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런, AI 시대 서버리스 혁신의 중심에 서다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구글이 서버리스 확장성과 AI 워크로드 대응을 강화하며 클라우드 런을 핵심 플랫폼으로 부각시켰다. 에이전틱 AI와 와이프 코딩 지원 등 AI 중심 시대에 최적화된 전략을 내세웠다.

 구글 클라우드 런, AI 시대 서버리스 혁신의 중심에 서다 / TokenPost.ai

구글 클라우드 런, AI 시대 서버리스 혁신의 중심에 서다 / TokenPost.ai

구글(GOOGL)이 서버리스 컴퓨팅의 확장성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전략으로 '클라우드 런(Cloud Run)'을 전면에 내세웠다. 구글 클라우드가 최근 주최한 ‘패스포트 투 컨테이너(Passport to Containers)’ 행사에서 구글 클라우드의 서버리스 담당 수석 엔지니어링 디렉터인 벨린다 런클은 클라우드 런이 AI 에이전트 기반 컴퓨팅 시대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클라우드 런은 구글의 글로벌 인프라에서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를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서버리스 환경의 단순함과 온디맨드 방식의 확장성을 결합한 점이 특징이다. 런클은 “클라우드 런은 함수도, 컨테이너도, 소스코드 기반 실행도 모두 지원한다”며 “개발자 입장에선 복잡한 인프라를 손댈 필요 없이 즉시 확장 가능한 서버를 손에 넣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AI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에이전틱 AI(agentic AI)'와의 결합 가능성도 강조됐다. 제품 매니저 리사 셴은 “에이전트에게 코드란 두뇌이고, 도구는 손”이라며 “이러한 AI 에이전트들은 대화형 AI를 넘어 독자적으로 사고하고, 데이터를 활용해 태스크 단위를 스스로 실행할 수 있어 비즈니스 자동화 수준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금융 데이터 분석 에이전트를 구축하면, 이 에이전트는 증권 거래위원회(SEC)의 데이터, 구글 검색 결과, 뉴스 콘텐츠 등을 수집해 분석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클라우드 런의 강점은 이러한 AI 에이전트를 다수 운영할 수 있는 유연성과 민첩성에 있다. 런클은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은 각각의 작업 단위가 병렬적으로 빠르게 생성되고, 완료되면 자동으로 자원이 반환돼 비용과 성능 모두에서 균형을 이룬다”고 설명했다. GPU 연산력을 필요로 하는 추론(inference) 작업까지 감당할 수 있는 서버리스 GPU 옵션도 제공해, 추론 중심의 AI 워크로드에 대한 대응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클라우드 런은 초기에는 함수 기반 플랫폼으로 이해됐지만, 실제 고객 대다수가 가져오는 워크로드는 컨테이너에 가깝다는 점에서 사실상 경량형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에 가깝다. 이는 쿠버네티스(Kubernetes)에 익숙하지 않거나, 복잡한 환경 구성을 원치 않는 기업들에게 특히 매력적으로 작용한다.

리사 셴은 클라우드 런의 차세대 발전 영역으로 '와이프 코딩(Wipe Coding)'을 제시했다. 이는 AI를 활용한 코드 자동 생성 기술로, 비개발자도 자신의 아이디어를 앱으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개념이다. “아이디어를 코드로 바꾸고, 이를 인프라 구성 없이 바로 실행 가능한 앱으로 만드는 과정을 최소화하는 것이 와이프 코딩의 핵심”이라며 “클라우드 런은 빠른 반복 실행과 피드백 루프로 이러한 혁신을 뒷받침하는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서버리스 확장성 논쟁에 종지부를 찍기 위한 구글의 행보는, 기업용 AI 시대를 겨냥한 전략적 포석으로 해석할 수 있다. 클라우드 런이 단순한 개발 도구를 넘어 AI 에이전트 시대의 필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