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금의 랠리와 블록체인 자산화: 안전자산의 새로운 진화

요약 (Summary)

 

불안정한 거시경제 환경 속에서 전통적인 통화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계속해서 약화되며, 기존의 안전자산과 신흥 디지털 자산 모두가 새로운 내러티브를 보여주고 있다. 2025년 초부터 금 가격은 역사적 최고치를 연이어 돌파하며 온스당 4,000달러를 잠시 상회했고, 글로벌 금융 시장의 중심에 섰다.

 

이와 동시에 실물 금의 상승 모멘텀이 약화되는 징후가 나타나자 자금은 점차 토큰화된 금과 비트코인 등 유동성이 높은 암호화폐 자산으로 이동했다.

 

 

TL;DR

2025년 4분기 기준, 국제 금 가격은 2,600달러에서 4,147달러로 상승하며 연초 대비 54.5% 상승했다.

금의 총 시가총액은 27.3조 달러를 넘어 여전히 세계 최대 자산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1. 금의 급등: 위험 회피 환경 속 자금의 피난처

 

지속적인 거시경제 불안과 법정화폐 신뢰 약화 속에서 투자자들은 다시금 실물 자산(hard assets)으로 눈을 돌렸다. 2025년 초부터 금은 전례 없는 강세장을 맞이하며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했고, 대규모 기관 자금 유입을 이끌어냈다. 동시에 비트코인도 수개월 만의 최고치를 회복하며, 금과 디지털 자산을 병행하는 이중안전자산 포트폴리오(dual safe-haven allocation)로의 구조적 전환이 나타났다.

 

2025년 4분기 현재 금 가격은 약 4,147달러로, 1월 대비 54.5% 상승했으며, 인플레이션 우려, 불안정한 세계 정세, 주권 신용위험 회피 심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특히 10월 초 미국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위협 이후 금 가격은 일중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 심리를 극단적으로 끌어올렸다. 가치 측면에서 금은 여전히 글로벌 안전자산 중 독보적인 존재로 남았다.

 

현재 금의 시가총액은 27.3조 달러로, 그 어떤 자산도 이를 넘어서지 못했다. 한편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2.3조 달러로 상승하며 세계 8위 자산으로 올라섰고, 테슬라와 메타를 추월했다.

 

 

2. 금 상승의 세 가지 동력: 인플레이션, 중앙은행, 그리고 유동성

 

2025년 금 강세는 거시경제적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맞물린 결과였다.

 

인플레이션 후유증과 달러 신뢰 하락: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급증하는 글로벌 부채, 그리고 완화적 통화정책이 달러의 구매력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켰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금을 선호하며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모습을 보였다. 금의 희소성과 내구성은 인플레이션과 통화가치 하락으로부터 자산을 보호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앙은행의 금 매입과 탈달러화 추세: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신흥국을 중심으로 중앙은행들은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금 보유량을 빠르게 늘렸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이러한 중앙은행의 공식 수요는 금값 상승의 구조적 원동력이 되었다. 탈달러화 움직임이 강화되며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금 매입이 투기적 요인이 아닌 기초적 수요 기반으로 작용했다.

 

기술적 돌파와 심리적 피드백 루프: 3,000달러를 돌파한 이후 금은 모멘텀 펀드 및 ETF의 대규모 유입을 유발했다. 이어 4,000달러를 상향 돌파하면서 일부 분석가들은 이를 “버블 구간”이라 불렀다. 일부 기관들이 차익 실현을 시작하자 자금은 토큰화 금과 비트코인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새로운 안전자산 사이클의 다음 국면이 나타났다.

 

 

3. 토큰화된 금: 전통과 블록체인의 만남

 

실물 금의 가격이 높아지고 유동성이 감소함에 따라, 전통 금융 자산과 블록체인이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자산인 토큰화 금(Tokenized Gold)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 자산들은 규제된 금고에 보관된 실물 금의 직접 소유권을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으로 나타냈으며, 실물 금의 안정성과 디지털 자산의 효율성이 결합된 새로운 내러티브다.

