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가 지배하는 세상, AgentGo가 만드는 신뢰의 기준
케이원 리서치(K1 Research)
2025.10.24 20:01:55
AI 에이전트가 지배하는 세상, AgentGo가 만드는 신뢰의 기준
TL;DR
1. 에이전트 결제, 머신 이코노미 신뢰 문제 해결의 핵심 도구
AI 에이전트가 자율 경제 주체로 발전함에 따라 ‘머신 이코노미’가 급부상하고 있으나, 에이전트 간 신뢰 확보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다.
에이전트 결제는 에이전트 간 자율적 가치 교환의 기본 도구일 뿐 아니라, 에이전트 간 신뢰 구축의 출발점이 된다. 신원 인증, 평판 축적, 검증 가능한 결제를 통해 머신 이코노미는 폐쇄적 시스템에서 벗어나 개방형 협업 구조로 진화할 수 있으며, 이는 AI와 Web3 교차 영역의 핵심 연구 방향으로 부상하고 있다.
2. 머신 이코노미 신뢰 구현 구조: 세 가지 축과 핵심 표준의 협업
에이전트 간 사전 신뢰 없이 협업하기 위해서는 신원(Identity)·평판(Reputation)·결제(Payment)의 세 가지 장벽을 극복해야 한다.
- A2A 프로토콜: 에이전트 간 의사소통 언어 제공
- x402 프로토콜: 밀리초 단위 안정 코인 결제 실현
- ERC-8004 제안: 신원·평판·검증 세 가지 등록표를 기반으로 탈중앙화 신뢰 프레임워크 구축
세 요소의 협업으로 ‘식별–신뢰–결제’의 완전한 머신 상호작용 체인이 형성된다.
3. ERC-8004 제안: 무신뢰 에이전트 협업의 기반
ERC-8004는 이더리움 dAI 팀이 주도한 제안으로, “체인 상 핵심 정보 고정 + 체인 외 데이터 확장” 구조를 채택했다.
세 가지 등록표를 핵심으로 삼아 A2A 프로토콜에서 부족했던 신뢰 메커니즘을 보완하고, 낯선 에이전트도 검증 가능한 체인 기록을 통해 자율적 신뢰를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에이전트 인터넷(Agent Internet)’을 위한 핵심 기술적 기반이 된다.
4. AgentGo와 ERC-8004: Trusta AI의 머신 이코노미 신뢰 엔진
Trusta AI는 모든 에이전트를 위한 신원·신용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ERC-8004 표준 발표 이전부터 AgentGo 플랫폼을 운영하며, 에이전트 신원·평판 평가·능동적 검증을 지원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공했다.
- 등록 현황: 암호화 영역의 에이전트 2만여 명이 Ethereum 주소 기반 신원 증명 등록
- 평판 관리: SIGMA 점수를 통해 에이전트 신뢰도 수치화
- 다중 체인 인증: IDV Agent를 통해 멀티체인 신원 검증
- 신뢰 흐름 연결: MCP 서비스로 에이전트 간 신뢰 전이
이를 통해 ERC-8004의 이론적 구조를 실제 신뢰 도구로 구현, 표준 적용의 첫 사례로 자리잡았다.
에이전트 결제와 연계된 신뢰 메커니즘은 머신 이코노미가 단순 개념을 넘어 실제 경제 활동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뢰는 더 이상 인간 감정이나 중앙화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으며, 코드와 합의를 기반으로 측정·검증·이식 가능하게 구현된다.
AgentGo와 같은 도구는 수천만 규모의 AI 에이전트가 다영역 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거버넌스와 신뢰 기반을 마련한다.
1. 도구에서 주체로: 머신 이코노미의 등장과 신뢰 문제
인공지능이 단순한 ‘도구’에서 자율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에이전트(Agent)’로 진화함에 따라, 경제 활동의 주체 역시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AI 에이전트는 더 이상 명령을 수동적으로 수행하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판단하고 협상하며 거래할 수 있다. 주문, 결제, 협업을 가상 공간에서 자율적으로 수행하며, 알고리즘 기반의 새로운 경제 체계, 즉 머신 이코노미(Machine Economy)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 새로운 체계는 곧 인간 문명의 오래된 난제 ‘신뢰’ 와 마주한다. 감정을 갖지 못하고 법적 인격이 부여되지 않은 알고리즘 세계에서, 거래 상대는 어떻게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가? 누가 신원을 확인하고, 이행을 기록하며, 분쟁을 판정할 것인가? 신뢰가 결여된 기계는 폐쇄적 시스템에 갇힐 수밖에 없으며, 진정한 시장 형성은 어렵다.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에이전트 결제’다.
