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C에서 SIGN으로: 초국가적 시대 거버넌스의 진화

케이원 리서치(K1 Research)
2025.10.15 20:19:48

요약 (TL;DR)
● 역사적 유사성: USDC가 전통적 달러(USD)와 네이티브 암호자산(BTC 등) 사이의 금융적 다리를 구축했다면, SIGN은 주권 기반 거버넌스에서 온체인 거버넌스로, 나아가 초국가적 거버넌스로 이어지는 인증 인프라의 다리를 구축하고 있다. 즉, SIGN은 “거버넌스 레이어의 USDC”라 할 수 있다.
● 희소한 포지셔닝: 수백 개의 체인이 금융 인프라 영역에서 경쟁하고 있는 반면, SIGN은 주권 인증과 거버넌스 인프라라는 전략적 공백을 선점하며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디지털 신원, 재산권, 복지 분배 등 국가의 핵심 기능을 하나의 통합 체계로 포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3단계 혁신 아키텍처: SIGN의 최신 백서 「Sovereign Infrastructure for Global Nations」(글로벌 국가를 위한 주권 인프라)는 데이터 기반(주권 체인) → 신뢰 네트워크(Sign Protocol) → 프로그래머블 실행(TokenTable) 로 이어지는 3단계 구조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주권 국가를 위한 완전한 디지털 인프라 솔루션을 구현한다.
● 명확한 가치 평가 논리: SIGN의 현재 FDV(완전 희석 시가총액)는 10억 달러 미만이지만, 온체인 달러 레일을 구축한 Circle(USDC 발행사)이 그 벤치마크가 된다. 두 프로젝트 모두 구(舊)세계의 핵심 요소(USD / 주권 거버넌스)를 블록체인 위로 “온체인화”했다는 점에서, SIGN은 1,000억 달러 가치 평가 잠재력을 지닌 명확한 로직을 갖는다.
● 궁극적 미래에 대한 대응: SIGN의 프레임워크는 현재의 주권 국가를 지원할 뿐 아니라, 검증 가능한 인증 시스템을 통해 초국가적 문제를 다룰 AGI(범용 인공지능)의 거버넌스 기반까지 제공한다. 이는 향후 인류 사회가 직면할 초국경적 도전과제를 해결할 근간이 될 것이다.
1. 초국가적 전환기(feat.USDC)
주권 국가에서 미래형 네트워크 국가로의 전환은 매우 장기적인 과정이다. 국가라는 패러다임이 등장한 이래, 수천 년에 걸친 통합과 진화를 통해 오늘날의 주권 국가 중심의 세계 질서가 형성되었다. 21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초국가적 존재’(Supranational Entity)라는 개념은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20세기 말,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전자 프런티어 재단)의 창립자 존 페리 발로(John Perry Barlow)가 「사이버 공간 독립선언문(A 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Cyberspace)」을 발표하면서 사람들은 처음으로 “사이버 공간이 일종의 초국가적 존재가 될 수 있다”는 상상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규제와 인터넷 세계의 법제화가 진행되면서, Web2 시대의 사이버 공간은 진정한 독립체가 되지 못하고 주권 국가들의 질서 속에 편입되었다. 국가 간의 정보 고속도로로서 연결은 가능했지만, 거버넌스 기능을 대체하거나 초월하지는 못한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블록체인 기술과 비트코인(BTC)의 등장은 탈중앙화된 서버를 통한 독립적 사이버 공간의 가능성을 열었다. 사토시 나카모토는 중앙화 통화의 무한 발행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전 세계적 통화 시스템이라는 미래상을 제시했다.
어느 국가도 이 시스템의 서버를 완전히 종료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BTC는 ‘초국가적 통화(supranational currency)’라는 개념을 현실로 끌어올린 셈이다. 이 혁신은 전 세계의 젊은 천재들을 끌어들이며, 그들의 이름이 모여 탈중앙화의 역사서를 써 내려가고 있다. 역사적으로 제도적 패러다임의 변화는 언제나 긴 시간을 필요로 했다. 때로는 폭력과 피의 혁명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예컨대 프랑스는 봉건제에서 근대 공화국으로 발전하기까지 거의 1,000년에 걸친 변혁을 겪었다.
