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망 마비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전자정보통신 분야의 전문 연구기관 인력을 긴급 투입했다. 사고 발생 일주일이 지난 현재도 복구율이 20%에 못 미치는 상황에서, 핵심 전문가 투입을 통한 복구 속도 제고가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0월 1일 대전 본원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현장상황실에서 복구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과 하정우 대통령실 인공지능(AI) 미래기획수석이 참석해 장애 원인과 대응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두 인사는 문제의 심각성에 공감하며,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이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을 즉시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정부 산하 과학기술 전문기관이 복구 지원에 나섰다. ETRI는 즉시 전문 인력 4명을 현장에 파견했고, 추가 인력 확보와 교대 근무 체계 도입도 추진 중이다. 이들 기관의 참여는 전산 인프라 복원에 있어 기술적 전문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화재로 전산망 전체가 마비되면서 피해는 물리적 장비까지 확산됐다. 특히 5층 전산실 내부에는 화재로 인한 분진이 광범위하게 퍼졌고, 이로 인해 정밀 장비가 오염되는 2차 피해가 발생했다. 정부는 장비 제조사와 전문 제거업체를 동원해 분진 청소 작업을 빠르게 병행하는 한편, 전국 서버청소업체까지 동원해 기존 예상보다 절반 이른 10월 5일까지 분진 제거를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작업은 장비 분해, 오염 제거, 재조립 순으로 진행된다.
10월 2일 오전 5시 기준, 총 647개 시스템 중 109개 시스템만이 복구된 상태로 전체 복구율은 16.8%에 머물러 있다. 전문가들은 전산망의 물리적 손상 외에도 시스템 간 복잡한 연결 구조와 전력공급 장애가 복구 속도를 늦추고 있다고 분석한다.
정부는 단기적인 복구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에도 나설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산하 ‘AI인프라 거버넌스 혁신 태스크포스(TF)’와 협력해 기반 시설 전반에 대한 진단과 운영구조 개선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런 흐름은 향후 공공전산 인프라의 신뢰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조적 개편의 신호탄이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