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디지털 자산의 주권 시대: Lit Protocol이 선도하는 개인 중심 자산 관리 혁신

핵심 인사이트

 

1. 고도의 탈중앙화와 내재적 리스크 완화

 

Lit Protocol은 완전한 탈중앙화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구축, 각 노드가 독립적으로 키 분할 저장 및 연산에 참여하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다중 노드 간 협력과 중복 보안이 가능하며, 일부 노드가 장애나 공격을 겪더라도 네트워크 전체의 안정성과 보안성이 유지된다.

 

반면, Safeheron은 일부 셀프 커스터디 노드에서 중앙 집중 의존이 존재하며, Fireblocks는 완전 중앙화 관리에 의존해 단일 장애점(SPOF) 위험이 있다. Lit Protocol은 이러한 구조적 위험을 원천적으로 최소화한다.

 

2. 첨단 보안 아키텍처: MPC와 TEE의 결합

 

Lit Protocol은 다자간 보안 연산(Multi-Party Computation, MPC)과 신뢰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을 결합하여 최적의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구현한다. 운영 과정에서 프라이빗 키는 어느 노드에서도 노출되지 않으며, TEE는 하드웨어 수준에서 데이터를 격리·보호한다.

 

또한, Lit Managed Keys를 통해 온체인 자동화 서명과 권한 부여를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다층 방어 구조는 보안성과 유연성 모두에서 혁신적인 설계를 보여준다.

 

3. 스마트 프로그래밍 및 자동화 실행

 

Lit Actions를 활용하면 개발자는 복잡한 로직을 키 연산에 직접 통합할 수 있으며, 스마트 계약 수준의 자동화 서명, 암호화 해독, 크로스체인 트랜잭션 처리가 가능하다.

 

기존 Safeheron과 Fireblocks는 정책 관리 및 API 통합을 지원하지만, 온체인 로직 제어와 유연한 자동화 기능 측면에서 Lit Protocol과 비교할 수 없다. 이로써 Lit는 DeFi, 크로스체인 운영, AI 기반 스마트 에이전트 등 미래형 금융 및 디지털 환경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수행한다.

 

4. 사용자 완전 통제와 자율적 자산 관리

 

Lit Protocol은 사용자가 프라이빗 키와 민감 데이터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모든 서명 및 암호화 해독 작업은 사용자 승인 하에서만 실행되며, 제3자 노드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한다.

 

이 구조는 자산과 데이터 주권을 확보함과 동시에, 크로스체인 운영, 자동화 에이전트, 프라이버시 연산 등 고급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안전성을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진정한 셀프 커스터디를 실현할 수 있다.

 

5. 유연한 키 관리와 멀티 환경 적응력

 

PKP와 WK 조합은 키 보안을 강화함과 동시에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동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정책 기반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Lit Protocol은 DeFi, TradFi, Web2 API, SaaS 플랫폼, AI 스마트 에이전트 등 다양한 환경에서 원활하게 작동하며, 조건 기반 자동화와 복잡한 접근 제어를 지원한다. 이러한 뛰어난 유연성과 크로스체인·크로스도메인 지원 능력은 Lit Protocol을 탈중앙화 생태계와 미래 사용자의 자율적 웹 운영을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게 하며, 프로젝트의 기술적 깊이와 혁신성을 명확히 드러낸다.

 


 

1. 서론: 화폐 진화와 디지털 자산 시대의 보안 딜레마

 

인류 화폐 역사에서, 가치 저장 수단의 변화는 언제나 가치 보존과 보안 리스크의 균형과 함께 진행되어 왔다. 초기 조개화폐와 금속 화폐에서 종이 화폐로의 전환까지, 화폐 형태는 지속적으로 혁신되었지만 리스크도 동시에 이동했다. 종이 화폐는 유통 효율성을 높였지만, 새로운 문제를 수반했다. 먼저, 실물 형태의 특성상 곰팡이, 습기, 화재 등 외부 환경에 따른 물리적 손상 위험이 존재하며, 가치 보존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려웠다. 또한, 대규모 현금의 보관, 운송, 정산 과정에서는 금고, 보안, 물류 시스템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구조적 비용과 위험이 발생했다. 디지털 시대에 들어 이러한 모순은 더욱 심화되었다.

