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를 중심으로 숨 가쁜 공방을 벌이는 가운데, 알트코인 시장은 극심한 매도세에 휘청이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약세 흐름을 피하지 못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3조 9,000억 달러(약 5,431조 원) 아래로 떨어졌다.
암호화폐 대표 종목인 비트코인은 지난 주말부터 이어진 하락 압력에 밀려 10만 9,000달러(약 1억 5,151만 원)까지 떨어지며 최근 7주간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발언이 반등 기대감을 자극하며 한때 11만 7,000달러(약 1억 6,263만 원)까지 급등했으나 상승세는 오래가지 못했다. 곧이어 매도세가 다시 힘을 얻으면서 수 시간 만에 시세는 11만 1,000달러(약 1억 5,439만 원) 아래로 밀렸다. 특히 일요일 장 마감 무렵, 불과 1시간 만에 3억 달러(약 4,170억 원) 규모의 롱포지션이 청산되며 시장은 냉각됐다.
비트코인은 현재 약세장에서 소폭 반등해 11만 달러 초반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나, 여전히 하루 기준으로는 1% 이상 하락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2조 2,000억 달러(약 3,058조 원) 아래로 감소했다. 반면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은 56.6%까지 소폭 회복돼, 알트코인들의 상대적 부진을 반영했다.
이더리움(ETH)의 낙폭도 커졌다. 전일 신고가에서 하루 만에 600달러(약 83만 4,000원) 넘게 떨어지며 현재는 4,400달러(약 611만 원) 수준에서 횡보 중이다. 이는 하루 새 4% 이상 급락한 결과다. 체인링크(LINK)는 8% 넘게 떨어져 23달러(약 3만 2,000원)까지 하락했다. 솔라나(SOL), 도지코인(DOGE), 트론(TRX), 바이낸스코인(BNB), 아발란체(AVAX), 톤(TON) 등 주요 알트코인들도 줄줄이 약세를 면치 못했다.
중형 종목군 역시 예외는 아니다. 시장에서의 전반적인 투자 심리는 위축돼 있으며, 이에 따라 단 하루 만에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600억 달러(약 83조 4,000억 원)가 증발했다.
현재 시장은 금리 정책 및 경제 전망 등에 따라 고도의 변동성을 지속하는 모습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매도세가 계속 이어질 경우, 기술적 지지선 하방 이탈 우려가 커질 수 있다며 신중한 대응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