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AMA는 ‘시장 회복인가, 신기루인가’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Web3 시장이 맞이한 새로운 단계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뤘다. 패널들은 최근의 급락을 단기적인 감정적 조정으로 보면서도, 장기적인 구조적 회복세는 계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4~2025년의 시장은 RWA(실물자산), AI+DeFi, GameFi, Bitcoin Layer2 등 실수요 기반 섹터를 중심으로 자금이 재편되고 있으며, 과거 사이클과 달리 이번은 건전한 리밸런싱(Healthy Rebalancing) 단계에 해당한다고 평가됐다. 모든 패널이 공통적으로 “건설자들은 시장 상황에 관계없이 계속 만든다”는 점을 강조하며, 현재의 조정이 오히려 시장 체질을 강화하는 구간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참석자들은 서울에서 열린 KBW와 싱가포르의 Token2049를 비교하며, 아시아가 이제 Web3의 내러티브와 자본이 교차하는 이중 중심지로 부상했다고 진단했다. 한국은 여전히 개인 투자자 중심의 활발한 시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싱가포르는 기관 투자자들이 RWA, 스테이블코인, 규제 자산 등을 논의하는 자본 허브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의 초점은 과열된 마케팅에서 실질적인 제품 실행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환이 다음 사이클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패널들은 향후 시장의 새로운 내러티브로 RWA, AI+DeFi, GameFi를 꼽았다. RWA 부문에서는 블랙록과 JP모건 등 전통 금융기관의 참여로 메인스트림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규제 기반 신뢰와 안정성이 핵심 강점으로 부상했다. AI+DeFi 분야에서는 알고리즘 트레이딩, 신용평가, 리스크 관리 등 실제 적용 사례가 확대되고 있고, 인공지능이 DeFi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 중이라고 분석됐다. GameFi 영역에서는 MGG가 “AI 기반 게임 경제와 DeFi 게이미피케이션의 교차점”을 주목하며, ‘Play’가 경제적 가치 창출의 핵심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빌더들의 생존 전략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Sign의 공동창립자 클레어(Claire)는 정부 및 교육기관과 협력해 신분증과 학력 등 Web3 검증형 증명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익 창출형 제품(TokenTable)을 통해 안정적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Aspecta의 제인(Jane)은 다중체인 토큰 관리 및 자동 분배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의미 있는 제품을 만들어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XPIN의 블링(Bling)은 “인내와 갈증을 유지하라”는 발언과 함께 XPIN이 글로벌 eSIM 데이터 네트워크로 확장 중임을 공유했다. 패널들은 단기 시세보다 실질적인 유저 가치를 만드는 팀이 다음 시장 주기를 이끌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번 AMA는 실시간 청취자 6,000명 이상, 누적 조회수 13만 8,000회를 기록하며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Foresight News, ChainCatcher, PANews, Jinse Finance, CoinTime, AMBCrypto, Bitpush, CryptoSlate 등 주요 글로벌 미디어가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이번 세션에는 Eliza(MIMBO Node CMO), Claire(Sign 공동창립자), Bling(XPIN CMO), Jane(Aspecta Head of Growth)이 패널로 참여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Binance, Bybit, KuCoin, Gate.io 등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된 프로젝트 관계자들로 구성됐다.
Eliza는 “시장이 조용할 때 살아남는 제품과 커뮤니티가 진짜다”라며, “이번 회복은 가격이 아닌 신뢰의 회복에서 시작된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투기적 거품이 정리되는 시기야말로 진정한 혁신이 등장할 때이며, 다음 사이클의 승자는 ‘겨울에도 만들던 팀’, 즉 꾸준히 신뢰를 쌓아온 빌더들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AMA를 통해 Binance, Bybit, KuCoin, Gate.io 등 주요 거래소 상장 프로젝트 간 글로벌 협업 네트워크가 형성됐다. 다양한 팀 간 자연스러운 네트워킹이 이뤄지며 공동 AMA, 런칭 캠페인, 파트너십 이벤트 등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열렸다. 또한 유저들이 단순 청취자에 머무르지 않고 온체인 참여자, 노드 유저, Web3 게이머로서 상호 교류하는 장이 되면서 커뮤니티의 신뢰와 연결성이 한층 강화됐다.
MIMBO Node는 이번 Space가 단순한 토론을 넘어 Web3 생태계 간 실질 협업의 출발점이자, 다음 시장 흐름을 조망할 글로벌 네트워킹 허브로 기능했다고 평가했다. AMA는 글로벌 프로젝트 협업 네트워크 확장, 아시아 중심 허브의 부상, 높은 참여율과 브랜드 노출 성과를 동시에 달성했으며, AI+DeFi·RWA·GameFi·BTC Layer2 등 차세대 핵심 내러티브를 시장에 확립하는 계기가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