 

디지털 화폐는 저장과 관리의 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췄다. 단 한 대의 스마트폰이나 몇 개의 니모닉 구문만으로 수백만 달러, 심지어 수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관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저장 비용의 감소가 곧 리스크의 소멸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탈취 가능성과 진입 장벽이 낮아지면서 새로운 보안 위협이 등장했다.

 

이 맥락에서 프라이빗 키는 블록체인 세계에서 사용자의 주권적 권한을 상징한다. 프라이빗 키를 완전히 통제해야만 자산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으며, 키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순간 자산에 대한 통제권은 즉시 상실된다. 업계에서 자주 언급되는 “Not Your Keys, Not Your Coins”라는 경구가 바로 이를 의미한다. 실제로 프라이빗 키, 니모닉 구문, SDK가 공격당해 지갑이 탈취된 사건은 반복적으로 발생해왔다. 예컨대 2023년 Atomic Wallet 해킹으로 1억 달러 이상의 암호자산이 유출되었고, LastPass 암호화 저장소 해킹으로 암호화 및 비암호화 데이터가 모두 복제되어 사용자의 자산이 심각한 위험에 노출되었다.

 

1.1 AI 자동화 시대의 딜레마

 

오늘날 사용자는 점점 더 프라이빗 키를 AI에 위임하여 거래 자동화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는 그 과정에 숨어 있는 보안과 프라이버시 위험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다.

 

비유하자면, Web2 세계에서 우리는 앱과 웹사이트에서 편리한 개인화 경험을 위해 쿠키, 추적, 권한 요청을 무심코 허용하지만, 그 뒤에 숨은 프라이버시 리스크라는 ‘방 안의 코끼리’를 인지하지 못한다. 블록체인 환경에서는 이러한 위험이 자산 안전성을 위협하는 다모클레스의 칼과 같다. 프라이빗 키를 AI에게 위임한다는 것은, 어느 날 갑자기 자산 통제권을 상실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회복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AI 자동화 거래를 두려워하며 배척할 것인가, 아니면 인간과 AI의 융합 시대가 제공하는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의 혜택을 적극 활용할 것인가?

 

정답은 명확하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폴 로머(Paul Romer)의 내생적 성장 이론처럼, 노동은 전통적 물리적 생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일부 비노동 시간을 교육, 학습, 연구개발에 투자하면 지식과 기술 축적으로 전환되어 장기적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이 원리는 디지털화,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세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사용자는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거래 감시 대신 혁신과 전략적 사고, 가치 창출에 집중해야 한다. AI와 스마트 자동화는 이러한 반복 작업을 대체하며, 블록체인 생태계의 지속적 성장 동력을 제공한다.

 

 

1.2 Lit Protocol: 효율과 보안의 균형

 

AI 자동화를 수용하려면 프라이버시와 보안 리스크를 해결할 방법이 필요하다. 여기서 Lit Protocol이 등장한다.

 

Lit Protocol은 다음을 가능하게 한다.

 

1. AI 자동화 효율성 극대화: 거래와 자산 운용의 전략화·자동화 실현

 

2. 프라이빗 키 절대 통제: 탈중앙화, 다자간 계산(MPC), 프로그래밍 가능한 키 구조를 통해 보안과 자산 주권 확보

 

3. 맞춤형 권한 제어: 키 위임과 해독 조건에 대한 정밀한 권한 관리

 

4. 멀티체인·멀티시스템 지원: 스마트 에이전트의 다양한 플랫폼 및 프로토콜 간 상호운용성 보장

 

기존 MPC 기반 지갑과 달리, Lit Protocol은 분할 키 재조합 공격에도 안전하며, 사용자는 완전히 자율적 자산 관리(Self-Custody)가 가능하다. 자동화와 편의성을 누리면서도 통제권과 프라이버시를 포기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다음 장에서는 Lit Protocol의 구조와 기술적 세부 사항을 심층 분석하여, 자동화, 프라이버시, 상호운용성 측면에서 왜 이 솔루션이 암호화 자산 관리의 최종 해법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2. 프로젝트 분석

 

2.1 프로젝트 개요

 

