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상 조직 범죄가 심각한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이와 관련해 아직까지 생사가 확인되지 않은 한국인이 8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외교부는 올해 들어 8월까지 접수된 캄보디아 내 연락두절 및 감금 피해 신고가 330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역시 약 220건의 유사 사례가 보고된 바 있어 동일 범죄 유형의 반복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접수된 감금 또는 연락두절 사례 중 총 470여 건은 구조, 추방, 자력 탈출, 귀국 등 사유로 조사가 마무리되었지만, 여전히 80명 이상은 소재나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대부분의 피해자들은 온라인 취업 광고 또는 SNS를 통해 유인된 뒤 불법 도박장, 보이스피싱 콜센터 등 조직 범죄 현장에 강제로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사건의 심각성이 부각된 배경에는 한국인 대학생 고문·살해 사건이 있다. 지난 8월, 캄폿주 보꼬산 지역에서는 한 20대 한국인 대학생이 끔찍하게 희생되었으며, 이 사건을 수사한 캄보디아 검찰은 최근 30~40대 중국인 3명을 살인 및 사기 혐의로 기소했다. 피해자는 온라인 스캠 범죄조직에 속한 현지 인물들에게 고문을 당하다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고, 현재 현지와 한국 수사당국은 급파된 합동 대응팀을 통해 공조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상황은 단순한 해외 범죄 피해를 넘어선 사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해외 취업 시장의 허점을 노린 국제 범죄조직의 수법이 점점 정교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제도적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캄보디아 현지 정부와의 수사 협력을 확대하고, 제3국 내 취업 관련 사기 예방을 위한 해외안전경보 강화 조치를 추진 중이다.
한편, 외교부는 "캄보디아에서 최근 유사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만큼, 현지 체류 중인 국민들은 온라인 기반의 고수익 알바, 취업 제안을 각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당부하며,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관련 기관과 정보 공유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