18세기 혁명기를 전후로 공화정·제정·입헌군주제 사이를 오가며 81년간 최소 12차례의 체제 전환을 경험했다. 이러한 반복은 개혁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동시에, 역사의 흐름은 개인의 힘으로 막을 수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오늘날에도 일부 봉건 국가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은, 개혁이 얼마나 복잡하고 장기적인 과정인지를 잘 보여준다. 비트코인이 주도하는 달러 중심 통화 시스템의 대체 혁명 또한 마찬가지다. 이 과정은 수십 년에서 수세기에 걸쳐, 다양한 이해관계의 투쟁·반복·경쟁이 얽힌 장기적 전환이 될 것이다. 그 과정에서 등장한 과도기적 산물이 바로 USDC다.
USDC는 규제를 받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으로, 1:1 비율로 달러에 고정되지만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원장 위에서 유통된다. 이중적 속성 덕분에 구세계와 신세계를 연결하는 완벽한 전환형 상품이 되었다. 즉, 사람들은 USD → 온체인 USD(USDC) → 온체인 네이티브 화폐(BTC 등)로의 전환을 점진적으로 경험하게 되며, 혁명적 변화는 부드럽게 진행된다. USDC의 모회사 Circle은 미국 증시에 상장하며 수십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고, Tether(USDT) 또한 최근 5,000억 달러 가치로 자금 조달 중인 것으로 알려지며 점차 회색지대에서 규제권으로 진입하고 있다.
이것은 디지털 시대의 인권 혁명이다. 주권 국가조차 USDC와 같은 초국가적 금융 제품의 존재를 수용해야 했다. 트럼프 가문의 WLFI 또한 USD1이라는 유사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했다. 이는 서로 다른 속성의 융합이 더 높은 차원에서 내적 자기 일관성(Self-Consistency)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질문하게 된다.
“금융 인프라를 넘어, 초국가적 시대에 또 무엇이 본질적으로 필요한가?”
그 답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인증(certificate)과 거버넌스(governance)’는 피할 수 없는 주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세계에서 “나”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그것은 모든 온체인 행동의 총합, 혹은 AI와의 반복적 상호작용을 통해 역으로 훈련된 모델일 수도 있다.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USDC에서 영감을 얻은 하나의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다. 즉, 기존 주권 국가와 통합된 온체인 인증 및 거버넌스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주권 기반 인증과 거버넌스,온체인 주권 인증과 거버넌스, 그리고 온체인 네이티브/초국가적 인증과 거버넌스 (아직 그 개념은 완전히 정의되지 않았지만) 으로 진화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역사의 다음 방향이다.
(그림: 발전 구조도, 출처: K1 Research)
주권과 블록체인의 결합은 금융 차원에만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인증과 거버넌스의 차원까지 확장된다. 금융 인프라 트랙에는 이미 수백 개의 블록체인이 경쟁하고 있지만, 주권 인증과 거버넌스 인프라 트랙에서는 오직 SIGN만이 실질적인 진전을 보이고 있다. 인증과 거버넌스의 기반에는 신용, 복지, 자격 인증, 재산권 증명 등 국가 주권과 직결된 수많은 영역이 존재한다.SIGN은 이러한 모든 요소를 하나의 통합 프레임워크 안에 담으려는 프로젝트이다.
2. SIGN의 혁신 프레임워크로 보는 전환의 길
Sign Foundation은 KBW(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기간 동안 「Sovereign Infrastructure for Global Nations(S.I.G.N.)」이라는 새로운 백서를 공개했다.
이는 주권 국가를 위한 온체인 인프라스트럭처를 다룬 최초의 백서로 평가되며, 하단에 이중 체인 구조(Dual-Chain Architecture)를 구축하고, 그 위에 온체인 신원 체계(On-chain Identity)를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 국가 단위의 복지 및 이익 분배를 효율화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는 과거의 어떤 사회 실험과도 다른, 실제 주권 국가와의 협력을 통한 디지털 거버넌스 전환 시도로, 공허한 개념이 아닌 현실적 실행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현재의 전환기(Transitional Era)에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해답이 될 가능성이 높다.
