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델, AI 기반 에너지 절감 기술로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혁신 나선다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델이 에이전틱 AI와 순환경제 기반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로 친환경 데이터센터 모델을 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냉각 기술과 에너지 최적화 전략을 통해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데 주력 중이다.

 델, AI 기반 에너지 절감 기술로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혁신 나선다 / TokenPost.ai

델, AI 기반 에너지 절감 기술로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혁신 나선다 / TokenPost.ai

데이터센터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기술업계의 노력이 거세지는 가운데,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가 가장 적극적인 기업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델의 기업 커뮤니케이션 수석 부사장인 JJ 데이비스는 최근 열린 '델 테크놀로지스 월드 2025' 행사에서 IT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자사 전략을 소개하며, 폐기물에서 '가치'를 뽑아내는 순환경제 모델이 기업 전반에 통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델은 차세대 서버 설계를 통해 CPU 전력 소모를 줄이고 냉각 효율을 높이는 기술적 혁신을 이어왔다. 여기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관리 소프트웨어까지 도입하며 고객의 전력 비용 절감은 물론 환경 부담도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데이비스는 "새로운 장비를 판매할 때 기존의 오래된 장비를 회수해 다시 활용하는 것이 델의 철학"이라며, 지난 25년간 이런 리사이클링 중심의 순환 시스템을 꾸준히 이어온 점을 강조했다.

냉각 기술에서도 델은 한 걸음 더 앞서 나가고 있다. 올해 5월에는 폐열 회수형 후면 도어 열 교환기와 통합 랙 제어 장치를 도입해 냉각 에너지 소비를 대폭 낮췄다. 특히 액체냉각(Liquid Cooling)을 적용한 '파워쿨(PowerCool)' 시스템은 고성능 서버 운용에 최적화된 환경을 마련한다. 더 나아가, 델은 에이전틱 AI 기반의 스마트 워크로드 스케줄링 기술까지 실험 중이다. 고부하 작업은 에너지가 남는 시간대에, 저부하 작업은 전력 수요가 높은 시간에 처리하도록 분산 배치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러한 혁신의 연장선상에서 델은 최근 '컨셉 아스트로(Concept Astro)' 프로젝트도 가동했다. 이 프로젝트는 디지털 트윈과 에이전틱 AI를 결합해 운영 효율을 개선하고, 소비 에너지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데이비스는 "AI 기반 기술은 단순히 인프라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서, 기후변화 문제부터 농업·의료 분야 등 다양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며 기술이 가진 전방위적 잠재력도 함께 강조했다.

델의 IT 지속가능 전략은 단순한 마케팅을 넘어, 실질적인 기술로 뒷받침되고 있다.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하드웨어 개선, 상황 맞춤형 소프트웨어 스케줄링, 폐기물 재활용이라는 세 가지 축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구축의 현실화를 앞당기고 있는 것이다. 특히 AI 기술과의 결합은 앞으로의 기술 생태계에 있어 친환경 전환이 필수가 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델의 이러한 행보는 단순한 ESG 성과를 넘어, 혁신 기술이 환경 리스크까지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데이터센터 업계가 당면한 지속가능성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현실적인 해법으로 주목받는 이유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