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ys
  • Hours
  • Mins
  • Secs

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스테이킹 위클리] 신규 예치 50% 급감…한 주간 순유출 41만 ETH

프로필
정민석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지난주 이더리움 스테이킹 신규 예치 규모가 1923ETH로, 전주 대비 50% 이상 급감하며 위축세를 보였다. 반면 출금은 지속적으로 이어지며 한 주간 총 –41만1959ETH의 순유출이 발생해 시장 불안 심리를 자극했다.

 [스테이킹 위클리] 신규 예치 50% 급감…한 주간 순유출 41만 ETH

이더리움은 2022년 9월 지분증명(PoS)으로 전환되며 32 ETH를 예치해 검증자가 되고 보상을 받는 스테이킹 구조를 도입했다. 2023년 4월 샤펠라 업그레이드를 통해 출금 기능이 활성화됐다. 리도·로켓풀 등 유동성 스테이킹의 등장으로 소액 참여가 가능해졌고, 예치 자산의 유동화와 디파이 활용까지 실용성도 확대되고 있다. 스테이킹 흐름은 이더리움의 보안과 가치 창출 구조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예치량·출금 추이 ▲검증자 수 ▲보상률 등을 함께 살펴본다. [편집자주]


듄애널리틱스(@hildobby)에 따르면 9월 8일 기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예치된 스테이킹 총량은 3607만6250 ETH로, 전체 이더리움 유통량의 약 29%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 한 주 동안 1923ETH가 신규 예치됐다. 이는 전주(3897ETH) 대비 약 50.66% 감소한 수치다.

지난 9월 6일 신규 예치(678ETH)가 주간 예치의 35.3%를 차지했다. 9월 5일과 7일에는 신규 예치가 각각 30ETH, 72ETH로 극도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보상 출금은 1만8352ETH로 전주(1만7879ETH) 대비 약 2.65% 증가했으며 원금 출금은 39만5530ETH로 전주(40만1062ETH) 대비 약 1.38% 감소했다.

특히 지난 9월 3일에 11만5102ETH의 대규모 출금이 발생하고 4일, 6일, 7일에도 각각 5만7568ETH, 4만1014ETH, 4만9792ETH의 지속적인 출금이 이어져 주간 총 출금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신규 예치가 감소하고 원금 출금이 지속되어 1주간의 전체 순변동은 -41만1959ETH로 집계됐다.

출금 기능을 구현한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현재까지 스테이킹 순유입량은 1469만3389 ETH, 보상분을 제외한 순유입량은 1791만36 ETH로 집계되고 있다.

밸리데이터큐에 따르면 9월 8일 기준 이더리움 스테이킹 연 수익률(APR)은 2.85%를 기록했다. 직전 4일 동안은 ▲4일 2.90% ▲5일 2.89% ▲6일 2.89% ▲7일 2.90%로 비슷한 흐름을 보였으나 이날 소폭 하락하며 안정적이던 구간에서 약간의 조정을 나타냈다.

스테이커 현황

현재 활성 검증자 수는 106만598명 수준이다. 전주 대비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스테이킹을 새로 시작하려는 입장 대기열(Entry Queue)에는 81만3292ETH가 대기 중이며 예상 대기 시간은 약 14일 3시간이다.

스테이킹을 해제하려는 퇴장 대기열(Exit Queue)에는 65만534ETH가 대기 중이며 예상 대기 시간은 약 11일 7시간이다. 퇴장 후 실제 출금 주소로 자금이 이동되기까지 걸리는 스윕 지연(Sweep Delay)은 평균 9.2일이다.

스테이킹 유형별 점유율 / 듄애널리틱스(@hildobby)

이더리움 스테이킹 참여 형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리퀴드 스테이킹으로, 전체의 27.7%를 차지하고 있다. 중앙화 거래소(CEX)를 통한 스테이킹은 25.0%로 뒤를 이었다. 스테이킹풀은 20.7%, 미확인 검증자는 18.9%, 리퀴드 리스테이킹은 7.2%의 비중을 기록했다.

단일 스테이커 순위를 보면 ▲리도(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가 약 866만7773ETH를 예치하며 23.9%의 최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어 ▲바이낸스가 약 311만1328ETH(8.6%) ▲코인베이스가 244만7715ETH(6.8%)로 각각 2, 3위를 기록 중이다.

▲이더파이(유동성 리스테이킹 프로토콜)는 222만4761ETH(6.1%) ▲킬른(스테이킹 풀)은 163만2001ETH(4.5%) ▲피그먼트(스테이킹 풀)는 156만7616ETH(4.3%)로 뒤를 이었다.

최근 1개월 기준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상위 스테이커는 ▲블록대몬(+15%) ▲킬른(+6%)이다. 반면 ▲이더파이(–5%)와 ▲피그먼트(–3%)는 월간 기준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1개월 기준 이더리움 스테이킹 순유입 상위 주체로는 ▲블록데몬이 9만4912ETH를 유치하며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이어 ▲ 킬른이 8만9210ETH ▲바이낸스가 7만8496ETH, ▲코인베이스가 6만4672ETH를 각각 순유입했다.

반면, 순유출 상위 주체는 ▲리도(–20만6880ETH) ▲P2P.org(–12만3808ETH) ▲이더파이(–12만0992ETH) ▲맨틀(–7만8144ETH) ▲업비트(–5만6288ETH) ▲스테이크와이즈(–5만1904ETH) 순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낙뢰도

19:02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