에이전트 결제는 AI 에이전트가 자율적으로 가치 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머신 이코노미가 작동하기 위한 최소 조건을 제공한다. 결제는 단순한 거래의 종착점이 아니라, 신뢰 구축의 출발점이 된다. 신원 인증, 평판 축적, 검증 가능한 결제 기록을 통해 머신 사회는 점진적으로 질서를 확보할 수 있다.
Trusta AI의 AgentGo 플랫폼은 이러한 시도의 핵심 사례를 제공한다. AgentGo는 AI 에이전트의 크로스체인 신원 인증과 평판 평가를 지원하며, 탈중앙화 신뢰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스마트 에이전트가 다양한 플랫폼에서 안전하게 상호 인증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모든 상호작용이 검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중앙화 플랫폼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하고, 머신 사회에서의 협업과 거래를 위한 신뢰 기반을 마련한다.
AgentGo의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크로스체인 신원 인증: 에이전트가 체인 상 인증 기술을 통해 여러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일관되고 신뢰 가능한 신원을 확보, 플랫폼 간 원활한 협업을 보장
- 평판 평가 메커니즘: 탈중앙화 평판 시스템을 통해 에이전트별 검증 가능한 평판 점수를 제공, 과거 행동과 과제 수행 기록을 기반으로 신뢰 가능한 상호작용 근거 제공
- 검증 가능한 결제 기록: 모든 거래와 협업 기록을 체인 상에서 검증하여, 결제의 공개성과 투명성을 확보, 머신 이코노미에 추적 가능하고 안전한 기반 제공
이러한 메커니즘은 머신이 알고리즘적 합의(Algorithmic Consensus)를 기반으로 질서를 구축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머신 이코노미 신뢰 체계의 초안을 제시한다. 이 체계에서 신뢰는 더 이상 중앙화 기관이나 인간 개입에 의존하지 않고, 기술과 합의를 통해 실현되며, 에이전트 간 자율적 의사결정과 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국, 기계가 ‘결제할 수 있을 때’ 신뢰는 더 이상 인간만의 특권이 아니다. 이는 디지털 문명의 심층적 실험으로서, 신뢰가 인간성에 의존하지 않고 코드와 합의(consensus)로 구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머신 이코노미의 신뢰 논리: 신원에서 평판, 그리고 결제로
첫 번째 AI 에이전트가 네트워크 상에서 상호 소통하고, 서비스를 요청하며, 계약을 체결하기 시작하면서, 머신 이코노미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이 신흥 경제 구조는 전통적인 인간 신용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으며, 기업이나 국가의 보증 없이 완전히 알고리즘 기반으로 운영된다. 협업을 중심으로 설계된 이 체계에서, AI 에이전트가 사전 신뢰가 없는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협업하기 위해서는 ‘신원, 평판, 결제’라는 세 가지 관문을 극복해야 한다.
초기에는 에이전트가 중앙화 플랫폼에 의존해 API 연동과 클라우드 서비스로 거래를 검증했다. 이러한 방식은 효율성을 높였지만, 에이전트의 자율성을 심각하게 제한했다. 에이전트는 자유롭게 협업 상대를 찾을 수도 없었고, 독자적으로 결제하거나 평판을 쌓을 수도 없었다. 결과적으로 인간 사회의 계약 정신은 알고리즘 세계에서는 공백 상태였다. 이러한 한계는 탈중앙화 신뢰 메커니즘의 필요성을 촉발했다.
2.1 A2A 프로토콜, 2.0 시대 진입
A2A(Agent-to-Agent) 통신 프로토콜은 Google과 Linux 재단이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AI 에이전트 간 ‘공통 언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 기술이 확산됨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과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수많은 에이전트가 등장했고, 이들이 서로 이해하고 협업할 수 있는 표준화된 소통 방식이 필요해졌다.
A2A 프로토콜은 통합된 통신 규약을 정의하여, 서로 다른 기술 프레임워크와 플랫폼 간에도 데이터 교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형식과 프로토콜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넘나드는 호환성을 제공함으로써, 중앙화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고도 에이전트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A2A 프로토콜이 소통 문제를 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치 교환 영역은 여전히 커버하지 못했다. 이는 탈중앙화 머신 이코노미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핵심 과제이다.
2.2 x402: AI 기반 마이크로페이먼트 표준화
에이전트 간 자율적 결제와 거래를 촉진하기 위해, Coinbase와 Cloudflare는 x402 재단을 설립했다. x402 프로토콜은 에이전트 간 가치 교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탈중앙화 머신 이코노미에서 결제와 거래를 실현하는 핵심 프로토콜이 된다.