SIGN의 3단계 국가 인프라 구조
SIGN의 국가 인프라 구조는 크게 세 가지 계층으로 구성된다.
1. 주권 블록체인 레이어 (Sovereign Blockchain Layer)
2. 온체인 인증 시스템 – Sign Protocol
3. 디지털 자산 엔진 – TokenTable
아래에서 각각을 간단히 살펴보자.
2.1 주권 블록체인 레이어의 설계 철학
주권 블록체인 레이어는 기존 블록체인과 달리 정부의 특수한 요구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완전히 탈규제된 퍼블릭 체인과는 달리, 정부용 체인(Government Chain)은 자국의 주권(Sovereignty)을 유지하면서도 분산원장기술(DLT)이 지닌 장점을 살려야 한다.
이 논리는 USDC와 유사하다. USDC는 Swift 시스템보다 우수한 글로벌 결제 및 청산 효율성을 갖추었지만, 동시에 미국 달러의 패권 체제 안에서 운영된다. 마찬가지로, 정부가 활용할 블록체인 인프라는 자국의 통제권을 유지하면서도 DLT의 투명성·보안성·효율성을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규제 요건의 차이에 따라, 두 가지 기술 경로가 제시된다.
① 레이어 1 위에 구축된 커스터마이즈형 레이어 2 체인
이 방식은 이더리움과 같은 성숙한 레이어1 네트워크 위에 국가 단위의 커스터마이즈형 레이어 2 체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제공된다.
● 레이어 1의 보안성과 글로벌 유동성을 그대로 상속
● 동시에 체인 파라미터를 국가별 정책에 맞게 조정 가능
● 국가 디지털 자산, 등록 시스템, 공공 서비스의 기초 인프라로 활용 가능
특히 거시적 통제권을 필요로 하는 주권 국가의 특성상,정부는 주소 단위의 정보 접근 및 통제 권한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기술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 Access Control: 주소 기반 화이트리스트·블랙리스트 적용으로 규제 요건 충족
● 체인 수준의 KYC 강제화: 모든 지갑 주소에 대해 신원 인증을 요구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범죄자금 관련 트랜잭션을 경찰이 추적할 때, 해당 지갑 주소의 KYC 정보를 즉시 식별하고 기존 국가 데이터베이스에서 피의자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물론 범죄자들이 이 체인을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범죄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주권형 레이어 2 체인이 구축되면, 정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 국채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 국유 자산의 토큰화(RWA)
● 국가 결제 시스템 및 디지털 등록 시스템
(그림: Layer 2 기반 주권 체인의 기술 구조 / 출처: Sign Whitepaper)
② 프라이버시 중심의 허가형(Permissioned) 인프라
하지만 레이어 2 체인만으로는 보장할 수 없는 개인정보 보호 요구사항이 존재한다. 이에 SIGN은 Hyperledger Fabric 기술 스택을 도입해 프라이버시 민감형 금융 운영에 특화된 주권 허가형 인프라를 설계했다. 이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채널 아키텍처(channel architecture)를 통해 각기 다른 운영 간 데이터 격리 및 비밀성을 보장한다.(자세한 기술 구조는 Sign 백서 내 프라이버시 체인 파트를 참고) 과거에도 정부 차원의 블록체인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은 확장성과 실제 도입의 한계로 인해 정착하지 못했다.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것이 국가 차원의 첫 실험이었다면, 가까운 미래에는 ‘정부 블록체인을 국가의 기본 원장(ledger)’으로 채택하는 사례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 분야에서 SIGN은 가장 선도적인 프로젝트 중 하나로, 현재 전 세계 여러 국가들과 공동 논의 및 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투자사인 YZi Labs가 이 과정을 지원하고 있으며, CZ(전 바이낸스 CEO) 또한 직접 SIGN이 여러 국가 정부와 소통하도록 돕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림: CZ의 트윗 / 출처: X)
2.2 온체인 인증 시스템: Sign Protocol
국가 주권과 온체인 거버넌스가 융합되는 시대에는 ‘인증(Certification)’이라는 기본 기능이 모든 곳에 존재하게 된다. 신원, 자격, 재산권, 규제 기록, 국경 통제 등 모든 영역이 신뢰 가능한 인증 프로토콜을 필요로 한다.
