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가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자국 통화인 페소 가치 하락에 직면한 가운데, 미국 정부가 금융 지원 가능성을 시사하며 개입에 나섰다. 하지만 이를 두고 비트코인(BTC) 지지자들은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최근 아르헨티나 페소화는 4.5% 이상 급락했다. 그 배경에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이 추진하는 재정 개혁과 구조 개혁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가 작용했다. 앞서 이달 초 실시된 부에노스아이레스 지방 선거에서 대통령 소속 정당이 부진한 성적을 거두면서, 그의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여기에 밀레이 대통령 측근의 가족이 부패 혐의에 연루되며, 시장의 불안감은 더욱 커졌다.
투자자들의 불신은 곧바로 시장 자금 유출로 이어졌다.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페소 방어를 위해 단 3일 만에 약 11억 달러(약 1조 5,290억 원)를 외화 보유고에서 소진해야 했다. 현재 아르헨티나 정부가 보유한 유동성 외환 보유고는 총 200억 달러(약 27조 8,000억 원)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이는 상당한 부담이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아르헨티나는 라틴아메리카에서 체계적으로 중요한 동맹”이라며, 미국이 아르헨티나의 안정을 위해 “모든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가 언급한 구체적 대응 방안으로는 통화 스와프 협정, 직·간접적인 외화 매입, 재무부의 환율안정기금(ESF)을 활용한 아르헨티나 국채 매입 등이 포함됐다.
한편 국채시장에서는 밀레이 정부의 재정운용 속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달러화 표시 국채 가격이 동반 하락했다.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되면서 단기적인 시장 안정 기대는 불확실한 상태다.
이에 대해 비트코인(BTC) 지지자들은 미국의 개입이 구조적 문제 해결엔 역부족일 것이라 보고 있다. 일부 업계 전문가들은 “외부 지원에 의존하기보다는 탈중앙화된 통화 시스템 도입이 장기적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일각에서는 거시경제 위기 상황에서 비트코인 등의 디지털 자산이 가치 저장 수단으로 부상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