 탈중앙화금융(디파이)이나 대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통적인 스테이킹 방식에 비해 추가적인 리스크 요인이 존재한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이번 요청은 솔라나 정책연구소(Solana Policy Institute), 멀티코인 캐피털(Multicoin Capital Management) 등과 함께 이뤄졌다. 이들은 유동성 스테이킹을 통해 자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특히, ETP 발행사가 강제로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 논리다.
이해관계자들은 SEC에 제출한 서한에서 “발행사가 자산의 일정 비율만 스테이킹하도록 제한받을 경우, 대규모 매수·상환이 발생할 때마다 리밸런싱이 요구돼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추종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때 LST를 활용하면 신속하게 리밸런싱을 수행하거나, 지정 참가자(AP) 간 현물 전환 방식으로 수취 및 인도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움직임은 상장지수상품 시장에서 솔라나 ETP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시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넘어 다양한 디지털자산이 기관 투자자에게 노출되는 추세 속, 유동성 스테이킹이 실질적 해결책으로 부각되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