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최신 폴더블 스마트폰을 앞세워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을 크게 끌어올리면서, 애플과의 경쟁 구도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이에 애플도 내년 중 첫 폴더블폰을 시장에 선보일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미 경제매체 CNBC는 8월 17일(현지시간) 보도에서 삼성전자가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배경으로, 다양한 가격대의 스마트폰 라인업과 폴더블폰 기술 주도력을 꼽았다. 시장조사기관 캐널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올해 2분기 기준 31%로, 1년 전(23%)보다 8%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애플의 점유율은 56%에서 49%로 하락하며 양사 간 격차가 좁혀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7월 갤럭시 폴드7과 플립7을 동시에 출시하면서 다시 한 번 폼팩터(제품 형태)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했다. 해당 제품들은 무게와 두께를 크게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내구성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초기에는 화면 접힘 구조로 인해 내구성 문제가 자주 지적됐지만, 이제는 대중의 신뢰가 점차 회복됐다는 분석이다.
애플 역시 이러한 시장 변화를 주시하며 반격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2014년 대화면 스마트폰이 인기를 끌던 당시 애플의 대응 방식과 유사한 전략이 반복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시 애플은 비교적 작은 화면의 아이폰5S에 머물렀지만, 결국 그 해 가을 대형 화면의 아이폰6를 내놓으며 시장 흐름을 따라잡았다. 이번에도 애플은 기술이 충분히 검증된 시점에 진입해 안정적인 제품으로 경쟁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한편, 투자은행 제이피모건의 사믹 채터지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내년 9월에 출시할 아이폰18 시리즈 중 하나로 폴더블 모델을 선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가을 출시 예정인 아이폰17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장의 관심은 이미 2026년 제품까지 넘겨가고 있다는 진단도 덧붙였다. 채터지는 애플이 신기술을 다소 지켜보다가 기술적 안정성이 확인된 뒤 이를 도입하는 전략을 선호해왔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흐름은 고가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이 다시 한번 기술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폴더블폰의 기술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경쟁사의 진입장벽이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향후 애플의 가세로 시장 경쟁은 한층 더 격화될 전망이다. 소비자 선택권이 넓어지는 만큼, 폼팩터의 다양성은 스마트폰 시장 판도에 새로운 변화를 몰고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