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중인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가 2025년 10월 1일, 서울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스타게이트 이니셔티브’를 통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한국과 전략적 협력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협력은 차세대 AI 모델의 개발에 핵심적인 기술 인프라를 확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고성능 메모리 칩과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충이 중심이 된다.
스타게이트 이니셔티브는 오픈AI가 세계적으로 추진 중인 AI 인프라 확장 계획이다. 핵심은 AI 개발과 운영에 필수적인 하드웨어, 특히 데이터 처리와 저장을 위한 고사양 반도체와 서버를 갖춘 데이터센터의 글로벌망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번에 한국이 이 이니셔티브의 중심 국가 중 하나로 포함되면서, 국내 기술 기업들이 글로벌 AI 시장에 보다 적극적으로 진출할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삼성과 SK하이닉스는 오픈AI와의 이번 협력을 통해 고급 메모리 칩 생산을 월 90만 개의 DRAM 웨이퍼 수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AI 모델의 학습 및 실행 과정에서 막대한 데이터를 고속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 자산이다. 동시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수도권 외 지역에 AI 데이터센터를 새로 구축하기 위한 협의를 시작했으며, SK텔레콤,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SDS 등과도 추가 협약이 체결됐다.
이번 파트너십은 단순히 기술 공급에 그치지 않고, 한국의 AI 국가 전략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픈AI는 한국이 우수한 기술 인재, 선진 인프라, 정부의 정책 지원, 활발한 기업 생태계를 모두 갖춘 나라로서 세계 3대 AI 강국 도약에 필요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AI 주요 국가가 되기 위한 전제 조건은 고성능 연산 자원과 안정적인 데이터 처리 인프라이며, 이는 이번 협력을 통해 상당 부분 뒷받침될 것으로 보인다.
정재계 정상급 인사들도 이번 협력에 강한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AI 시대를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업 간 협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고,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AI 전 영역에 걸친 기술 혁신의 출발점”이라고 평했다. 업계 입장에서는 단발성 프로젝트가 아닌 장기적 기술·인프라 공동 개발 구조로 이어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한국 내 AI 기술 경쟁력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고,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긴밀한 파트너십은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기술 교류, 인력 양성 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여지가 크다. AI 중심 산업 구조로의 전환 국면에서 이번 협력은 향후 수년간 한국 산업계의 방향을 좌우할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