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반도체 훈풍 타고… 기업 체감경기, 13개월 만에 최고치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11월 기업 체감경기가 반도체 산업 회복에 힘입어 1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기대감은 지속되기 어려우며 장기 평균에는 못 미친다.

 반도체 훈풍 타고… 기업 체감경기, 13개월 만에 최고치 / 연합뉴스

반도체 훈풍 타고… 기업 체감경기, 13개월 만에 최고치 / 연합뉴스

반도체 산업의 회복세를 중심으로 지난 11월 우리나라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1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전반의 심리가 개선되는 움직임이 포착되긴 했지만, 여전히 장기 평균치에는 못 미치는 상황이다.

한국은행이 11월 26일 발표한 ‘기업경기조사’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 대비 1.5포인트 상승한 92.1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지난해 10월(92.5)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CBSI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전반의 기업 진단을 바탕으로 산출한 체감경기 지표로,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를 낙관적으로 본다는 의미이고, 그 아래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CBSI 상승은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에서 나타났다. 제조업 부문은 제품 재고 상황과 업황 개선 영향으로 전월보다 0.3포인트 오른 92.7을 기록했고, 비제조업은 자금 사정과 채산성이 다소 나아지면서 2.3포인트 상승한 91.8을 나타냈다. 이처럼 전산업 지표가 동반 상승한 데에는 최근 반도체 업황 반등이 주요하게 작용했고, 소비심리 회복과 영업일 증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12월 전망을 살펴보면, 제조업 CBSI는 0.9포인트 하락한 91.7로 나타났고, 비제조업은 0.5포인트 오른 90.7로 집계됐다. 전 산업 기준으로는 91.1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이다. 즉, 11월에 나타난 기대감이 당분간 유지되긴 어렵다는 기업들의 관측이 반영된 결과다.

세부 업종별로는 제조업 중 전자·영상·통신장비, 금속가공, 석유정제 업종이 개선세를 보였고, 비제조업에서는 도소매업과 정보통신업, 운수창고업 중심으로 회복세가 확인됐다. 반면, 일부 기계장비 업종에서는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자금 사정이 악화되는 등 부정적 요소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지적이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전월에 비해 기업 심리가 좋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장기 평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해외 무역 여건, 환율 변화, 내수 회복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당분간 체감경기는 뚜렷한 개선보다는 등락을 반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반도체 회복세 지속 여부와 연말 소비 분위기에 따라 연초 CBSI의 방향성을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향후 한국 경제 회복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는 내외수 균형 회복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