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개인정보 유출 해킹 사건과 관련해 정부가 조사 결과를 조속히 발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조사를 담당하고 있는 합동조사단의 활동 경과를 설명하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확한 원인 파악이 우선이라는 방침을 강조했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10월 13일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조사 결과가 늦어지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해명했다. 이날 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우영 의원이 SK텔레콤의 경우 27일 만에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KT는 한 달이 넘도록 아무런 입장이 없다고 비판하자, 류 차관은 SK텔레콤의 해킹 사고 조사도 실제로는 총 76일이 소요되었으며 KT 조사단은 지난 9월 9일에야 꾸려졌다고 설명했다.
현재 KT 사건을 조사 중인 정부 합동조사단은 경찰 수사와 병행해 활동 중인데, 수사 과정에서는 예상치 못한 변수들이 발생해 조사 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류 차관은 SK텔레콤 사례와는 달리, KT 해킹 사건에서는 이를 중간에 공개해도 명확한 정보 전달이 어려운 복잡한 요인이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해킹은 악성 코드 기반 공격이 아닌 새로운 유형의 해킹이라는 점에서, 기존 사례와 비교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조사 일정 단축과 정확성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대응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류 차관은 최대한 빠르게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재차 강조했지만, 이는 기술적 분석과 보안 리스크를 모두 점검해야 한다는 과기정통부의 신중한 태도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KT 해킹 사건은 전국적으로 수백만 명의 이용자 정보를 넘어 기업 신뢰와 직결된 사안인 만큼 관련 당국의 철저한 분석과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향후 조사 결과가 공개될 경우, 통신사 보안 기준 강화 등의 후속 조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동통신사의 사이버 보안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이 뒤따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