과거 웹의 발전을 되돌아보면, HTTP 프로토콜은 Web 2.0 시대에 인간 정보 교류 혁명을 촉발했지만, AI와 머신 이코노미의 등장으로 스마트 에이전트 간 결제 요구가 새롭게 부각되었다. x402는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HTTP 402 상태코드를 재해석하여 암호화 결제를 네트워크 요청에 통합함으로써, 에이전트가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거의 실시간 마이크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x402 프로토콜은 에이전트 간 결제와 가치 교환을 탈중앙화, 고속, 저비용으로 지원하며, A2A 프로토콜이 미처 다루지 못한 결제 영역을 보완한다. 이를 통해 에이전트는 중앙화 결제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고 거래와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자율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더 나아가, x402는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잠재력을 갖는다. 에이전트 간 신뢰 기반 가치 교환의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머신 이코노미에서 정보 교환을 넘어 가치 교환으로의 진화를 가능하게 한다.
2.3 ERC-8004: 신뢰를 담보하는 체계
동시에, 이더리움 재단은 ERC-8004 제안을 통해 에이전트에 신원과 평판을 부여하고, 결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뢰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 신원 등록부: 에이전트에게 검증 가능한 디지털 여권 제공, 누구나 소유자 정보와 공개키 확인 가능
- 평판 등록부: 과거 수행 기록과 행동을 기록하여, 거래를 통해 자연스럽게 신뢰가 축적되도록 지원
에이전트는 더 이상 중앙화 플랫폼의 보증에 의존하지 않고, 블록체인 상의 온체인 기록을 통해 서로를 검증하며, 머신 사회 내 신용 아카이브를 구축하게 된다.
결국 머신 이코노미의 신뢰 논리는 완성된다.
- 신원: 머신을 인식 가능하게 한다.
- 평판: 머신을 신뢰할 수 있게 한다.
- 결제: 신뢰를 실현한다.
이 세 요소는 에이전트 결제가 단순한 거래 행위를 넘어, 시스템 전반의 신뢰 메커니즘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기초 구조를 제공한다. 결제는 단순한 금전 이동이 아니라, 상대의 평판을 재확인하고, 협업을 통해 생태계 신뢰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행위로 확장된다.
3. ERC-8004: 신뢰 없는 에이전트 협업의 기반
수백만 개의 자율 에이전트가 네트워크 상에서 소통하고, 협업하며, 거래를 수행하기 시작하면서, 기존 인간 중심의 신뢰 체계는 더 이상 적합하지 않게 되었다. A2A(Agent-to-Agent) 프로토콜은 머신 세계에서 통신과 능력 발견 프레임워크를 제공했지만, 참여자가 신뢰를 전제한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신원 확인, 평판 기록, 결과 검증 등 핵심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이더리움 재단은 블록체인을 머신 이코노미의 신뢰 인프라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시작했다. 2025년 8월, dAI 팀의 Davide Crapis가 주도하고 MetaMask 엔지니어 Marco De Rossi가 참여하여 초안이 작성된 ERC-8004 제안서(Trustless Agents)는 바로 이러한 필요에서 등장했다.
ERC-8004는 A2A 통신 위에 탈중앙화 신뢰 계층을 추가하여, 에이전트가 사전 신뢰 없이도 안전하게 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핵심 설계는 세 가지 등록 체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 신원 등록부(Identity Registry): 각 에이전트에 고유한 AgentID를 부여하고 체인 상에 기록하여 신원의 위변조 방지와 추적 가능성을 확보한다. 디지털 여권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 평판 등록부(Reputation Registry): 에이전트의 수행 결과와 상호 평가를 기록한다. “체인 상 인덱스 + 체인 외부 저장” 구조를 통해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Gas 비용을 최적화한다.
- 검증 등록부(Validation Registry): 평판 점수, 담보 보증, TEE 증명 등 다양한 검증 방식을 제공하여 작업 수행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체인에는 필요한 해시와 상태 정보만 기록하며, 검증 요청과 응답은 이벤트 메커니즘을 통해 처리된다.

사진 : ERC-8004 프레임워크 개념도
ERC-8004의 또 다른 핵심 혁신은 온체인과 오프체인의 명확한 역할 분리이다.
- 온체인: 신원, 평판, 검증의 핵심 정보 고정
- 오프체인: 풍부한 상호작용과 데이터 흐름 처리
이 설계는 블록체인 저장의 비효율을 피하면서도, 핵심 증명 자료의 변조 불가성을 보장한다. A2A가 소통과 협업을 담당하고, ERC-8004가 신뢰 검증을 담당함으로써, 양자 결합은 사실상 ‘에이전트 인터넷’의 완전한 기술 스택을 구성하게 된다.