Lit Protocol은 Web3 애플리케이션의 디지털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강화하기 위해 설계된 탈중앙화 키 관리 네트워크이다. 이 프로토콜은 임계값 비밀 분할(Threshold Secret Schemes / MPC/TSS)과 신뢰 실행 환경(TEE)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프로그래밍 가능한 서명, 암호화, 접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중앙화된 관리 없이도 프라이빗 키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단일 지점에서 키가 노출되거나 악용되는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2025년 9월 기준, Lit Protocol은 총 관리 자산(AUM) 3억 4천만 달러를 초과하며, 약 166만 개 지갑 주소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Alchemy, Lens Protocol, DataverseOS, Humanity Protocol 등 다수 프로젝트에 키 관리 및 접근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it는 정책 기반 자동화, 프라이버시 보호, 프로그래밍 가능한 서명 및 암호화 로직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하며, 업계 내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2 주요 로드맵

 

2.3 프로젝트 개요

 

2.3.1 투자 현황

 

  • 2022년 1월: Sfermion과 Collab+Currency가 주도한 시드 라운드 220만 달러 투자 유치. Shima Capital, CMT Digital 등 참여. 이를 통해 탈중앙화 키 관리 시장의 잠재력을 검증.

 

  • 2022년 9월: 1kx 주도 시리즈 A 라운드 1,300만 달러 투자 유치. OpenSea Ventures, Balaji Srinivasan, Stani Kulechov(Aave 창립자), Raj Gokal(Solana 공동 창립자) 참여. 1kx는 탈중앙화 ID 및 Web3 인프라 분야에 장기적으로 투자해온 톱티어 펀드로, Lit Protocol의 기술 로드맵에 강력한 신뢰를 부여. OpenSea Ventures 참여는 NFT 자산 관리와 크로스 애플리케이션 상호운용성 측면에서 Lit의 잠재적 가치를 강조.

 

  • 2025년 3월: Legion 플랫폼에서 토큰 공개 판매(ICO) 150만 달러 완료. 이를 통해 커뮤니티 참여 확대 및 토큰 배포 채널 강화.

 

2.3.2 팀 구성

 

David Sneider, 공동 창립자 겸 CEO

 

  • Project Vesta 공동 창립자 및 자문 출신으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과 프로젝트 인큐베이션 경험 풍부. 탈중앙화 ID와 데이터 주권 분야에 오랜 관심과 전문성 보유.

 

Chris Cassano, 공동 창립자 겸 CTO

 

  • Expand CTO, Satoshi Energy 비트코인 자문 참여, 초기 Deconet CTO 겸 공동 창립자, Fathom AI 및 21.co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경험. 암호학, 블록체인 인프라, 분산 시스템 개발 분야에서 깊은 기술력 보유.

 

팀은 암호학, 탈중앙화 신원, 블록체인 인프라, DeFi 프로토콜 설계 등 기술적 전문성을 보유하며, Web3 환경에서 키 관리와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강력한 엔지니어링 실행력과 혁신적 솔루션 제공 능력을 갖추고 있다.

 


 

3. 기술 아키텍처

 

3.1 MPC: 분산 키 생성 및 임계치 서명

 

다중 당사자 계산(MPC)은 자산 관리 과정 전반에 걸쳐 다층적인 키 보호를 제공하며, 높은 수준의 보안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분산 저장된 키 조각: 프라이빗 키는 시스템 내에서 전체 형태로 존재하지 않고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어 분산 저장된다. 각 조각은 일부 정보만 담고 있어 단일 지점 노출 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한다.

 

2. 분산 협업 기반 거래 승인: 거래 서명 과정에서 데이터가 탈취되더라도 전체 키를 복원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전 과정 암호화와 높은 프라이버시 수준을 제공한다.

 

3. 임계치 기반 검증: 모든 작업은 미리 설정된 노드 임계치를 만족해야 하며, 다중 당사자 합의를 통해 합법성을 검증한다. 이를 통해 분산 환경에서 자산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시스템의 안정성과 내결함성을 동시에 유지한다.

 

MPC는 DKG(분산 키 생성)과 TSS(임계치 서명) 두 가지 핵심 모듈로 구성된다.

