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 기술의 확산이 고용시장에 미칠 영향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고용노동부는 2025년 9월 12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인공지능 산업전환과 일자리’라는 주제로 포럼을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AI(인공지능)의 급속한 기술적 발전이 생산성 증대와 업무 효율성을 가져오는 동시에, 일부 기존 일자리의 변화나 대체 가능성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안긴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실제로 자동화 기술이 제조업, 서비스업, 사무직 등 다양한 분야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정황이 포착되면서, 정부는 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첫 회의에서는 AI 기술의 현재 활용 동향과 이로 인해 변하고 있는 노동시장 구조에 대한 발표가 이뤄졌으며, 정부의 대응 전략에 대한 전문가 토론도 함께 진행됐다. 앞으로 포럼은 월 1회 또는 2회 정기적으로 열릴 예정이며, AI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 육성 방안, 기업의 인사·노무 관행 변화에 따른 법적 과제 등 구체적인 의제를 다루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렴된 결과는 'AI 대응 일자리정책 로드맵' 수립에 반영될 예정이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포럼에서 AI를 "기회이자 도전"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AI를 통해 새로운 생산성과 편의가 창출되는 만큼, 정책적인 준비 부족으로 인한 소외 계층 발생을 막기 위해 종합적인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포럼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AI 산업전환에 따른 일자리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실제 고용정책에 연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기술 변화에 보다 선제적으로 반응하는 방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산업 구조 전반의 혁신이 가속화되는 만큼, 사회적 안전망 강화와 디지털 전환에 따른 능력 개발 지원이 병행되지 않으면 고용의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적 정책 대응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