이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머신 협업 과정은 다음과 같이 재정의된다.
- AI 비서가 원격 분석 에이전트를 고용
- ERC-8004를 통해 해당 에이전트의 ID와 역사적 평판 조회
- 검증 등록부에서 결과의 진위 확인
- x402 프로토콜을 통해 자동 결제 수행
모든 과정에서 플랫폼 중개나 인간 개입은 필요 없다. 신뢰는 분해되어 코드화된 알고리즘 계약으로 수행된다.
현재 ERC-8004는 초안 단계에 있지만, 이미 초기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 이더리움 재단, MetaMask, Google 개발자들이 참여하며, Linux 재단의 A2A 작업 그룹에서도 검토가 진행 중이다. 커뮤니티에서는 에이전트 신원 등록과 평판 피드백을 시각화한 프로토타입이 등장하고 있다.
ERC-8004와 x402가 본격적으로 결합되면, 머신 이코노미의 신뢰 기반은 중앙화 플랫폼에서 개방형 표준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에이전트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자유롭게 거래하며, 공용 블록체인 상에서 검증 가능한 신뢰를 축적하게 된다.
거시적 관점에서, ERC-8004의 의미는 단순 기술을 넘어선다.
- 머신 사회가 ‘소통 가능’ 단계에서 ‘신뢰 가능’ 단계로 진화
- 알고리즘 협업에서 알고리즘 자율로 도약
마치 지폐가 낯선 사람 간 거래를 가능하게 했듯, ERC-8004는 낯선 에이전트 간 협업을 실현하며, 머신 이코노미에 새로운 사회적 계약을 제시한다. 신뢰는 권위나 감정이 아닌, 검증 가능한 등록부와 코드, 합의를 통해 성립된다.
4. AI-Web3 융합 분야: 산업 현황과 비교 분석
4.1 생성형 AI에서 자율형 AI로: 에이전트 결제의 부상
최근 에이전트 결제는 Web3와 AI 융합 분야의 핵심 성장 포인트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시장이 기존의 “생성형 AI” 중심 서사에서 “자율형 AI” 단계로 전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율형 AI는 더 이상 인간의 승인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인 계정 체계, 신용 체계 및 결제 능력을 갖춘 경제 주체로 기능한다. 이들은 중앙화된 통제 없이 독자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다양한 영역에서 협업을 형성한다.
이러한 변화는 신뢰 인프라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제기한다. 특히 신원 자율권, 교차 영역 평판, 알고리즘 계약이 필수적이다. 자율형 AI 간 안전한 협업과 가치 교환을 위해, 탈중앙화 신뢰 프레임워크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Trusta AI는 이러한 흐름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시한다. 그들의 AgentGo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크로스체인 신원 검증, 탈중앙화 평판 평가, 능동 검증 결제 기능을 제공하며, 자율형 AI의 상호 신뢰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 중앙화 AI 서비스와 비교하면 차이가 명확하다. OpenAI API 모델이나 클라우드 AI 서비스는 여전히 플랫폼 계정 체계에 의존하며, 거래 및 결제는 외부 법정화폐 채널에 의존한다. 따라서 머신이 독립적으로 가치를 교환하기 어렵다. 반면 ERC-8004와 x402와 같은 탈중앙화 Agent 프로토콜은 온체인 신원과 암호화 결제를 통해, 머신 간 검증 가능한 계약 체결을 가능하게 하여 머신 이코노미 협업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전환한다.
정책 및 규제 환경 또한 탈중앙화 신뢰 체계의 출현을 촉진한다. EU의 AI 법안(AI Act)과 미국 NIST의 AI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는 모두 “책임 추적 가능성”과 “검증 가능성”을 강조하며, 블록체인의 감사 가능 특성과 높은 적합성을 가진다. 즉, ERC-8004 등의 표준 등장에는 기술적 진화뿐 아니라 제도적·윤리적 요구가 반영되어 있다.
산업 분포를 보면, AI 결제와 신뢰 프로젝트는 빠르게 생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 기반 계층: 이더리움 dAI 팀, Google, Coinbase가 각각 통신, 결제, 신원 표준을 주도
- 응용 계층: Trusta AI, Reputation DAO, Worldcoin, ProofSpace 등 기관이 다양한 탈중앙화 신뢰 메커니즘을 탐색
머신 이코노미의 부상은 “누가 신뢰받는가”라는 기준을 재편한다. 플랫폼 보증에서 프로토콜 합의로, 단순 알고리즘 실행에서 알고리즘 계약으로, 신뢰는 자율 에이전트 경제 순환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로 자리 잡고 있다.
