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연구 선진화에 박차를 가한다.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의 신규 과제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하게 된 것이다.
한미약품은 이번 과제 중에서도 삼성서울병원이 주관하는 ‘역이행 연구 설계 AI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핵심 역할을 맡는다. 역이행 연구란 실제 임상 현장에서 도출된 질병 관련 정보나 치료 반응을 연구실 실험으로 되돌려 분석하는 방식으로, 임상과 기초 연구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한미약품은 자사가 보유한 항암 및 대사질환 관련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전임상용 멀티모달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실험실 기반 세포 실험, 동물 모델 조직 분석, 다차원 생물정보학 데이터(오믹스 데이터) 등을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더불어 이 과제는 단순히 AI 기술을 신약 후보물질 발굴에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 AI가 제안한 가설이나 물질을 다시 실험 과정을 통해 검증하고 그 결과를 재차 AI에 입력해 학습시키는 순환적 연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AI 기반 신약 개발의 실제 활용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국내 제약업계에서도 AI 기술이 단순 도구 수준을 넘어 신약 연구 전반을 아우르는 핵심 역량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신약 개발의 속도가 빨라지고, 성공 가능성 역시 높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향후 다른 제약사들의 참여 확대와 기술 진화 여부가 이 흐름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할 전망이다.





