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미국 간 관세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내부에서 인도 정보기술(IT) 기업에 대한 경계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IT 기업들이 인도 기업에 업무를 아웃소싱하는 관행을 제한하겠다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내용은 9월 7일(현지시간) 인도 유력지 타임스오브인디아를 통해 보도된 것이다. 미국의 극우 성향 활동가 로라 루머는 최근 소셜미디어 엑스(구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인 콜센터 인력에 제한을 두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콜센터를 미국이 다시 운영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루머는 공식적인 정부 인사는 아니지만, 보수 진영 내에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일부 논객들과 함께 이슈를 주도하고 있다.
미국 기업은 그간 낮은 인건비를 이유로 인도에 기반을 둔 콜센터 및 IT 아웃소싱 기업들과 꾸준히 계약을 이어왔다. 인도는 영어에 능숙한 인력을 다수 확보한 국가로서, 미국 내 고객지원 서비스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내 일부 보수층은 이러한 아웃소싱이 미국인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고 보고 있고, 이에 따라 아웃소싱 기업 혹은 노동자에 대한 세금 부과 주장도 제기되는 형국이다.
더불어 미국 내 이민비자 정책 특히 H-1B 취업비자 프로그램도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이 제도는 외국인 기술인력을 일정 기간 채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과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에도 폐지 또는 축소 주장이 일부에서 제기된 바 있다. 이번 관세 갈등 재점화와 맞물려, 관련 비자 제도 역시 보수 여론의 감시 대상이 되고 있는 셈이다.
이번 논란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월 말부터 인도산 수입품에 대해 최대 50퍼센트에 이르는 상호관세를 적용한 데서 비롯됐다.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지속하고, 외교적으로 중국 및 러시아와 협력 강화 방침을 취하는 데 대한 미국 측 반응이기도 하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자신의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미국과 인도는 특별한 관계”라며 갈등이 과도하게 비화되지 않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도 “양국 관계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화답한 바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대선을 앞두고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가 다시 강화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특히 서비스업과 같은 비제조업 분야의 외국인 고용 또는 아웃소싱 문제가 정책 의제로 부상한다면, 양국 간 경제 협력에도 일정한 긴장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