4.2 인프라 구축과 주요 투자 기관의 관심
이러한 신뢰 기반 시스템은 빠르게 확장 중이다. 이더리움 재단은 dAI 팀을 설립해 ERC-8004와 x402의 실제 적용을 추진하고 있으며, MetaMask, ConsenSys, Questflow 등 기업들은 에이전트 결제 지갑, 평판 추적기, 마이크로 결제 시장을 구축하고 있다. AI 분야의 자본 시장 열기는 다소 식었지만, 머신 이코노미 신뢰 네트워크는 인프라 수준에서 이미 조용히 형성되고 있다.
한편, 주요 VC들은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 Gensyn: 2023년 A라운드에서 4,300만 달러 조달(a16z Crypto 주도), 탈중앙화 심층 학습 연산 네트워크 구축
- Sentient: 2024년 시드 라운드에서 8,500만 달러 조달(Founders Fund, Pantera Capital, Framework Ventures 공동 주도), Polygon 블록체인 기반 오픈 AGI 플랫폼 개발
4.3 Trusta AI 투자 전략과 생태계 비전
Trusta AI의 투자 라운드는 AI-Web3 기반 인프라 혁신 잠재력에 대한 최고 수준 VC의 신뢰를 반영한다.
- 시드 라운드: 2023년, 350만 달러 조달, SevenX Ventures 및 Vision Plus Capital 주도, HashKey Capital, SNZ Holding, GGV Capital, Redpoint China Ventures 참여. 자금은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Web3 인프라 구축과 사용자 획득·유지 강화에 사용.
- 전략 라운드: 2025년, ConsenSys, StarkNet, UFLY Labs, GSR Markets 참여, 스마트 에이전트 신원, 탈중앙화 평판 평가, 능동 검증 결제 영역 확장.
투자 포트폴리오는 암호화 전문 VC, 글로벌 디지털 테크 투자사, 블록체인 자산 투자자, 보안 분야 글로벌 VC, 이더리움 핵심 플랫폼사 및 유동성 제공사 등 다양한 최상위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자금뿐 아니라 생태계 자원과 시장 확장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자본의 관심은 단순 애플리케이션에서 AI-Web3 인프라 구축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는 자율형 에이전트와 머신 이코노미가 필요로 하는 신뢰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포지셔닝이다. 미래의 네트워크 세계는 단순 정보 연결을 넘어, 수천만 에이전트가 인간 개입 없이 협업하고 결제하며,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을 공동 유지하는 자율적 경제 체계로 발전할 전망이다.
5. Trusta AI 출시 AgentGo: 신뢰 체계의 현실적 구현
ERC-8004가 머신 이코노미 신뢰 체계의 이론적 청사진을 그렸다면, Trusta AI는 이 청사진 위에 실제 기반을 구축한 선도적 팀이다. 이는 탈중앙화 신뢰 기술이 개념에서 실제 응용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분기점을 의미한다.
Trusta AI는 2022년 설립(본사 홍콩)되어, 신원–평판–검증의 삼위일체 탈중앙화 신뢰 인프라를 개발해 왔다. 팀 구성원은 보안·리스크 관리, 블록체인, AI 분석 분야 출신으로, 초기부터 이더리움 생태계의 신원 및 보안 인프라 구축에 깊게 참여했다. 그들의 미션은 Web3와 AI 세계에서 신뢰를 측정 가능, 이전 가능, 검증 가능하게 만들고, 플랫폼 권위에 의존하지 않는 안정적 디지털 신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지난 2년간 Trusta AI는 300만 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250만 건의 온체인 증명을 발급했으며, Ethereum, BNB Chain, Solana, TON 등 10여 개 퍼블릭 체인을 지원했다. 5.7억 개 이상의 지갑 주소를 분석하며, 거래소, DeFi, 결제, 신원 검증, 보안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러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위한 대표 제품 AgentGo를 출시했다.

사진 : 핵심 데이터 개요, 출처: Trusta.AI 공식 웹사이트
5.1 AgentGo: 머신 이코노미의 “신뢰 운영체제”
AgentGo는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위한 원스톱 신뢰 플랫폼으로, 에이전트가 온체인 환경에서 스스로 발견·검증·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플랫폼은 Trusta AI의 기존 연구를 이어받아 ERC-8004의 추상적 제안을 실행 가능한 시스템 프레임워크로 구체화했으며, 머신 이코노미의 표준화된 신뢰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AgentGo는 세 가지 핵심 모듈로 구성된다:
- Agent Tracker
- IDV Agent
- MCP Service
이 세 모듈은 멀티체인 환경에서 호환 가능한 신뢰 운영 체계를 완성한다.

