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개발 환경이 급속히 진화하는 가운데, 플랫폼형 서비스(PaaS) 시장의 선두주자인 허로쿠(Heroku)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허로쿠는 인공지능(AI)과 자동화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 복잡성을 줄이고, 지속적 통합 및 배포(CI/CD) 관리를 간소화함으로써 개발자들의 창의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세일즈포스(Salesforce) 산하 플랫폼인 허로쿠는 최근 열린 'AppDev Summit' 준비 과정에서 차세대 개발 전략과 비전을 상세히 밝혔다. 베티 주노드(Betty Junod)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실리콘앵글과의 인터뷰에서 “AI가 실제로 기술 전 영역에 빠르게 스며들고 있고, 이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식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녀는 “AI는 수직적·수평적으로 동시에 진화하며 모든 기술 스택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허로쿠는 개발자가 코드 작성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환경 설정에 소요되는 인지적 부하를 획기적으로 감축시켰다. 과거 복잡했던 배포 및 환경 구성 과정을 자동화해, 아이디어를 제품화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있는 것이다. 주노드는 “코드 작성 시간은 개발자의 가장 창의적인 시간인데, 종전에는 그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환경 세팅이나 배포 준비에 써야 했다”며 “지금은 그 부담 대부분을 플랫폼이 맡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기업 규모나 팀 성숙도에 관계없이 고도의 CI/CD 기능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허로쿠는 코드 커밋부터 빌드, 테스트, 프로덕션 배포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며, 개발자가 파이프라인 유지가 아닌 고객 가치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워크플로 전반에 일관성과 거버넌스를 내재화하고 있어 품질 안정성 확보에도 힘을 싣고 있다.
주노드는 인터뷰에서 '플랫폼 경제학(platform economics)' 개념도 소개했다. 이는 기업이 인프라 구축에 리소스를 소모하기보다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활용해 애플리케이션 혁신에 투자함으로써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전략이다. 그녀는 “우리는 수천 개 고객사로부터 도출한 운영 로직을 통해,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만 자원을 자동 조정하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허로쿠는 단순히 개발 속도 향상에 머무르지 않고, 클라우드 운영 관점에서도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을 원하는 조직에 적합하며, 현대적 개발 문화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AI와 자동화, 간결한 설계 원칙을 무기로 내세운 허로쿠의 전략은 단순한 플랫폼 혁신을 넘어, 개발 생태계 전반에 '속도'와 '창의성'이라는 핵심 DNA를 이식하고 있다. 변화하는 앱 개발 시장에서 허로쿠가 제안하는 방향성은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는 데 있어 강력한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