 

DKG: 다중 노드 협업을 통한 키 보안

 

분산 키 생성(DKG)은 MPC 시스템의 핵심으로, 다수 노드가 협업하여 공개·비공개 키 쌍을 생성한다. 각 노드는 키의 일부 조각만 보유하며, 어느 한 노드도 전체 키를 알 수 없다. Lit Protocol은 키를 진정한 분산 방식으로 생성하여, 단일 키 추출 이벤트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제거한다.

 

TSS: 임계치 서명으로 탈중앙화 보장

 

TSS는 키 조각을 이용한 공동 서명을 수행한다.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노드가 참여해야만 유효한 서명이 생성되며, 전체 키를 조합할 필요가 없다. Lit은 2/3 임계치를 적용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일부 노드가 장애나 공격을 당하더라도 공격자가 전체 지갑을 제어할 수 없으며, 시스템은 최소 임계치 미달 시 서명을 허용하지 않는다.

 

3.2 TEE: 하드웨어 수준 행동 격리 및 보안

 

신뢰 실행 환경(TEE)은 하드웨어 기반 격리를 제공하여, 암호화 작업을 운영체제와 철저히 분리한다. 프라이빗 키 조각은 보호된 독립 영역에 안전하게 저장되며, 외부 프로그램 접근이나 변조를 방지한다.

 

또한 Lit은 검증 가능한 증명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클라이언트와 노드가 실제 TEE 환경에서 연산이 수행되었음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악성 또는 위조 노드 참여 위험을 최소화하며, 자동화의 편리함과 사용자 자산 보호를 동시에 달성한다.

 

3.3 키 갱신 및 동적 보안

 

Lit Protocol은 주기적 키 갱신 및 재분배를 통해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한다. 노드 구성 변경 시 키 조각을 재분배하고, 이전 키 조각은 즉시 무효화하여 공격자가 정보를 축적하여 공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메커니즘은 분산 환경에서 장기적 안정성과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3.4 고안전성 맞춤형 스마트 자율 관리

 

3.4.1 Lit Actions: 탈중앙화 스마트 자동화

 

Lit Actions는 탈중앙화 Lit 네트워크 상에서 실행되는 불변 JavaScript 프로그램으로, 체인 독립적 실행 환경과 내장 서명 및 암호화 기능을 제공한다.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여러 API 엔드포인트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논리 연산 수행

 

2. 계산 결과가 사전 정의된 조건을 충족하면, Lit Actions가 PKP를 통해 블록체인 토큰 거래에 서명

 

3. 서명 완료된 거래를 즉시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거나 사용자가 나중에 제출 가능

 

이를 통해 자동화, 검증 가능, 안전한 자산 관리가 가능하다.

 

3.4.2 PKP: 사용자 자율 관리 및 권한 제어

 

프로그래머블 키 페어(PKP)는 DKG 기반 ECDSA 키 쌍으로, 각 노드는 키 조각만 보유하며, 3분의 2 이상의 조각이 모여야 거래 서명이나 계약 호출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PKP를 통해 거래 자동화 및 접근 제어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어, 복잡한 접근 정책, 비관리형 지갑 운영, 탈중앙화 앱 구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자산 관리는 중앙화 신뢰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안전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3.4.3 Wrapped Keys(WK): 안전한 저장과 제어된 접근

 

Wrapped Key(WK)는 PKP가 서명 및 권한 부여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민감 키를 포괄적으로 안전하게 저장하고 호출할 수 있는 고급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 WK는 PKP로 암호화되며, 필요 시 TEE 환경에서 일시적으로 키를 해독하고 서명을 수행한 뒤 즉시 삭제한다.

 

이를 통해 키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도 복잡한 서명과 권한 작업이 안전하게 실행된다. WK는 Lit Protocol의 자동화와 자율 관리 기능을 한 차원 높이는 핵심 기술로 작용하며, 체인 간,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도 자연스럽게 지원한다.

Lit Protocol은 이 외에도 크로스 플랫폼 자동화, 모듈형 스마트 전략 실행, 최소 신뢰 기반 데이터·프라이버시 보호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복잡하고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도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자율적으로 자산과 작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4. 데이터 분석

 

 

9월 25일 기준, Lit Protocol이 관리하는 총 자산 규모(AUM)는 3억 4천만 달러에 달하며, 해당 규모는 여전히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이는 탈중앙화 자산 관리 분야에서 Lit가 갖는 강력한 시장 매력과 생태계 활력을 잘 보여준다.