이때 Sign의 인증 프로토콜(Sign Protocol) 은 주권 체인(Sovereign Chain)과 매끄럽게 통합되어, 기존의 검증 시스템과 블록체인 기능을 연결함으로써 정부 행정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 세트로 작용한다.
▣ 인증 아키텍처
(도표: Sign Protocol 인증 아키텍처 / 출처: Sign 백서)
인증의 생성, 관리, 철회(revocation) 과정은 모두 Sign Protocol에 통합되어 있으며, ZK(Zero-Knowledge) 기술을 활용해 검증 필요성과 개인 정보 보호 간의 균형을 달성한다. 앞서 언급된 ‘신원 인증’ 사례를 예로 들면, 주권 국가에서는 ‘주민등록증(ID 카드)’ 이 개인의 신원을 증명한다. Sign Protocol은 이러한 신원 인증을 온체인 상에서 구현하고, 이를 프라이버시 체인과 비(非)프라이버시 체인 양쪽에 통합한다.
▣ 신원 인증의 중요성
신원 인증은 주권 국가의 정치적 실체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요소이다. 그러나 많은 선진국조차 이 분야를 완벽히 구현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앵글로색슨계 국가들은 의무적인 국가 신분증 제도가 없으며,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등으로 신원을 대체적으로 확인하는 ‘실질적인(de facto)’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일상이 점점 더 디지털화되면서,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 인증 시스템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 기존 시도와 Sign Protocol의 차별점
일부 국가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DID)’ 을 이미 도입했다. 예를 들어 팔라우(Palau)는 DID를 발행했지만, 이는 거래소의 KYC(고객신원확인) 용도로만 사용될 뿐 국가 인프라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지는 못했다. 팔라우 DID를 가진다고 해서 국제선 항공을 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완전한 주권적 시민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시도의 한계는 인프라 부재 때문이며, 바로 이 지점에서 Sign Protocol의 접근이 특히 중요해진다.
▣ 재산권 인증의 역할
신원뿐 아니라, 재산권(Property Rights) 도 인증의 핵심 활용 분야이다. 경제학의 유명한 코즈 정리(Coase Theorem) 는 이렇게 말한다:
“재산권이 명확하고 거래비용이 0이라면, 자원은 자동으로 최적 배분된다.”
즉, 토지·자동차 같은 실물 자산이든 지식재산권·디지털 자산 같은 가상 자산이든, 명확하게 인증되고 변경 불가능한 블록체인 장부에 기록된다면, 국가의 법적 보호 체계(armed protection system)와 결합되어 건전하고 번영하는 경제의 토대가 된다.
(도표: Sign Protocol의 다양한 인증 활용 사례 / 출처: Sign 백서)
2.3 디지털 자산 발행 시스템: TokenTable
간단히 말해 TokenTable은 고속 결제 및 분배 시스템이다. 주권 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신원과 직접 연결되어 복지, 보조금, 국가 자산 배분 등의 정부 재정 집행을 담당한다.
(도표: TokenTable 아키텍처 / 출처: Sign 백서)
TokenTable은 정부 자산의 효율적 발행 및 분배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대규모 그룹 지급 상황에서도 블록체인 혼잡을 최소화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정기 연금, 보조금 지급 등이 자동화되고, 재정 집행의 투명성 또한 향상된다. TokenTable은 앞서 설명한 Sign Protocol과 연동되어, 정밀하고 타깃화된 지급(distribution)을 가능하게 한다. 그 외 세부 기능은 백서에서 자세히 다뤄진다.
▣ 거시경제 조절 도구로서의 TokenTable
TokenTable은 단순한 분배 도구를 넘어,거시경제 조절(macro-economic regulation)의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부가 소비를 촉진하고자 한다면, 온체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 능력에 따라 맞춤형 소비 쿠폰을 발행할 수 있다.
이는 일종의 프로그래머블 케인즈주의(Programmable Keynesianism)라 할 수 있다. 모든 것이 디지털화된 사회에서는, 이러한 정밀한 경제 조절이 더욱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Sign Protocol을 통해 인증된 의료 기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별 맞춤형 의료보험 한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더 먼 미래에는, 고도로 발전한 주권 경제 주체들이 UBI(보편적 기본소득)을 발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은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한 비전이다.
