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가 이달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하면서 연준 내 금리 정책 논의가 다시금 뜨거워지고 있다. 그는 노동시장 둔화 조짐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월러는 7월 29~30일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뉴욕대학교 머니마키티어스 행사 연설에서 “겉으로 봐선 고용시장이 양호해 보일 수 있으나, 민간 부문 일자리 증가세는 사실상 정체 상태에 가까워졌다”며 “노동시장 리스크가 확대되는 만큼 금리 인하를 늦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다시 화두에 오른 관세 인상에 대해서도 일시적 요인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다. 관세는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촉발하지 않으며, 경제 전반은 연말까지 다소 침체된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2.7% 상승하며 연준의 물가 목표치인 2%를 상회하고 있지만, 월러는 이를 ‘크게 우려할 수준’으로 판단하긴 어렵다고 본다.
미국 중앙은행은 2% 물가 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이중 책무를 지니고 있다. 월러는 “현재 물가는 목표치와 근접해 있고, 상방 리스크는 제한적이다. 경기가 더 악화되기 전에 대응할 타이밍”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연준 내부는 여전히 금리 인하에 대해 의견이 엇갈린다. 일부 위원들은 고조된 인플레이션 압력을 우려하며 기준금리 동결 또는 추가 인상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물가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시티그룹 애널리스트들은 “월러의 비둘기파적 입장은 아직 소수의견이지만, 연말로 갈수록 그의 관점이 주류로 떠오르고 연준은 9월부터 금리 인하 기조로 돌아설 것”으로 분석했다. 경기 지표와 물가 흐름이 월러 주장에 설득력을 더해줄 것인지가 향후 정책 방향을 가름할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