 

 

체인상 지갑 수는 약 166만 개에 육박하며, 사용자 활동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Lit가 제공하는 안전한 자기자산관리(Self-custody) 및 스마트 자동화 기능이 사용자에게 폭넓은 매력과 생태적 가치를 제공함을 의미한다.

월간 요청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트래픽 피크가 점점 집중되는 추세를 보인다. 거의 모든 경우에서 이전 최고치를 경신하며, 시스템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입증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Lit는 체인상 생태계 내에서 안정적 성과를 기록하며 제품 생애주기에서 성숙기에 접어든 특징을 나타낸다. 이는 업계 내 지속적 성장 가능성과 장기적 가치를 확보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전략적 투자와 확장을 위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5. 토크노믹스

 

5.1 토큰 분배 구조

 

  • 투자자: 총 발행량의 16%가 Lit 투자자에게 할당되며, 4년 선형 베스팅을 따르고, TGE(Tokens Generation Event) 종료 후 1년 동안 락업된다.

 

  • 팀: Lit Protocol 개발팀인 Workgraph Inc.에 29.1% 할당, 동일하게 4년 선형 베스팅을 적용하며 TGE 후 1년 락업.

 

  • 생태계 에어드롭: 4.8%가 생태계 기여자, 테스트넷 노드 운영자, 통합 파트너 및 태스크 참여자를 대상으로 배분되며, 기여 장려와 네트워크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 공개 및 프라이빗 세일: 총 9%가 커뮤니티 및 공개 세일용으로 배분되어 토큰 유동성을 보장하고 시장 활성도를 지원.

 

  • 생태계 인센티브: 41.4%가 보조금, 노드 보상, 인센티브 프로그램 및 지속적인 프로토콜 개발에 사용되며, 장기적인 생태계 구축에 대한 프로젝트의 집중도를 보여준다.

 

 

투자자 및 팀 토큰의 45.1%는 TGE 종료 후 1년간 락업되어 조기 매도 방지 및 시장 안정성 유지를 목표로 한다. 생태계 토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장기적 생태계 발전과 참여 유도를 핵심 전략으로 하고, 공개·사적 세일은 9%로 제한하여 토큰 분배의 균형을 유지한다.

 

5.2 토큰 생태계 협력

 

Lit Protocol의 네이티브 토큰 $LITKEY는 생태계 내 핵심 기능과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구동하는 중심 동력으로 작동한다.

 

$LITKEY는 세 가지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 작업 토큰: 노드 운영과 네트워크 작업 수행을 장려하고, 계산 자원을 제공하는 참여자에게 보상함으로써 네트워크 효율성과 확장성을 유지.

 

- 결제 수단: 생태계 내 가치 흐름을 실현하며, 서비스 구매, 노드 수수료 지불, 스마트 계약 실행 등 경제 활동 전반에 활용.

 

- 거버넌스 도구: 보유자는 프로토콜 주요 의사결정, 제안 승인, 파라미터 조정에 참여하여 네트워크 발전 방향을 직접 형성.

 

세 요소의 유기적 협력으로 자생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자 중심 생태계 순환 구조가 구축되며, 참여자에게 실질적인 권한과 혜택을 제공한다.

 


6. 비즈니스 모델 및 생태계 지속 가능성

 

6.1 수익 모델

 

Lit Protocol의 수익 구조는 프로토콜 직접 수익과 생태계 기반 간접 수익으로 구분된다.

 

  • 직접 수익: 네트워크 사용량과 직결되며, 단기 현금 흐름의 기반을 형성한다.

 

  • 간접 수익: 노드 경제, 애플리케이션 배포, 거버넌스 금고 등 생태계 메커니즘을 통해 장기적 외부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한다.

 

직접 수익

 

직접 수익의 핵심은 사용료 및 연산 수수료이다. 현재 Lit Actions 실행, PKP 서명, 암호 해독, Wrapped Keys 조작 등은 모두 사용료가 발생하며, 결제 방식은 Capacity Credits에 의존한다. 향후 V1에서는 자동 차감 모델로 전환되며, 결제 수단은 $LITKEY로 통일될 예정이다. 이 모델은 실제 수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가장 직접적이며 규모 확장성이 높은 수익원으로 평가된다.

