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통신망을 악용해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핵심 용의자 2명을 검찰에 송치할 예정인 가운데, 전체 범죄 구조와 배후 조직을 밝히기까지는 갈 길이 먼 상황이다. 현재까지 드러난 정황에 따르면 이 사건은 단순한 개인의 범행이 아니라, 국제적인 해킹 조직이 연루된 복잡한 구조일 가능성이 크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불법 기지국 장비인 펨토셀을 차량에 탑재해 이동하면서 범행을 저지른 혐의로 중국 국적의 중국동포 A씨(48)를 구속 상태에서 검찰에 넘길 계획이다. A씨는 중국 내에 있는 상선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며 자신은 단순히 '운전사' 역할만 수행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함께 송치될 예정인 B씨(44)는 온라인 메신저 텔레그램에 올라온 아르바이트 광고를 통해 가담했고, 범죄 수익을 현금화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범행의 구체적인 구조나 배후 조직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건에서 경찰이 가장 주목하는 장비는 펨토셀이다. 이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형 기지국이지만, 범죄조직은 이를 불법 개조해 인근 사용자들의 통신 정보를 가로채고 소액결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단속 과정에서 펨토셀 장비를 확보했으나 핵심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이는 노트북과 대포폰은 이미 중국으로 반출된 상태다. 이 장비들에는 범행에 사용된 프로그램과 지시 내역이 담겨 있었을 가능성이 높아, 작동 원리와 범죄 수법을 명확히 밝히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경찰 수사와는 별개로 KT 서버에 대한 침해 정황도 나타나면서 해킹을 통한 개인정보 탈취가 사건과 연결돼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복제폰(실제 사용자 정보를 복사해 만든 불법 휴대전화)을 기반으로 ARS(자동응답시스템) 인증 절차까지 우회해 소액결제를 실행했다는 의심이 제기되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KT 서버 침해 사건에 대한 별도 수사를 진행 중이며, 이와 이번 무단 소액결제 범죄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피해 규모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214명, 피해금액은 약 1억 3천6백만 원으로 집계됐으며, KT 자체 분석에서는 약 362명에 2억 4천만 원에 달하는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서울, 경기 등 다양한 지역에서 피해 사례가 속속 보고되고 있어 경찰은 추가 조직원들이 추가 범행을 저질렀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 사건은 단순히 두 명의 범법자 검거로 끝날 사안이 아니다. 해외에 기반을 둔 정교한 해킹 조직의 은밀한 지시체계와 최신 기술을 동원한 범죄 시도라는 점에서, 국제 공조를 통한 배후 추적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 등 해외와의 협력이 수반돼야 범위가 좁혀질 수밖에 없는 만큼, 수사에는 장기전이 예상된다. 향후 경찰 수사 결과에 따라 국내통신 보안 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재점검 논의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