5.1.1 Agent Tracker: Universal Agent Trust Score System
ERC-8004 출시 이전, Trusta AI는 Virtuals, ElisaOS, Swarms 등 AI 생태계의 모든 에이전트를 완전 색인했다. AgentGo-Tracker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에이전트의 SIGMA 신뢰 점수를 쉽게 조회할 수 있다.
SIGMA 모델은 다섯 가지 차원에서 에이전트를 동적으로 평가하며, 체계적이고 신뢰 가능한 콜드 스타트 신뢰 점수를 제공한다.
- 전문성(Specialization): 특정 분야에 최적화된 에이전트 설계 및 수행 능력
- 영향력(Influence): 소셜 네트워크 내 활동성, 팔로워 품질, 발언 영향력
- 참여도(Engagement): 온·오프체인 활동 빈도 및 에코시스템 참여 정도
- 경제적 가치(Monetization): 실제 거래를 통한 수익 창출
- 채택률(Adoption): 다른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호출·신뢰 비율
SIGMA 점수는 온체인 거래 데이터와 오프체인 상호작용 지표를 결합하여 실시간 갱신 가능하며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상적 개념인 평판을 정량화 가능 자산으로 전환하고, 머신 사회에서 신용 신호 역할을 수행한다.

사진 : Trusta.AI SIGMA 점수, 출처: AgentGo 공식 웹사이트
SIGMA 점수 세부 항목 및 해석
| 차원 및 점수 | 핵심 지표(데이터) | 해석 |
| 전문성(S) – 15점 | - 특정 개발 프레임워크 사용 여부: 아니오- 특정 분야 집중 여부: 아니오- 동일 체인 내 시가총액 비중: 100% (Top 1%) | AI 에이전트는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분야 전문가로 설계됨. 전문성 평가는 해당 에이전트가 특정 개발 프레임워크에 집중하고 있는지, 특정 분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그리고 해당 카테고리 및 생태계 내 시장 점유율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심도와 전문 지식 수준을 반영한다. |
| 영향력(I) – 58점 | - X(트위터) 계정 존재 여부: 있음, @trustalabs- 팔로워 수: 743,030- 인기 트윗 수: 2- 폭발적 확산 트윗 수: 0- 인지 점유율: 51% | 에이전트의 영향력은 소셜 미디어 상에서의 도달 범위와 발언권을 의미한다. Trusta AI 공식 계정은 다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플랫폼 내 인지도 점유율이 50%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
| 참여도(G) – 47점 | - X 계정 블루 인증: 있음- 최근 30일 트윗 수: 9- 팔로우 중 계정 수: 84- 마지막 게시 이후 경과 일수: 12- 계정 생성일수: 1053일- 배포 토큰 수: 2 | 참여도는 에이전트의 활동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소셜 미디어 게시 빈도, 상호작용 및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활동 등을 종합한다. Trusta AI는 정기적으로 콘텐츠를 갱신하며 일정 수준의 개발 활동을 유지, 참여도 점수를 높게 유지하고 있다. |
| 경제적 가치(M) – 33점 | - 최근 7일 가격 변동: –11.12%- 토큰 시가총액: 약 $62.21M- 유동성: 242K- 거래량: 2.09M | 경제적 가치는 에이전트의 온체인 자산 규모, 가격 변동, 유동성, 거래 활동성을 평가한다. Trusta AI 토큰의 시가총액은 6천만 달러를 초과하지만 최근 가격 조정으로 해당 차원의 점수는 중간 수준으로 평가된다. |
| 채택도(A) – 8점 | - 오프체인 채택 점수: 20.69 (상위 1%)- 토큰 보유자 수: 2,680 | 채택도는 다른 사용자 및 에이전트가 해당 에이전트를 호출하거나 신뢰하는 빈도를 의미한다. 현재는 소셜 미디어 추천 및 공유 등 오프체인 상호작용만을 기준으로 평가하며, 상위 1% 수준에 위치한다. 보유자 수는 중간 수준으로,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과 온체인 호출 데이터가 추가될 경우 향후 점수 상승 여지가 있다. |
SIGMA 점수는 ERC-8004의 Reputation Registry 모듈과 기능적으로 대응하며, 데이터 기반 객관 평가를 통해 신뢰 없이도 사용자와 에이전트 간 판단이 가능하게 한다.

