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BTC) 311조 원, 지갑 분실로 영구잠금…지갑 복구 사기 주의보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3

2025년 기준 최대 370만 개 비트코인이 지갑 분실로 복구 불가능하며, 이를 노린 지갑 복구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 지갑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채널을 통한 대응이 중요하다.

 비트코인($BTC) 311조 원, 지갑 분실로 영구잠금…지갑 복구 사기 주의보 / TokenPost.ai

비트코인($BTC) 311조 원, 지갑 분실로 영구잠금…지갑 복구 사기 주의보 / TokenPost.ai

2025년에도 여전히 많은 이용자들이 암호화폐 지갑의 비밀번호와 시드 문구를 잊어버리는 사고를 겪고 있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했어도 ‘기본 중의 기본’인 정보 보관 부주의로 수억 원대 자산이 영구히 사라지는 일이 끊이지 않는다.

레저(Ledger) 분석팀에 따르면, 2025년 초 기준 비트코인(BTC) 중 약 230만~370만 개는 복구 불가능한 상태로 추정된다. 이는 현재 시세 기준으로 약 1,400억~2,240억 달러(약 194조 6,000억 원~311조 3,6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또한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2024년 한 해 동안만 암호화폐 투자 사기로 인한 손실이 93억 달러(약 12조 9,270억 원)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특히 고령층에 피해가 집중됐고, 자산을 되찾으려다 사기성 복구 서비스에 속는 2차 피해도 빈번히 발생했다.

지갑 복구는 지갑 유형에 따라 접근 방법이 전혀 다르다. 금융 사기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본인의 지갑이 커스터디얼(수탁형)인지 논커스터디얼(비수탁형)인지부터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커스터디얼 지갑은 바이낸스, 크라켄, 코인베이스처럼 거래소 기반 지갑을 말한다. 이 경우 지갑 비밀번호를 잃어도 비교적 간단히 복구가 가능하다. 이메일을 통한 인증이나 본인 확인(KYC) 절차를 거치면 플랫폼이 보관 중인 개인 키를 통해 접근 권한을 회복할 수 있다.

반면 메타마스크(MetaMask), 트러스트 월렛(Trust Wallet), 레저(Ledger) 등 비수탁형 지갑은 사용자가 직접 시드 문구와 비밀번호를 보관해야 한다. 둘 중 하나라도 잃을 경우 복구 가능성이 낮아지며, 둘 다 없다면 대부분의 경우 자산은 영구히 접근 불가 상태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물리적 백업이나 오프라인 보관을 철저히 해둘 필요가 있다.

한편, 암호화폐 지갑 복구를 돕는다는 명목으로 접근하는 ‘복구 업체’의 사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일부 업체는 선불 요금을 요구하거나, 전문성을 입증할 서류 없이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수법으로 피해자를 유인한다. 정식 업체는 사전 요금을 받지 않으며, 실적과 신원 문서를 투명하게 공개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잃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비트코인, 이더리움(ETH) 등 고가의 디지털 자산을 다룰수록 신뢰할 수 있는 공식 경로를 통해 대처하는 것이 안전하다. 모든 상황에 적용 가능한 복구 방법은 없지만, 정확한 정보를 알고 구조화된 대응을 하면 자산을 되찾을 기회는 분명히 존재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StarB

00:10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StarB

2025.08.15 00:10:4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8.14 23:41:1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