 

또한, PKP 생성, Capacity Credits 발행, 결제 등 체인 상 트랜잭션 동작에도 gas 비용이 발생하며, 향후 $LITKEY와의 네이티브 연동을 통해 안정적인 기본 거래 수수료 수익원이 형성될 전망이다. 추가로 결제 위임, 한도 관리 등 기업용 기능 제공 시 관리·호스팅 관련 부가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간접 수익

 

간접 수익은 생태계 가치 확보를 통해 장기적 성장 잠재력을 제공한다. 노드 경제 및 스테이킹 메커니즘: 노드는 $LITKEY를 스테이킹해야 운영 자격과 보상을 얻으며, 보상 예산은 운영 비용 배수 기준과 수익 상한을 설정하여 과도한 인플레이션과 중앙화 편향을 방지한다.

 

  • 위임 스테이킹: 네트워크 사용료와 연동되어 토큰 가치에 실제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 거버넌스 및 금고 메커니즘: 생태계 인센티브 예산을 통해 개발자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보조하고, “사용량 확대 → 사용료 풀 확대”의 순환 구조로 프로토콜에 가치가 환류되도록 설계된다.

 

6.2 지속 가능성 분석

 

Lit Protocol의 핵심 가치는 혁신적 분산 키 관리와 프로그래머블 서명 기술뿐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는 수익 모델과 생태계 구조의 지속 가능성에 있다.

 

이 지속 가능성은 단기, 중기, 장기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단기 단계

 

  • 실제 사용량 기반 수익: Capacity Credits를 활용하여 개발자가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 투명하고 효율적인 과금 체계를 형성.

 

  • SDK 통합 및 최적화: 개발자 접근성을 높이고, 네트워크 처리량과 지연 시간을 안정적으로 유지.

 

  • 현금 흐름 안정화: Relayer 보조금 축소와 함께 실제 결제율과 요청당 수익이 점진적으로 나타나 단기 현금 흐름 기반 확보.

 

중기 단계

 

  • $LITKEY와 사용량의 강력한 결합: 자동 차감 모델을 통한 기업용 대규모 배포 지원, 노드 스테이킹과 보상 상한 설정으로 인플레이션 방지 및 탈중앙화 유지.

 

  • 크로스체인 호환: 신규 서명 및 프라이버시 요구를 확대하며, 기술 시범에서 네트워크 안정 단계로 전환.

 

  • 토큰 경제 순환: 사용량과 토큰 가치 간의 긍정적 피드백 구조 형성.

 

장기 단계

 

  • Web3 및 AI 에이전트 시대 핵심 인프라 목표: 계정 추상화, AI 에이전트, 크로스체인 거래, 프라이버시 데이터 관리 증가에 따라 프로그래머블 서명과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의 중요성 확대.

 

  • 거버넌스와 금고: 자원 효율적 배치, 도구 표준화, 주요 애플리케이션 육성으로 장기 경쟁력 확보.

 

  • 생태계와 수익 성장 동기화: Lit 사용량과 수익은 Web3 생태계 성장과 동반 확대, 업계 표준으로 자리잡을 가능성.

 

장기적으로 Lit 프로젝트는 현재 평가 가치를 상회할 잠재력을 보유하며, 기술 성숙과 생태계 안정화를 통해 미래 가치가 점진적으로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7. 경쟁사 분석

 

 

8. 생태계 및 응용 사례

 

Lit Protocol은 현재까지 7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해당 플랫폼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주요 활용 분야는 사용자 지갑, 자율 에이전트, 크로스체인 상호운용 프로토콜, 디지털 신원 플랫폼 등으로 다양하게 분포한다. 2025년 9월 기준 Lit 기반 생태계가 관리하는 총 자산 규모는 약 2억 6천만 달러에 달하며, 네트워크 요청량은 매월 두 자릿수 비율로 성장하는 등 빠른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Lit Protocol이 분산형 암호화 인프라 및 프로그래머블 자동화 시장에서 핵심적 기술 리더십과 전략적 가치를 확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Lit Protocol은 외부 생태계 확장과 더불어 자체 제품 혁신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태계의 수평적 확장(horizontal expansion)과 수직적 심화(vertical deepening)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플랫폼의 기술 적용 범위와 응용 가능성을 극대화하며, 생태계 전반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담보한다.