(도표: TokenTable이 지원하는 다양한 정부 분배 시나리오 / 출처: Sign 백서)
3. SIGN이 만드는 경제 혁신과 사회적 가치
역사적으로, 국가를 디지털화하여 관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970년대 아르헨티나는 “국가 통합 네트워크 계획(National Unified Network Plan, Plan de Red Nacional Unificada)” 을 추진하고자 했으며, 목표는 전국 단위의 중앙집중식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모든 정부 부서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 즉각적인 데이터 공유와 통합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었다. 궁극적인 목표는 사회 공학(Social Engineering)의 과학적 관리로, 기술적 수단을 활용하여 국가 자원 배분을 최적화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이며, 사회 통제력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당시 기술로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네트워크 연결이라는 거대한 비전을 지원할 수 없었고, 관료적 갈등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해 이 계획은 초기 단계에서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회 실험은 미래 세대에 많은 영감을 남겼다. 또한 칠레는 유사한 프로젝트인 “Project Cybersyn” 을 시행했다. 기술적 업그레이드와 새로운 개념이 결합된다면, 결국 디지털 인프라 기반의 국가 거버넌스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표: 1970년대 아르헨티나 “국가 통합 네트워크 계획”; 출처: K1 Research
Sign이 제공하는 주권 국가 디지털 인프라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면, 정부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정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신원 인증, 복지 배분, 규제 준수 같은 일상적 업무를 자동화하면 수작업 처리 비용이 크게 줄어든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오픈소스 특성과 지속적 투명성 덕분에 비싼 주기적 감사 비용도 불필요해진다. 인류 사회의 변화는 더 이상 유토피아적 환상이 아니라, 데이터와 지능이 주도하는 근본적 현실이 되었다.
만약 USDC가 달러와 스위프트 시스템(SWIFT system)의 파레토 최적화(Pareto optimization)라면, Sign은 전 세계 정부의 거버넌스 기능을 향상시키는 파레토 개선(Pareto improvement) 을 제공한다. 효율성, 투명성, 공정성, 비용 측면에서, 디지털 시대의 정부 운영 로직이 재구성되고 있으며, 느리지만 지속적인 변화 과정에서 Sign이 가속화에 기여하고 있다. 사회적 관점에서도, Sign의 주권 인프라는 투명성 향상에 기여하며, 일정 부분 민주화 과정을 돕는다.
예를 들어, 주권 체인과 시민 ID를 결합하면 1인 1표, 전 세계적으로 검증 가능한 선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과거 선거에서는 부정 행위가 자주 발생했다. 중복 투표, 비시민 투표, 자격 없는 유권자 투표 등이 대표적 사례다. 이러한 문제는 전통적 투표 시스템의 불투명성과 과정의 투명성 부족 때문이었다. 2007년 케냐 총선에서는 투표 집계 과정의 심각한 분쟁과 부정 의혹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민족 간 폭력 사태가 발생,1,000명 이상 사망, 60만 명 이상이 피난하게 되었다. 이 사례는 더 나은 거버넌스 도구가 사회 안정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AGI 시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미래
우리는 현재 통합의 과도기적 시대에 살고 있지만, 여전히 주권 국가들은 세계 질서를 절대적으로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무시할 수 없는 변수 중 하나는 AI, 특히 언제든 등장할 수 있는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인공지능 일반형)다. 이론상 AGI는 인간 수준의 지능을 가진 AI 시스템이다. 블록체인의 등장으로, 인류에 위협이 될 수 있는 AGI가 가능해졌다. 중앙집중식 데이터 시대에서는, AGI가 인류에 위협이 될 수 있음이 발견되면, 중앙집중식 데이터 시대에는 AGI가 위험 요소로 판단될 경우, 언제든 중앙 서버를 중단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AGI가 탈중앙화 방식으로 형성될 경우(현재로서는 이론적 가능성에 불과하지만), “위험한 AI”를 중단시키는 것은 극도로 어려워진다. 이는 오늘날 세계에서 아무도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종료할 수 없는 것과 유사하다.