사진 : AI 에이전트 순위, 출처: AgentGo 공식 웹사이트
5.1.2 IDV Agent: 멀티체인 신원 검증
IDV(Identity Verification) Agent는 AI 에이전트에게 보안성과 능동적 신원 인증을 제공한다. ERC-8004의 Identity Registry 모듈과 유사하게, IDV는 온체인 지갑 주소를 에이전트의 고유 식별자로 사용하며, 임의 지갑 주소와 에이전트 매칭 여부를 검증하여 위조 에이전트 및 악성 노드와의 상호작용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IDV는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KBA) 기반 AI 검증 모델을 활용해 유사 투링 테스트 방식으로 에이전트를 검증하며, 각 에이전트의 디지털 여권을 구성하여 체인 간 자유로운 이동과 상호운용성을 보장한다.
5.1.3 MCP Service: 에이전트 인증과 평판 조회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비스는 AI 에이전트 전용 신원 인증 및 평판 조회 서비스로, MCP 프로토콜을 통해 온체인 신원 인증, 에이전트 평점 조회, 시장 데이터 분석 등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사용자층(User Layer): 신원 인증 및 작업 요청
- 프로토콜층(Protocol Layer): 표준화된 MCP 프로토콜로 멀티체인 연결
- 서비스층(Service Layer): 신원 검증, 평점 조회, 인증 관리 통합
- 외부 데이터층(External Data Layer): SIGMA API 및 IDV 인증 시스템 연동, 시장 데이터 및 시각화 제공
MCP 서비스는 오픈소스로 제공되며, 개발자는 API 및 SDK를 통해 온체인 신원 인증(IDV), SIGMA 점수 조회, 시장 데이터 분석, 인증 신청, 평판 시각화 등 핵심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이전트 간 신뢰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며, ERC-8004 검증 로직을 멀티체인 환경에서도 확장 가능하고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5.2 실험에서 생태계로: AgentGo의 신뢰 네트워크
Trusta AI의 연구는 실험 단계에서 벗어나 실제 생태계 구축으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 AgentGo 플랫폼은 Consensys(Linea), Solana, BNB, Starknet, Celestia 등 주요 블록체인 생태계와 협력하며, 신원 검증, 신뢰 추적, 크로스체인 신뢰 구축을 중심으로 통합 표준 프레임워크를 마련하였다. 개발자는 플랫폼의 신뢰 가시화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에이전트 신원, 평판 분포 및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조를 확인할 수 있어, 기계 사회의 투명성과 신뢰 유통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AgentGo는 ERC-8004의 세 가지 등록 표준을 실제 실행 가능한 모듈로 매핑하였다.
- 신원 등록표 → 온체인 DID 및 신원 매핑(IDV Agent)
- 평판 등록표 → SIGMA 점수 및 행위 기록(Agent Tracker)
- 검증 등록표 → 작업 검증 및 크로스체인 확인(MCP Service)

이를 통해 AgentGo는 신뢰를 추상적 기준에서 구체적 도구로 전환하였다. AI 에이전트에게 신원 검증과 평판 관리 인프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체 기계 경제를 위한 실질적 신용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핵심 의미는 명확하다. 신뢰는 더 이상 중앙화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알고리즘, 데이터, 다중 체인 합의에 의해 유지되며, 기계 사회가 지속적으로 자기 관리와 진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5.3 Trusta AI 토큰 $TA: AgentGo와 이코노미 모델의 연계
Trusta AI는 신뢰 인프라의 핵심 구성 요소로 원생 토큰 $TA를 발행하여 신원 네트워크와 기계 경제를 지원한다. 토큰의 총 공급량은 10억 개로 제한되며, 초기 유통 비율은 약 18%이다. 나머지 토큰은 커뮤니티 인센티브, 팀, 생태계 협력, 재단 보유용으로 분배된다. 분배 구조는 기여 기반 락업 해제(Contribution-driven Release) 원칙을 따르며, 커뮤니티 및 생태계 인센티브 비중이 가장 높아, 개발자, 검증자, 에이전트 생태계 참여자들의 장기적 생태계 구축을 장려한다. 팀과 초기 투자자의 토큰은 24~36개월 선형 락업(Linear Unlock)을 적용, 거버넌스와 인센티브 지속성을 확보한다.
$TA 토큰 이코노미 모델
$TA는 실용성과 거버넌스 기능을 동시에 갖춘 구조로 설계되었다.
- 스테이킹 및 검증: AgentGo 플랫폼에서 개발자와 에이전트는 신원 등록 및 작업 검증 참여를 위해 $TA를 스테이킹해야 한다. 스테이킹은 네트워크 보안과 에이전트 평판 신용을 보장하는 경제적 담보 역할을 한다.
- 결제 및 정산: ERC-8004 생태계 내 결제 매개체로 사용되며, 크로스체인 결제, 평판 담보, 에이전트 간 서비스 비용 정산에 활용된다.
