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코인베이스(Coinbase) 정책자문 변호사였던 쿠람 다라가 2026년 뉴욕주 검찰총장 선거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는 지난 5월 말 자신의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특히 ‘암호화폐 및 핀테크 분야에서의 법률 및 정책 경험’을 주요 경력으로 내세웠다.
다라는 이전부터 현직 검찰총장인 레티샤 제임스의 암호화폐 규제 방식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왔다. 그는 지난해 8월부터 출마 가능성을 암시하며, “제임스 검찰총장은 뉴욕 내 암호화폐 사업을 부당하게 단속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코인베이스 퇴사 이후 그는 투자사 베인캐피털의 디지털 자산 전문 부문인 ‘베인캐피털 크립토’에서 근무하며 암호화폐 분야 경력을 이어갔다. 그는 이같은 업계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을 억압하는 규제가 아닌, 기술의 잠재력을 살리는 규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현직 레티샤 제임스는 2019년부터 뉴욕주 검찰총장을 맡고 있으며, 그간 제네시스, 쿠코인 등 여러 암호화폐 기업을 상대로 법적 조치를 취하며 업계의 반발을 불러온 인물이다. 그녀의 강도 높은 사법 활동은 일부 투자자들에게 ‘소비자 보호’로 여겨지는 한편,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과도한 규제’로 평가받는다.
다라의 출마는 미국 내 암호화폐 규제 구조와 정치 담론에 한 축을 더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특히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정치세력이 조금씩 늘어나는 가운데, 해당 분야 실무 경력을 내세운 후보가 뉴욕이라는 규제 중심지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암호화폐 업계에서 직접 일한 인물이 주요 공직에 도전하면서, 미국 내 규제 지형에도 변화의 가능성이 생겼다. 특히 뉴욕주는 전국에서 가장 엄격한 암호화폐 규제를 시행 중인 지역으로, 변화의 진앙지가 될 수 있다.
💡 전략 포인트
- 다라의 출마는 정책 중심 이슈가 정치 무대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뉴욕주 내 규제 완화 기대감이 일부 기업의 회귀 또는 신규 진출로 이어질 수 있다.
📘 용어정리
- 뉴욕주 검찰총장: 미국 주정부 차원의 최고 법무 책임자. 법률 집행, 소비자 보호, 금융규제 등을 담당한다.
- 코인베이스(Coinbase):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로,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이다.
- 핀테크(Fintech):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IT 기술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 산업을 뜻한다.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