Sign의 주권 체인 프레임워크에서는 AI에 일부 제약을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AI 모델 학습 시, AI는 SIGN 프로토콜 상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관(정부, 대학, 인증 기관 등)이 발행한 인증을 참조하여 높은 품질의 검증 가능한 학습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해한 정보가 AI 모델의 데이터 소스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GI라는 주제는 너무 방대하고 복잡하여 여기서 더 상세히 논의하기는 어렵다.그러나 초국가적 시대 도래를 앞두고, 우리는 자연스럽게 많은 질문과 고민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AGI 지능 에이전트를 “시민”으로 간주할 수 있을까? 그들이 (제한적일 수 있는) 시민권을 가질 수 있을까? AGI가 어떻게 거버넌스에 참여하고 TokenTable과 통합되어 정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까? AGI 자체는 글로벌 문제 해결에 탁월하다.
예: 기후 모델링, 글로벌 팬데믹 조기 경보, 거시경제 조절, 소행성 방어 등.
그 문제들의 규모는 주권 국가의 경계를 초월한다. AGI에 필요한 인증과 거버넌스 또한 Sign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우리는 AGI가 인류와 상생하는 선의의 생태계를 형성하기를 기대한다. AI가 우리를 지배하는 “디지털 신”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동등하고 자유로운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디지털 도시국가’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것이 목표다. 이것이야말로 인류 문명이 맞이할 진정한 성인식이 될 것이다.
5. SIGN의 도전 과제: 1천억 달러 시장을 향한 여정
마지막으로 다시 Sign 자체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미래에 대해 많은 논의를 했지만, 현재를 보면 Sign은 이미 만족스러운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토큰 $SIGN은 현재 FDV가 약 7억 달러 수준(2025년 9월 29일 기준)이며, 바이낸스(Binance), 업비트(UPbit) 등 주요 거래소에 모두 상장되어 있다. YZi Labs와 같은 기관의 후원, CZ의 언급 등은 시장에서 Sign의 가치를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거대한 내러티브를 떠나, 제품 관점에서도 Sign은 견고하다.
예를 들어, TokenTable은 토큰 발행, 배포, 유동성 관리의 핵심 인프라로, 4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서비스해왔다. 기존 웹3 환경에서의 높은 동시 처리 능력은 TokenTable이 주권 국가의 자산 발행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또한, 신원 인증 시스템인 SignPass는 지난해 시에라리온과 UAE의 한 에미리트에서 지원을 시작했으며, 이는 Sign Protocol의 실질적 사용 사례이기도 하다. 작은 규모의 서비스에서 대규모 채택으로 이어지는 과정은 모든 프로토콜이 거쳐야 하는 필수 경로다.
현재 FDV가 10억 달러 미만이라는 것은 출발점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Sign의 벤치마크는 어디일까? 앞서 K1 Research의 분석에 따르면, Sign의 벤치마크는 USDC의 모회사 Circle이다. Circle의 시가총액은 약 300억 달러이며, 구세계 핵심 자산(USD)을 위한 새로운 금융 레일을 구축했다.
Sign은 주권 국가의 핵심 기능(인증 및 거버넌스)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전념하고 있다. 두 회사 모두 전통적 핵심 요소를 온체인화하는 거대한 시장을 목표로 하며, 따라서 비교 가능한 밸류에이션 벤치마크를 가진다.
(그림: Circle과 Sign 비교, 출처: K1 Research)
이 비교에 따르면, 현재 Sign은 성장 여력이 약 40배에 달한다. 물론 Circle 역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달러 세계화 심화와 온체인 채택 증가와 함께 Sign도 머지않아 1천억 달러 시가총액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된다.
블록체인의 기술적 장점을 활용하여 현재 세계를 위해 봉사하는 방식이지, 모든 구질서를 깨는 급격한 혁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왜 바로 초국가적 세계를 구축하지 않느냐?”고 물을 수도 있다. 물론 언젠가 외부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즉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실과 타협하는 것 또한 미래를 구축하기 위한 지혜의 한 형태다.
우리는 미래 문명 인프라에 대해 명확한 밸류에이션 기대치를 제시할 필요가 없다.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그 가치를 평가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0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마켓 카테고리 리서치
더보기
리서치 삭제
글 삭제 후 복구가 불가능 합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