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키운다"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5
좋아요 비화설화 0

2025년까지 인공지능(AI) 기반 글로벌 일류 보안기업 60개사 육성
5개 융합보안거점(안양, 안산, 군산, 원주, 부산) 구축·강화를 통한 융합보안시장 창출
데이터 금고, 보안솔루션 등 중소기업 정보보호지원 확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경제시대 정보보호 산업을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보보호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을 10일 제 5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정보보호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을 통해 4개 전략인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정보보호 신시장 창출 ▲글로벌 일류 정보보호기업 육성 ▲정보보호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생태계 확충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경쟁력 확보 실행과제를 마련했다.

◇ 성장동력 확보 위한 정보보호 新시장 창출

과기정통부는 보안위협 자동 탐지·대응, 보안관제 자동화 등 인공지능 기반의 보안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혁신 보안 기업 60개사를 2025년까지 발굴해 육성하여 국내 인공지능 기반 보안산업을 활성화 할 예정이다.

또한, 악성코드, 침해사고 데이터로 구성된 정보보안 데이터 8억여건을 개방하고, 싸움, 쓰러짐, 화재 등 재난·안전 분야 물리보안 영상 데이터 5종을 새롭게 구축하여 인공지능이 적용된 보안 제품·서비스의 성능 고도화를 뒷받침한다.

코로나19로 인해 원격근무·교육 등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국민의 일상생활 속 비대면 서비스와 메타버스, 무인점포 등 신규비대면 서비스 보안위협에 대응하여, 디지털·비대면 서비스에 보안을 적용한다.

사진 = 디지털·비대면 서비스에 보안을 적용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특히, 코로나 의료지원 서비스(자가격리 모니터링)와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교육, 메타커머스, 엔터 등) 보안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며, 안심스마트점포 모델을 확산하고, 지능형 CCTV 등 인공지능(AI) 물리보안 솔루션을 실운용 상황에서 학습할 수 있는 테스트 베드를 구축한다.

사진 = 5개 보안리빙랩 융합보안 거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외에도 5개 보안리빙랩 융합보안 거점(안양, 안산, 군산, 부산, 원주) 구축과 더불어 부처간 연계를 강화(식약처, 중기부, 산업부 등)하고, 보안점검툴·컨설팅·보안솔루션 제공으로 이어지는 원스톱 패키지 보안적용을 확대한다.

◇ 글로벌 일류 정보보호기업 육성

과기정통부는 우수 정보보호기업의 성장을 위해 첨단 정보보호기술에 기반한 선도 기술·제품개발을 지원하고, 우수 정보보호 기술·제품으로 지정하여 판로개척을 후속 지원한다.

글로벌 기업과 기술수준 격차가 큰 분야 4개 과제를 선정하여 기술·제품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며, 우수 정보보호 기술·제품으로 지정된 제품에 대해서는 국가 조달을 연계하여 기업의 판로개척 후속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정보보호 벤처기업이 기업 간 협업 확대, 인수합병(M&A), 투자유치 등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성장 할 수 있도록 육성한다.

유통채널을 보유한 선도기업과 우수 기술을 보유한 초기기업간의 협업을 통해 제품을 통합 보안 솔루션화 하고 국내·외 판로를 함께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기업 간 협업 및 인수합병(M&A)을 촉진하고, 금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정보보호 분야 벤처기업 투자상품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정보보호기업의 투자유치 기회를 확대한다.

사진 = 금융상품 연계(안)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한, 효과적인 해외 판로 개척을 위해 미국, 동남아, 중남미 등 권역별 맞춤형 목표를 설정하고,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동남아시아, 미주 5대 해외 거점을 중심으로 집중 공략한다. 한국형 비대면 서비스 보안모델(비대면 서비스+보안솔루션)을 발굴하여 수요 연계형 해외실증을 지원하고, 현지·초청 쇼케이스를 개최할 예정이다.

◇ 정보보호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생태계 확충

과기정통부는 6월까지 정보보호공시 이행을 추진하고, 이를 토대로 정보보호 투자 현황 분석 등을 통해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사물인터넷(IoT)기기 해킹에 대응하여 열화상 카메라, 도어락, 드론, 의료용 X-ray 등 다양한 분야로 정보보호인증을 확대해 정보통신 기기의 보안 내재화 기반을 마련한다.

지능형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 고시를 반영한 홈·가전 사물인터넷(IoT) 보안을 공동주택에 적용토록 지원하고, IoT 보안인증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시험자동화 도구 개발을 위한 R&D 추진, 신규인증대상 개발 등 보안인증을 고도화 한다.

사진 = 중소기업·지역의 사이버 보안 안전망 확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한, 보안 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 8,300개사를 대상으로 보안컨설팅, 보안제품 도입, 데이터 백업 등을 지원하고, 전국 10개 지역 정보보호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학계, 산업계, 지자체 등으로 구성된 지역 정보보호협의회를 신규 운영하여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보안 내재화 및 정보보호 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경쟁력 확보

정보보호 연구개발(R&D) 규모를 2022년 928억원으로 확대하여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정보보호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한다.

사이버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4대 대응 체계(억제→보호→탐지→대응) 중심의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글로벌 공급망 위협에 대응한 공급망 보안 기술, 6G·양자 등 미래 기술 도입에 대비한 보안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

또한, 안전한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로트러스트 보안 기반 기술 확보한다. 기업의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동형암호 등 데이터 보호 기술, 초연결시대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보안 위협 대응 기술 등을 개발하며, 하반기까지 '사이버보안 新기술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임해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대의 도래, 디지털 전환으로 보안위협이 일상화되고 있어 우리 정보보호 기업과 기술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디지털 전환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정보보호산업은 최근 보안 수요 증가로 인해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산업이므로, 국가차원의 전략적 육성을 통해 산업의 기반을 강화하고, 새로운 경제 성장 기회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광고문의기사제보보도자료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5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2894love

2022.02.13 01:39:24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박단추

2022.02.12 22:56:53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채굴의왕자

2022.02.11 14:54:22

ㄱㅅㄱㅅ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하민94

2022.02.11 11:13:3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sjk6780

2022.02.11 01:09:00

좋은 정보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