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ys
  • Hours
  • Mins
  • Secs

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조달청, AI 등 혁신제품 67개 지정… 중소기업 판로 '확' 넓힌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조달청이 AI 등 신기술을 포함한 혁신제품 67개를 지정하며 중소·벤처기업의 공공시장 진입을 확대했다. 2028년까지 공공 구매 예산도 2조 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조달청, AI 등 혁신제품 67개 지정… 중소기업 판로 '확' 넓힌다 / 연합뉴스

조달청, AI 등 혁신제품 67개 지정… 중소기업 판로 '확' 넓힌다 / 연합뉴스

조달청이 인공지능(AI) 등 미래 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혁신제품 67개를 새롭게 지정하면서,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공공시장 진입 문을 대폭 넓혔다. 이들 제품은 최대 6년간 수의계약이 가능하고, 우선구매 대상이 되기 때문에 시장 진입 초기 단계에서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4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열린 ‘혁신제품 지정서 수여식’에서는 공공성과 기술 혁신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제품들이 선정됐다. 이번에 지정된 제품들은 모두 조달청의 엄격한 심사 과정을 통과한 것으로, AI 기반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재난 대응 차량, 지능형 산사태 감지 시스템 등 생활 안전과 산업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들이 다수를 차지했다.

혁신조달 제도는 정부가 불확실성을 감내하면서도 신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시장 진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취지로 운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공조달 시장은 납품 실적과 검증된 기술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신생 기술 기업에게는 큰 벽이 돼 왔다. 하지만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수의계약이 가능해져 보다 빠르게 공공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백승보 조달청장은 이번 지정서 수여식에서 “AI, 바이오헬스, 기후기술(기후테크)과 같은 미래 성장 산업의 기술력이 제도적 걸림돌 없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공공구매 예산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1조 원 규모인 혁신제품 공공구매 비중을 2028년까지 2조 원으로 늘릴 계획도 공개했다.

이 같은 조치는 단기적으로는 중소기업의 기술 상용화를 촉진하고, 장기적으로는 국내 기술 생태계의 자립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정부의 구매력을 활용한 판로 개척은 벤처기업이 기술 개발 이후 겪는 '죽음의 계곡(상용화 전 자금난)'을 넘는 데 실질적 돌파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앞으로 조달청의 혁신조달 정책 방향에 따라, 국내 신기술 기업들의 성장 속도와 산업 지형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