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산업에서 한국 기업들이 뚜렷한 경쟁력을 보이며, 지난해 기준 4개 품목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동시에 중국 기업의 시장 지위는 일부 분야에서 눈에 띄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유력 경제지 니혼게이자이신문은 9월 1일자 보도를 통해, 2024년 주요 상품 및 서비스 71개 분야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들이 D램 반도체,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낸드 플래시 메모리, 초박형 TV 등 총 4개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이는 2023년과 같은 수치로, 압도적인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들이 해당 분야에서 우위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삼성전자는 이들 4개 품목 모두에서 1위를 기록하며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D램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41.1%, 33.8%의 점유율로 1위와 2위를 차지했고, OLED 패널 분야에서도 삼성전자(41.7%)와 LG디스플레이(23.8%)가 선두권을 형성했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서는 삼성전자(34.8%)와 SK하이닉스(21.3%)가, 초박형 TV 부문에서도 삼성전자(16.3%)와 LG전자(14.6%)가 각각 1위와 2위에 올랐다. 주요 메모리 반도체부터 디스플레이와 가전 기술까지 핵심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의 지배력이 뚜렷하다.
전체 조사 대상 중 한국은 4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며 미국(27개), 중국(18개), 일본(9개)에 이어 네 번째를 기록했다. 미국과 중국은 전년보다 1개씩 증가했고, 일본은 1개 줄어든 상황으로 국가 간 기술력 격차와 경쟁 구도가 조금씩 변동하고 있다.
한편 닛케이는 15개 분야에서 중국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했으며, 특히 감시카메라 분야에서는 2023년 52.5%였던 점유율이 2024년엔 49.9%로 2.6%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클라우드 서비스, 가정용 에어컨 등에서도 중국 기업들은 점유율 감소를 겪었다. 이는 미국의 반도체 등 첨단 기술을 포함한 규제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된다. 닛케이는 중국의 부동산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이 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해석했다.
다만 전기차와 스마트폰 분야에서는 여전히 중국 기업들이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내에서 중국 제조업의 저력과 전략적 산업 육성 효과가 전부 사라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세계 기술 산업 재편과 국가별 전략산업 육성과 맞물려 중장기적인 경쟁 구도 변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업들은 고부가가치 기술에서의 1위 자리를 지키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글로벌 공급망 대응 노력이 중요해졌고, 중국은 미국의 제재 속에서 산업 전략에 변화를 줄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