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Ep.161] 암호화폐 붕괴의 날: 트럼프 관세, 레버리지의 덫, 그리고 시장의 교훈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4

트럼프의 ‘100% 관세 폭탄’ 발표가 암호화폐 시장의 과도한 레버리지 구조를 폭로하며 단 하루 만에 260조 원 규모의 강제 청산을 불러온, 시장의 취약성과 교훈을 드러낸 블랙스완 사태.

 [팟캐스트 Ep.161] 암호화폐 붕괴의 날: 트럼프 관세, 레버리지의 덫, 그리고 시장의 교훈

00:00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디지털 자산의 미래를 전하는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 저희가 좀 깊이 들여다볼 자료는요. 토큰 포스트의 사설입니다. 블랙스완 트럼프, 관세 폭탄과 레버리지의 어두운 그림자.
이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발표가 암호화폐 시장을 정말 뒤흔들었는데, 그 파장의 핵심과 그 안에 숨겨진 의미가 뭔지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복잡해 보일 수 있는 사건이지만, 청취자분께 꼭 필요한 정보만 뽑아서 명쾌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시작은 그거였죠.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언.

00:37 진행자
네, 맞아요.

00:39 토큰포스트
중국산 수입품 전체에 100%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수출까지 통제하겠다. 이렇게 예고를 한 건데요. 이게 어떻게 암호화폐 시장에는 예상치 못한 충격, 소위 블랙스완 사건으로 번졌는지—이 지점부터 풀어가 보죠.

00:55 진행자
네.

00:56 토큰포스트
이걸 블랙스완이라고 부르는 건, 예측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일단 터지면 엄청난 파급력을 갖는 그런 사건을 의미하죠.

01:05 진행자
그 파급력이 정말 어마어마했습니다. 코인글래스 데이터를 보면 충격 규모가 실감이 나는데요. 발표 직후 단 24시간 만에 160만 명이 넘는 투자자들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포지션을 강제 청산당했습니다.

01:21 토큰포스트
160만 명이요? 와.

01:23 진행자
네, 이때 사라진 레버리지 포지션 규모가 무려 1,9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260조 원 정도 됩니다.

01:30 토큰포스트
260조 원이라니.

01:32 진행자
암호화폐 역사상 단일 사건으로는 최대 규모의 청산 기록이에요. 정말 엄청난 거죠.

01:38 토큰포스트
260조 원이라니, 상상하기 힘든 규모네요. 특히 바로 전날 비트코인 가격이 12만 5천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뉴스가 나왔잖아요.

01:47 진행자
맞아요. 분위기 좋았죠.

01:50 토큰포스트
그래서 더 충격이 컸을 것 같습니다. 불과 몇 시간 만에 10만 2천 달러까지, 12% 이상 급락했으니까요.

01:58 진행자
그렇습니다.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죠. 비트코인뿐 아니라 이더리움을 포함한 대부분의 알트코인들도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시장 전체 가치가 하루 만에 9% 넘게 증발했는데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나 FTX 파산 때보다도 더 큰 단기 충격이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02:27 토큰포스트
여기서 흥미로운 부분은 청산당한 포지션 대부분이 상승에 베팅했던 롱 포지션이었다는 거예요.

02:35 진행자
맞습니다. 자료를 보면 전체 청산액 중 롱 포지션 비중이 16억 달러, 숏 포지션은 2.4억 달러로 훨씬 적었습니다. 왜 이렇게 롱 포지션 피해가 집중됐을까요?

02:52 토큰포스트
그만큼 시장 참여자들이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아주 컸다는 증거죠. 많은 투자자들이 “더 오른다”는 기대감으로 레버리지를 적극 활용해 롱 포지션을 잡았던 겁니다.

03:04 진행자
아하.

03:06 토큰포스트
그런데 예상치 못한 변수—트럼프의 관세 발표—가 터지면서 속수무책으로 당한 거죠. 특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롱 포지션 청산 규모가 제일 컸습니다.

03:16 진행자
그렇군요. 게다가 우리가 보는 청산 규모가 실제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런 지적도 있습니다.

03:24 토큰포스트
더 클 수도 있다고요?

03:25 진행자
네. 예를 들어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는 청산 데이터를 1초에 한 번씩만 보고합니다.

03:33 토큰포스트
1초에 한 번이요.

03:34 진행자
그 사이에 발생하는 수많은 소액 청산들이 누락될 수 있다는 거죠. 멀티코인 캐피털의 헤드 트레이더는 실제 총 청산 규모가 300억 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이번 사태로 시장에 숨어 있던 ‘상대방 리스크’—즉 거래 상대가 계약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가 드러났다고 경고했어요.

04:03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결국 트럼프 발표는 방아쇠 역할을 한 거고, 이렇게 파괴적 연쇄 청산이 일어난 데엔 더 근본적인 이유가 있었다는 말씀이네요.

04:15 진행자
맞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3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위당당

17:09

등급

garam777

16:27

등급

Slowpoke82

15:19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위당당

2025.10.11 17:09:0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garam777

2025.10.11 16:27:2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