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 기업 인텔의 지분 인수를 검토하면서, 반도체 산업의 지정학적 긴장이 더욱 고조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쟁사인 삼성전자와 대만의 TSMC와 같은 글로벌 기업에는 불리한 여건이 조성될 뿐 아니라, 대중국 기술 규제 또한 한층 강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NH투자증권은 8월 18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미국 정부의 인텔 지분 추진 움직임을 미국 우선주의(MAGA, Make America Great Again) 경제 전략의 연장선으로 해석했다. 특히 류영호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인텔이 미국 반도체 독립 전략의 핵심축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정부가 경쟁력 회복을 위해 직접 개입하는 정황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 등을 통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1일 인텔 립부 탄 최고경영자와의 면담을 통해 정부 차원의 인텔 지분 인수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는 최근 경영난과 기술력 정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텔을 지원하고, 첨단 반도체 분야에서 자국 기술 주도권을 되찾으려는 시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정부가 확보할 지분의 규모나 구체적 방식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현재 인텔은 차세대 반도체 기술인 18A(1.8나노미터 공정) 개발에 나서 있는 상황이며, 이 기술은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중요한 변곡점으로 지목된다. 그러나 기술 완성도와 상용화 일정 등에서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인텔의 단기 주가에는 긍정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지만, 장기적 경쟁력 확보 여부는 미지수라는 분석도 함께 제기된다.
류 연구원은 이와 함께, 미국 정부가 최근 반도체 외에도 희토류 등 전략 분야에서 자국 기업에 직접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국방부는 희토류 관련 기업 MP 머터리얼즈에 투자했으며, 경영난에 빠진 다른 반도체 업체 울프스피드 역시 백악관 방문이 확인돼, 정부가 일종의 산업구조 재편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될 경우, 미국의 기술 자립 시도가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은 더욱 분절화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중국에 대한 기술 수출 제한이 강화될 경우, 한국과 대만 등 주요 반도체 국가들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앞으로의 정책 방향과 이에 따른 산업지형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