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일부 지방정부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어린이들을 자국으로 데려와 보호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연방정부는 현실성과 안전 문제를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하노버, 본, 뒤셀도르프, 라이프치히, 킬, 프라이부르크 등 6개 도시의 지방 당국은 최근 독일 연방정부에 공식 요청을 보내, 가자지구에서 전쟁으로 인해 다치거나 영양 부족에 시달리는 어린이들을 독일 내 위탁 가정이나 사회복지시설에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 이들은 외무부, 내무부 등 관계 부처에 협조를 요청하며 입국 절차 간소화 및 재정 지원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독일 연방정부는 이번 지방정부 제안에 대해 사실상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제라프 귈러 외무부 정무차관은 지역신문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제안은 실질적인 도움보다는 지역 정치적 목적에 가깝다”고 언급하며, "아이들을 먼 거리까지 이송하는 것보다는 현지에서 즉각적인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입장은 독일 정부가 국제 인도주의 지원은 지속하되, 실질적인 관리 가능성과 안보를 더 중시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독일 정부는 어린이의 입국 과정에서 성인 보호자가 동반하게 되면, 해당 성인 중 일부가 무장조직 하마스 등 위험 인물일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독일 내무부는 이에 대해 "국내 치안과 안보에 대한 우려는 간과될 수 없다"고 밝혔으며, 더 많은 의료 지원을 가자지구 현지 또는 주변 국가에서 제공하는 방안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달리, 최근 스페인과 프랑스, 노르웨이 등 유럽 국가들은 소규모 규모지만 가자지구 어린이들을 자국으로 수용해 치료하고 있다. 이에 비해 독일은 인도적 원조는 가자지구나 인근 안전한 국가에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또 일부 정치권에서는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등 중동 국가들이 먼저 적극적인 구호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독일 내 논쟁은 인도주의와 안보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는 정책적 고민을 반영하며, 향후 가자지구의 인도적 위기 대응 전략에서 유럽 내 각국의 입장 차이를 뚜렷하게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독일에서는 지역 선거를 앞두고 공공의 관심을 끌기 위한 지방정부의 인도적 제안이 향후 정치적 공방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