 

8.1 생태계 프로젝트 현황

 

 

8.2 Vincent: 지능형 에이전트 엔진

 

Vincent는 Lit Protocol 기반의 지능형 에이전트 엔진으로, 사용자의 디지털 활동을 확장하는 자율적 분신 역할을 수행한다. 에이전트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사용자 주권을 반영한 실행 주체로 설계되어, 복잡한 다중 체인 환경에서도 자동화와 사용자 통제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분산형 키 관리: PKP 및 분산 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프라이빗 키 노출 없이 독립적 자율 행동 가능.

 

- 정밀 전략 통제: 체인 상에서 검증 가능한 정책 설정, 거래 단위 수준의 세분화된 권한 관리 가능.

 

- 에이전트 시장 확장: 에이전트 기능을 조합·교환·재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 구축으로, 기술·능력의 순환적 활용 가능.

 

Vincent는 인간-기계 협업과 자율적 의사결정을 결합함으로써, 개인의 디지털 주권을 강화하면서도 자동화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플랫폼으로 평가된다.

 


 

9. 프라이버시, 효율성 및 협업: Lit Protocol의 최적화 전략

 

분산형 디지털 환경에서 프라이빗 키는 자산 통제와 개인 디지털 주권의 핵심이다. 키 유출 시 권한 상실과 금융 손실이 동반되며, 키 보유 시 자율성과 결정권 확보가 가능하다. Lit Protocol은 다자간 계산(MPC), 신뢰 실행 환경(TEE), 프로그래머블 키(PKP/WK)를 결합하여, 보안성, 프로그래머블 제어, 탈중앙화를 동시에 만족하는 키 관리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Vincent 플랫폼과 결합하면, 사용자는 AI 에이전트를 통해 크로스체인, 크로스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키, 신원, 데이터에 대한 절대적 통제를 유지할 수 있다. 금융 포트폴리오 자동 재조정, 리스크 관리, 데이터 접근 권한 통제, 소셜 네트워크 권한 관리 등 모든 작업이 체인 상 검증 가능하고 추적 가능하게 수행된다.

 

향후 AI 에이전트는 단순 실행 도구를 넘어, 개인의 디지털 상대방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인식, 동적 권한, 실시간 리스크 평가를 기반으로 다중 생태계에서 효율적·안전한 자동화 실행을 지원하며, 자동화 효율성과 디지털 주권의 결합을 실현한다.

 

Lit의 장기 목표는 암호 자산과 DeFi 자동화를 넘어 인터넷 전반으로 확대하여, 탈중앙화 비밀 관리 및 코드 실행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TGE 이후 예상 시가총액은 약 10억 달러로 평가되며, 이는 Lit의 기술 혁신, 생태계 확장 전략, 탈중앙화 인프라 구현 능력을 동시에 반영한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64,720,846 (+3.19%)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5,949,371 (+8.58%)
BNB 로고 BNB (BNB)
1,948,460 (+14.90%)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31 (+0.02%)
XRP 로고 XRP (XRP)
3,759 (+9.76%)
Solana 로고 Solana (SOL)
282,604 (+9.02%)
USDC 로고 USDC (USDC)
1,430 (-0.01%)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302.2 (+12.22%)
TRON 로고 TRON (TRX)
461.0 (+2.45%)
Cardano 로고 Cardano (ADA)
1,032 (+12.15%)
왼쪽
2025 10월  13(월)
오른쪽
진행기간 2025.10.13 (월) ~ 2025.10.14 (화)

28명 참여

정답 64%

오답 36%

진행기간 2025.10.10 (금) ~ 2025.10.11 (토)

43명 참여

정답 74%

오답 26%

진행기간 2025.10.02 (목) ~ 2025.10.03 (금)

43명 참여

정답 0%

오답 100%

진행기간 2025.10.01 (수) ~ 2025.10.02 (목)

46명 참여

정답 76%

오답 24%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