 

토큰화 금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실물 금 기반 토큰(Tokenized Physical Gold): TetherGold(XAUT)과 PAXGold(PAXG)는 LBMA 인증된 금괴의 소유권을 나타낸다. 각 토큰은 1 트로이온스의 금에 해당했으며, 투자자는 블록체인 상에서 일련번호·순도·보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온체인 금 파생상품(On-Chain Gold Derivatives): 상장된 토큰화 금을 통해 투자자는 전통 금융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금에 대한 포지션을 매매, 헤지, 또는 차익거래할 수 있다.

 

토큰화 금의 핵심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낮은 진입장벽: 소수점 단위로 투자할 수 있어 전체 금괴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

• 높은 유동성: 글로벌 거래소에서 24시간 거래가 가능하다.

• 저비용 구조: 보관료 및 관리비가 없기에 거래 수수료를 최소화한다.

• 투명한 검증: 온체인 데이터로 “페이퍼 골드(paper gold)”의 불투명성을 해소한다.

 

이처럼 TetherGold(XAUT) 등 토큰화 금 상품은 전통적 가치저장 수단인 금을 블록체인 상에서 직접 소유하고 거래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4. 금에서 비트코인으로: 디지털 안전자산의 진화

 

금의 상승세가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시장 자본은 점차 디지털 희소성(digital scarcity)을 갖춘 비트코인과 토큰화 자산으로 이동하고 있다. 초기에는 투기적 자산으로 여겨졌던 비트코인은 이제 기관 채택, ETF 상장, 포트폴리오 다변화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데이터에 따르면, 글로벌 리스크 오프(risk-off) 국면에서 비트코인과 금 가격은 점점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자산 모두 통화가치 하락(화폐 디밸류에이션)에 대한 헤지 수단이었지만, 비트코인은 프로그래밍 가능성, 휴대성, 공급 한도(cap) 측면에서 디지털 경제에 더 적합한 강점을 지니고있다.

 

결국 미래의 안전자산 패러다임은 “금 vs 비트코인”이 아니라 “실물 금 + 토큰화 금 + 비트코인”의 조합을 통한 전통과 기술의 융합 포트폴리오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5. 결론: 디지털 안전자산 시대의 서막

 

2025년의 거시경제 사이클은 글로벌 자본의 구조적 변화를 대표한다. 금은 여전히 부의 보존(wealth preservation)의 핵심 자산으로 남았지만, 그 디지털 파생형인 토큰화 금과 비트코인이 “안전자산”의 개념 자체를 새롭게 정의했다. 앞으로 금은 단순히 금괴나 ETF 지분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상에서 검증 가능한 디지털 증서(digital certificate)의 형태로 거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탈중앙화 금융(DeFi)의 발전과 함께 전통 자산과 디지털 자산 간의 경계는 더욱 희미해졌다. 투자자에게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고, 안전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실물 금과 디지털 금 모두에 균형 잡힌 자산을 확보하는 것이다. “안전자산 투자”의 새로운 장은 이미 시작되었으며, 그 무대는 온체인(On-chain) 상에 놓여있다.

 

면책 조항(Disclaimer) 본 콘텐츠는 투자, 세무, 법률, 금융, 회계 관련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MEXC Ventures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 본 글을 작성하였으며, 투자 결정 및 그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58,409,909 (-2.18%)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5,672,946 (-3.91%)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31 (0.00%)
BNB 로고 BNB (BNB)
1,651,384 (-4.72%)
XRP 로고 XRP (XRP)
3,442 (-3.82%)
Solana 로고 Solana (SOL)
276,753 (-4.09%)
USDC 로고 USDC (USDC)
1,430 (0.00%)
TRON 로고 TRON (TRX)
456.2 (+0.69%)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79.5 (-4.24%)
Cardano 로고 Cardano (ADA)
951.7 (-4.54%)
왼쪽
2025 10월  15(목)
오른쪽
진행기간 2025.10.16 (목) ~ 2025.10.17 (금)

1명 참여

정답 0%

오답 100%

진행기간 2025.10.15 (수) ~ 2025.10.16 (목)

44명 참여

정답 61%

오답 39%

진행기간 2025.10.14 (화) ~ 2025.10.15 (수)

47명 참여

정답 83%

오답 17%

진행기간 2025.10.13 (월) ~ 2025.10.14 (화)

47명 참여

정답 62%

오답 38%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