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미국에서 대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수주하면서, 관련 분야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계약은 LG전자 입장에서도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미국 내 AI 인프라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9월 4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 내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고효율 냉각 설비를 공급하는 계약을 성사시켰다고 공개했다. 그는 LG전자가 이번 수주를 통해 첨단 프리쿨링 기능이 포함된 '칠러'를 제공하기로 했으며, 이는 자사의 기술력이 글로벌 AI 인프라의 고난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금액 기준으로 수백억 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LG전자가 미국 현지에서 AI 데이터센터용 냉각 설루션 수주를 공식화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특히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AI 관련 인프라 강화에 한창인 상황에서, LG전자가 주요 부품 공급사로 입지를 넓힐 기반을 마련한 셈이다.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 기술 운영의 핵심 기반으로, 고성능 컴퓨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설비다. 하지만 AI 연산은 일반 서버보다 훨씬 많은 전력과 발열을 유발하기 때문에, 냉각 시스템의 효율성 여부가 전체 운영 비용과 지속 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LG전자가 공급하는 고효율 ‘프리쿨링 칠러’는 외부 온도를 활용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는 설비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는 세계 데이터센터 수요가 2030년까지 연평균 22%씩 증가해 현재의 약 3배에 이르는 171기가와트(GW)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가운데 미국만 해도 약 15GW 정도의 신규 데이터센터 용량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라, 관련 설비 기업들 간의 수주 경쟁이 치열한 실정이다.
LG전자는 이번 미국 수주를 기점으로, 아시아 및 중동 등지에 추진 중인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도 함께 강화할 계획이다. LG CNS, LG에너지솔루션 등 그룹 내 계열사와 협업 중인 국내외 데이터센터 구축 사례뿐 아니라, 반도체 후방 장비 분야 등에서도 추가적인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이번 공급은 단순한 일회성 계약을 넘어, LG전자가 AI 생태계를 뒷받침하는 핵심 인프라 부문에서 전략적으로 위치를 넓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으로 AI 서비스가 고도화될수록, 서버 냉각 기술이나 관련 장비에 대한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LG전자가 이 시장에서 기술적 우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