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브래키(BRACKY)
현재가 0.000203달러 | ATH 0.000210달러 (–3.51%)
브래키는 최근 하루 사이 약세 조정을 받았으나, 저점 대비 11% 이상 상승하며 단기 반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출시 초기 단계임에도 거래량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단기 변동성 확대 속에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는 모습이다. 저점 인식 매수세가 유입되며 향후 유동성 개선 여부가 추가 상승세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벨로라(VLR)
현재가 0.00983달러 | ATL 0.00983달러 (–0.02%)
② 히포 프로토콜(HP)
현재가 0.0337달러 | ATL 0.0336달러 (+0.40%)
③ 오아시스(OAS)
현재가 0.00501달러 | ATL 0.00500달러 (+0.18%)
④ 게임즈 포 어 리빙(GFAL)
현재가 0.00263달러 | ATL 0.00262달러 (+0.40%)
⑤ 액세스 프로토콜(ACS)
현재가 0.000590달러 | ATL 0.000583달러 (+1.30%)
이 외에도 ▲커먼(COMMON) ▲0G랩스(0G) ▲플라즈마(XPL) ▲제로베이스(ZBT) ▲오로치 네트워크(ON) ▲알파 시티(AMETA) ▲리얼린 프로토콜(REAL) ▲래핑드 XPL(WXPL)까지 13개 종목이 신저점을 경신했다. 대부분 단기 기술 저항선 아래에서 소폭 반등세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거래가 제한적인 구간에서 미세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으며 일부 프로젝트는 저점 인식에 따른 단기 회복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110539달러 | ATH 126038달러 (–12.3%)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3919달러 | ATH 4948달러 (–20.8%)
③ 바이낸스코인(BNB)
현재가 1119달러 | ATH 1369달러 (–18.3%)
④ 리플(XRP)
현재가 2.56달러 | ATH 3.84달러 (–33.3%)
⑤ 솔라나(SOL)
현재가 194.44달러 | ATH 293.65달러 (–33.8%)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비롯한 주요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최근 조정세를 보이면서도 여전히 장기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사상 최저점 대비 43,000,000% 이상 상승하며 절대적인 강세를 입증했으며, 이더리움·BNB 역시 각각 900,000%와 1,100,000% 이상의 누적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리플과 솔라나는 상대적으로 큰 폭의 조정을 겪으며 투자심리가 다소 위축된 모습이지만, 여전히 주요 알트코인 중 탄탄한 유동성과 거래 기반을 유지하고 있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① 헤데라(HBAR)
현재가 0.206달러 | ATH 0.567달러 (–63.7%) | ATL 0.0101달러 (+1,940%)
② 크레딧코인(CTC)
현재가 0.492달러 | ATH 9.12달러 (–94.6%) | ATL 0.0848달러 (+479.7%)
③ 플라즈마(XPL)
현재가 0.333달러 | ATH 1.69달러 (–80.3%) | ATL 0.328달러 (+1.58%)
④ 리니아(LINEA)
현재가 0.0142달러 | ATH 0.0437달러 (–67.5%) | ATL 0.0103달러 (+38%)
⑤ 오픈루트(OL)
현재가 0.0414달러 | ATH 0.679달러 (–93.9%) | ATL 0.00814달러 (+409.2%)
최근 급등세를 보인 종목들은 공통적으로 저점 대비 큰 폭의 회복세를 나타내며 투자 심리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특히 헤데라와 크레딧코인은 과거 저점 대비 각각 19배, 4배 이상 상승해 장기 보유자들의 수익률이 크게 회복된 모습이다. 반면 플라즈마와 리니아는 단기 변동성 속에서도 신규 자금 유입이 이어지고 있으며, 오픈루트는 여전히 고점 대비 약세를 보이지만 재평가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다. 국내 투자자들은 이들 종목을 중심으로 기술형 블록체인 자산의 중기 반등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