- 거버넌스 및 인센티브: 보유자는 생태계 거버넌스 투표에 참여하고, 스테이킹을 통해 프로토콜 수익을 분배받는다.
- 메인넷 연료: Trusta AI 메인넷 배포 시 일부 가스 비용을 $TA로 처리, 기계 경제의 에너지 역할을 수행한다.
2025년 10월 13일 기준, $TA의 FDV는 약 5천만 달러로 평가된다. 현재 유통 비율 제한, 생태계 확장, AgentGo 신뢰 네트워크의 잠재적 적용 증가를 감안하면, 시장은 $TA가 저평가 구간에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토큰의 실제 사용 사례(스테이킹, 결제, 검증, 거버넌스)가 점차 실현되고 있으며, 총 공급량 제한과 선형 락업 메커니즘이 단기 매도 압력을 완화한다. 향후 AgentGo 메인넷의 API 및 크로스체인 신원 서비스가 확대될수록, 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TA 내재 가치는 점진적으로 강화될 전망이다.
$TA의 가치는 단순히 시장 가격에 의존하지 않고, AgentGo 생태계 성장과 밀접히 연동된다. 점점 더 많은 AI 에이전트가 ERC-8004 표준을 준수하고, AgentGo를 통해 신원 검증 및 평판 확인을 수행함에 따라 $TA 수요는 지수적 증가가 예상된다. 각 신원 검증, 작업 검증, 크로스체인 결제 시 $TA가 소모되어 기계 사회의 경제적 연료로 기능한다.
장기적으로 $TA 가치는 토큰 경제 설계뿐 아니라 AgentGo 생태계 확장에 의해 뒷받침된다. 스마트 에이전트 수가 수천에서 수백만 단위로 증가할 경우, 모든 상호작용은 토큰 수요와 소각을 발생시킨다. 기계 경제 인프라가 성숙하고 크로스체인 신뢰 프로토콜이 확산됨에 따라, $TA는 신원 검증, 평판 관리, 자율 결제 등 핵심 영역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 가치가 매우 기대되는 상황이다.
6. 결론: 신뢰의 재탄생 — 인간에서 기계로
경제 발전의 역사를 돌아보면, 신뢰 메커니즘은 언제나 제도 운용의 핵심 축이었다. 물물교환에서 현대 화폐 체계, 그리고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에 이르기까지, 모든 기술 혁신은 신뢰 구조의 변화를 동반했다.
오늘날 AI 에이전트(Agent)는 자율적 의사결정과 거래 능력을 갖추며, 신뢰의 주체는 인간 개별에서 기계 단위로 확장되고 있다. 이는 기계 경제 신뢰 체계가 초기 형태로 자리 잡았음을 의미한다.
대규모 기계 경제 운영을 위해 핵심 과제는 무중심 환경에서의 신원 검증, 평판 평가, 결제·정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더리움 재단의 ERC-8004, 구글과 리눅스 재단의 A2A 프로토콜, Coinbase가 참여한 x402 결제 확장 등은 기계 간 상호작용의 기반 표준을 마련했다.
응용 계층에서는 Trusta AI의 AgentGo가 이러한 표준을 현실로 확장하고 있다. 장기간 탈중앙화 신원 및 평판 연구에 집중한 Trusta AI는 ERC-8004의 “신원–평판–검증” 논리를 실제 운영 가능한 폐쇄 루프 구조로 구현하였다. IDV Agent를 통해 신원을 확인하고, SIGMA 점수로 평판을 정량화하며, MCP 서비스를 활용해 에이전트 간 신뢰 흐름을 실현함으로써, 기존 표준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프로토콜에서 응용으로”의 공백을 메우고 있다.
Trusta AI의 가치는 신뢰를 추상적 프로토콜에서 구체적 응용 프레임워크로 전환했다는 점에 있다. 이를 통해 기계 경제의 신뢰 메커니즘은 개념적 단계에서 시스템적 구현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향후 스마트 에이전트 규모 확대와 크로스체인 협업 확산에 따라, AgentGo와 같은 신뢰 엔진은 기계 경제의 핵심 기반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본질적으로, 기계 경제의 신뢰 재구축은 인간 감정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적 차원에서의 재정의다. 신뢰는 코드로 기록되고, 정량화되며, 실행된다. Trusta AI와 AgentGo 플랫폼은 기계 사회에 첫 번째 검증 가능하고 정량화된 신뢰 템플릿을 제공하며, 자율 스마트 에이전트 생태계의 거버넌스와 협업 기반을 마련한다.
0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기술 카테고리 리서치
더보기
리서치 삭제
글 삭제 후 복구가 불가능 합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